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D1R

검색결과 13,465건 처리시간 0.054초

SOME RESULTS OF MONOMIAL IDEALS ON REGULAR SEQUENCES

  • Naghipour, Reza;Vosughian, Somayeh
    • 대한수학회보
    • /
    • 제58권3호
    • /
    • pp.711-720
    • /
    • 2021
  • Let R denote a commutative noetherian ring, and let 𝐱 := x1, …, xd be an R-regular sequence. Suppose that 𝖆 denotes a monomial ideal with respect to 𝐱.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𝖆 is irreducible if and only if 𝖆 is a generalized-parametric ideal. Next, it is shown that, for any integer n ≥ 1, (x1, …, xd)n = ⋂P(f), where the intersection (irredundant) is taken over all monomials f = xe11 ⋯ xedd such that deg(f) = n - 1 and P(f) := (xe1+11, ⋯, xed+1d). The second main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at if 𝖖 := (𝐱) is a prime ideal of R which is contained in the Jacobson radical of R and R is 𝖖-adically complete, then 𝖆 is a parameter ideal if and only if 𝖆 is a monomial irreducible ideal and Rad(𝖆) = 𝖖. In addition, if a is generated by monomials m1, …, mr, then Rad(𝖆), the radical of a, is also monomial and Rad(𝖆) = (ω1, …, ωr), where ωi = rad(mi) for all i = 1, …, r.

NOTES ON THE SPACE OF DIRICHLET TYPE AND WEIGHTED BESOV SPACE

  • Choi, Ki Seong
    • 충청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93-402
    • /
    • 2013
  • For 0 < $p$ < ${\infty}$, ${\alpha}$ > -1 and 0 < $r$ < 1, we show that if $f$ is in the space of Dirichlet type $\mathfrak{D}^p_{p-1}$, then ${\int}_{1}^{0}M_{p}^{p}(r,f^{\prime})(1-r)^{p-1}rdr$ < ${\infty}$ and ${\int}_{1}^{0}M_{(2+{\alpha})p}^{(2+{\alpha})p}(r,f^{\prime})(1-r)^{(2+{\alpha})p+{\alpha}}rdr$ < ${\infty}$ where $M_p(r,f)=\[\frac{1}{2{\pi}}{\int}_{0}^{2{\pi}}{\mid}f(re^{it}){\mid}^pdt\]^{1/p}$. For 1 < $p$ < $q$ < ${\infty}$ and ${\alpha}+1$ < $p$, we show that if there exists some positive constant $c$ such that ${\parallel}f{\parallel}_{L^{q(d{\mu})}}{\leq}c{\parallel}f{\parallel}_{\mathfrak{D}^p_{\alpha}}$ for all $f{\in}\mathfrak{D}^p_{\alpha}$, then ${\parallel}f{\parallel}_{L^{q(d{\mu})}}{\leq}c{\parallel}f{\parallel}_{\mathcal{B}_p(q)}$ where $\mathcal{B}_p(q)$ is the weighted Besov space. We also find the condition of measure ${\mu}$ such that ${\sup}_{a{\in}D}{\int}_D(k_a(z)(1-{\mid}a{\mid}^2)^{(p-a-1)})^{q/p}d{\mu}(z)$ < ${\infty}$.

MiR-30a-5p and miR-153-3p regulate LPS-induced neuroinflammatory response and neuronal apoptosis by targeting NeuroD1

  • Choi, Hye-Rim;Ha, Ji Sun;Kim, Eun-A;Cho, Sung-Woo;Yang, Seