• 제목/요약/키워드: 1H-NMR spectroscopy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3초

서로 다른 측쇄 구조를 가진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의 저온유동성 향상제 합성 (Synthesis of Poly(alkyl methacrylate)s Containing Various Side Chains for Pour Point Depressants)

  • 홍진숙;김영운;정근우;정수환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42-547
    • /
    • 2010
  • 디젤연료 및 바이오 디젤을 포함하는 디젤연료는 성분 내에 n-파라핀과 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가 저온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져 연료의 저온 특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가 저온유동특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MA (lauryl methacrylate), SMA (stearyl methacrylate)를 각각 측쇄 구조가 다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70 : 30의 몰 비율로 라디칼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구조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으며, GPC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디젤연료에 500~1000 ppm, 바이오디젤을 5%, 20% 함유한 디젤연료(BD5 및 BD20)에 1000~100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유동점, 구름점 및 저온필터막힘점 등의 저온유동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온유동특성을 측정한 결과 BD5에서 SMA를 포함한 공중합체 $PSMAmR_2n$에서 첨가 전 대비 유동점 $15^{\circ}C$, 구름점 $6^{\circ}C$, 저온필터막힘점 $10^{\circ}C$ 강하되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재생자원 유래 퓨란계 에폭시 화합물의 합성 및 접착 특성 (Synthesis of Renewable Resource-derived Furan-based Epoxy Compounds and Their Adhesive Property)

  • 이재성;이상협;정재원;김백진;조진구;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41-49
    • /
    • 2010
  • 탄소 중립형 친환경 접착소재로서, 퓨란기를 함유하는 에폭시 단량체(8, 9)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퓨란과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출발물질로 하여 Diels-Alder 반응을 통하여 이중고리 뼈대를 합성하였다. 이후 에스테르 작용기를 알코올로 환원한 후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반응하여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새로운 퓨란계 단량체(8, 9)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1H$ and $^{13}C$ NMR으로 확인하였으며, UV 경화형 단량체로서의 기본적인 성질인 광경화 속도 및 광경화율은 Photo-DS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선형가변 미분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transducer LVDT)와 UV Spot curing 장비를 통해 화합물의 경화 수축율을 측정하여 화합물의 분자구조가 경화수축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각 합성 화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 피착재 사이에 도포하고 광경화 후 lab shear test를 수행한 결과 3 MPa 이상의 전단강도를 보임으로써 재생자원 유래 신규 화합물이 접착소재로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EGA/BMA 공중합체의 코팅을 통해 CD34 단일클론항체가 고정화된 폴리우레탄 표면 (CD34 Monoclonal Antibody-Immobilization on Polyurethane Surface by Poly(PEGA-co-BMA) Coating)

  • 정윤기;황인규;박기동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602-607
    • /
    • 2009
  • 심혈관용 소재로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포획을 통해 in vivo 내피세포화가 가능한 표면을 가진 폴리우레탄 표면을 개발하였다.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점착을 유도하는 CD34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mAb)를 표면에 도입하기 위해, poly (poly (ethylene glycol) acrylate-co-butyl methacrylate), poly (PEGA-co-BMA) 공중합체가 합성되었고, 이를 폴리우레탄 표면에 코팅하여 CD34 단일클론항체를 화학적으로 고정화하였다. 중합된 공중합체의 $^1H$-NMR 분석은 원하는 조성을 가진 poly(PEGA-co-BMA)의 합성이 가능함을 확인해 주었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된 PEG가 그래프트된 폴리우레탄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조된 poly(PEGA-co-BMA)가 코팅된 폴리우레탄 표면이 CD34 mAb의 고정화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CD34 mAb의 표면밀도와 활성도가 32배 이상 증가된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개질된 폴리우레탄 표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PS와 물 접촉각, AFM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각각의 개질된 표면에 따른 표면의 특이적 성질을 잘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poly(PEGA-co-BMA)의 코팅을 통해 제조된 표면이 CD34 mAb의 고정화에 효과적임을 설명하였으며, 실제로 심혈관용 소재의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소수성 항암제의 전달체로 응용하기 위한 리소콜릭산이 결합된 키토산 나노입자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thocholic Acid Conjugated Chitosan Oligosaccharide Nanoparticles for Hydrophobic Anticancer Agent Carriers)

  • 박준규;김동곤;최창용;정영일;김명렬;장미경;나재운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63-269
    • /
    • 2008
  • 키토산에 기초한 소수성 항암제의 전달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젖산염 키토산을 소수성기로써 담즙산 중의 하나인 리소콜릭산(lithocholic acid, LA)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개질하였다. LA가 결합된 키토산 나노입자(COS-LA)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1H$-NMR, dynamic light scattering(DLS) 그리고 spectrofluo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항암제로써 파클리탁셀(paclitaxel)이 봉입된 CLs-Tx(COS-LA-paclitaxel) 나노입자는 투석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고 HPLC를 통하여 약물의 봉입량을 측정하였다. DLS를 이용하여 측정한 파클리탁셀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약 300 nm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미셀형성(CMC) 농도는 LA의 치환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조한 LA가 결합된 젖산염 키토산이 파클리탁셀 전달체로서 매우 높은 응용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MOVCD에 있어서 구리(l)전구체들의 열적 안정성이 증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mal Stability of Cu(I) Precursors on the Deposition in the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박만영;이시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5-353
    • /
    • 1998
  • 음이온 리간드로 hfac이 배위된 세 가지 종류의 구리(l) 전구체들의 열적 안정성, 기상분해 특성, 증착 특성 등을 연구하였다. $^{1}$H-NMR결과로부터 (hfac) Cu(VTMS) (hfac=hexafluoroacetylacetonate, VTMS=vinyltrimethylsilane)와 (hfac)Cu(VTMS) (VTMOS=vinyltrimethoxysilane)는 열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fac)Cu(ATMS)(STMS=allyltrimethylsilane)는 다른 전구체에 비해 열적으로 불안정한 화합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situ FT-IR을 이용하여 기상 분해 특성을 연구한 결과 (hfac)Cu(VTMS)의 경우 $150^{\circ}C$부근에서 $Cu(hfac)_{2}$, $240^{\circ}C$부근에서 free한 상태의 hfac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이 박막의 증착 속도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전구체들의 증착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hfac)Cu(ATMS)의 경우 아르곤 운반 기체하에서 기판 온도가 $60^{\circ}C$일 때 구리 박막이 증착이 시작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낮은 증착 온도는 상대적으로 약한 구리와 ATMS의 결합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금속-니트로실 착물 (제 2 보) : 디니트로실 텅스텐(O) 착물의 합성과 특성 (Metal-Nitrosyl Complexes(II)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nitrosyltungsten(O) Complexes)

  • 오상오;모성종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6-913
    • /
    • 1992
  • 실온에서 $WCl_6$$WNaNO_2$ 및 산성화시킨 $WFeSO_4$의 환원성 니트로실화 반응을 통해 다핵 화합물인 [{$W(NO)_2Cl_2$}$_n$]을 합성하였다. 이 [{$W(NO)_2Cl_2$}$_n$]와 한자리 및 두자리 리간드를 반응시켜 비교적 높은 수득률(70$\sim$90%)로 중성의 단핵 화합물인 [$W(NO)_2Cl_2L_2$(or L-L)]을 얻었다. 배위 리간드로는 3,5-lutidine, ${\gamma}$-cyanopyridine, 1,2-phenylenediamine, 1,10-phenanthroline, sym-diphenylethylenediamine, 9,10-phenanthrenequinone, 1,3-bis(diphenylphosphino)propane, 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및 8-hydroxyquinoline을 사용하였다. 합성한 디니트로실텡스텐 착물은 원소분석과 적외선, 핵자기 공명 및 전자 흡수 스펙트럼 등을 이용해서 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분광학적 결과로써 모든 화합물의 기하학적 구조가 $C_{2v}$ 대칭인 cis-dinitrosyl-trans-dichloro-cis-$L_2$의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 PDF

Hybrid LED용 유기 형광체로서의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제조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as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

  • 정성봉;정연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86-92
    • /
    • 2019
  • Although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have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high luminance efficiency, they have poor solubil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solvent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solubility characteristics, we prepared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1C) and (2C) with swallow-tail substituted imide, which is known to lead to excellent solubility.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1C) and (2C) were analyzed by $^1H-NMR$, FT-IR, UV/Vis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s of (1C) and (2C) in the UV/Vis spectrum were 558 nm and 556 nm,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s were 602 nm and 600 nm, respectively. In the TGA, (1C) demonstrated good thermal stability with less than 5 wt% weight loss up to $242^{\circ}C$. In the solubility test, (1C) and (2C) exhibited solubilities of more than 5 wt% in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dimethylformamide, but not in methanol. When the compounds (1C) and (2C) were mixed with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thin films showed peaks at 679 nm and 677 nm, respectively, in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1C) was found to be a possible candidate as red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s.

Streptococcus dysgalactiae로부터 분리된 히알루론산과 황화된 유도체의 구조와 항염증 활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hemically Sulfated-hyaluronic Acid from Streptococcus dysgalactiae)

  • 홍창일;정의길;한국일;김용현;이성희;이홍섭;한만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5-554
    • /
    • 2016
  • 히알루론산(HA, Hyaluronic acid)은 β-1, 3-N-acetyl glucosamine과 β-1, 4-glucuronic acid가 반복된 선형 폴리머 고분자로서 생물학적 활성 및 생체친화성 특성 때문에 의약 및 약학분야에서 중요한 분자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HA을 S. dysgalactiae으로 얻고, 화학적 방법을 통해 황화된 히알루론산(S-HA, Sulfated hyaluronic acid) 유도체를 합성하여 그 구조와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였다. HA의 생산은 S. dysgalactiae를 5 l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대량 배양하여 수용성 히알루론산(HA-WS, water soluble hyaluronic acid)과 비수용성 히알루론산(HA-WI, water insoluble hyaluronic acid)을 분리 정제하였다. 특히 HA-WI를 황화시켜 황화된 히알루론산(S-HA)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그 수율은 90%로 나타났다. 합성된 S-HA의 구조를 FT-IR 및 1H/13C-NMR를 통해 S. dysgalactiae로부터 생산된 표준 HA, HA-WS 및 HA-WI와 비교 분석한 결과, 황으로 치환된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S-HA 의 항염증 활성을 RAW 264.7 대식세포를 통해 확인한 결과, S-HA는 천연 형태의 HA (HA, HA-WS)보다 nitric oxide (NO)와 COX-2 및 PGE2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낮게 발현되었다. 염증 매개 cytokine인 TNF-α (<80 pg/ml) 및 IL-6 (<100 pg/ml)의 생성도 S-HA가 천연 HA보다 낮은 수준으로 정량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서 황화된 S-HA은 천연 히알루론산보다 용해성이 우수하고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치료제, 성형 및 생체 적용 약물전달 소재로 그 활용이 기대된다.

Cloning, Nucleotide Sequence and Expression of Gene Coding for Poly-3-hydroxybutyric Acid (PHB) Synthase of Rhodobacter sphaeroides 2.4.1

  • Kim, Ji-Hoe;Lee, Jeong-Ku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29-236
    • /
    • 1997
  • A gene, $phbC_{2.4.1}$ encoding poly-3-hydroxybutyric acid (PHB) synthase of Rhodobacter sphaeroides 2.4.1 was cloned by employing heterologou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R. sphaeroides chromosomal DNA partially digested with MboI was cloned in pUC19 followed by mobilization into E. coli harbouring $phbA,B_{AC}$ in pRK415, which code for ${\beta}$-ketothiolase and acetoacetyl CoA reductase of Alcaligenes eutrophus, respectively. Two E. coli clones carrying R. sphaeroides chromosomal fragment of $phbC_{2.4.1}$ in pUC19 were selected from ca. 10,000 colonies. The PHB-producing colonies had an opaque white appearance due to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PHB. The structure of PHB produced by the recombinant E. coli as well as from R. sphaeroides 2.4.1 was confirmed by [$H^{+}$]-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Restriction analysis of the two pUC19 clones revealed that one insert DNA fragment is contained as a part of the other cloned fragment. An open reading frame of 601 amino acids of $phbC_{2.4.1}$ with approximate M.W. of 66 kDa was found from nucleotide sequence determination of the 2.8-kb SaiI-PstI restriction endonuclease fragment which had been narrowed down to support PHB synthesis through heterologous expression in the E. coli harbouring $phbA,B_{AC}$. The promoter (s) of the $phbC_{2.4.1}$ were localized within a 340-bp DNA region upstream of the $phbC_{2.4.1}$ start codon according to heterologous expression analysis.

  • PDF

금속-니트로실 착물 (제 1 보) 디니트로실몰리브덴(O) 착물의 합성과 특성 (Metal-Nitrosyl Complexes (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nitrosylmolybdenum (O) Complexes)

  • 오상오;모성종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61-668
    • /
    • 1992
  • MoCl_5와 NaNO_2 및 산성화시킨 FeSO_4의 reductive nitrosylation 반응을 통해 다핵 화합물인 [{Mo(NO)_2Cl_2}n]을 합성하였다. 이 [{Mo(NO)_2Cl_2}n]와 한자리 및 두자리 리간드를 반응시켜 높은 수득률(80∼90%)로 중성의 단핵 화합물인 [Mo(NO)2Cl2L2(or L-L)]을 얻었다. 사용한 리간드는 3,5-Lutidine, {\gamma}-Cyanopyridine, 1,2-Phenylenediamine, 1,10-Phenanthroline, sym-Diphenylethylenediamine, 9,10-Phenanthrenequinone, 1,3-Bis(diphenylphosphino)propane 및 8-Hydroxyquinoline 이였다. 합성한 dinitrosylmolybdenum 착물은 원소분석과 적외선, 핵자기 공명 및 전자 흡수 스펙트럼 등을 이용해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적외선 스펙트럼은 모든 화합물이 팔면체 구조로서 두 개의 NO 기가 cis 위치로 배위되어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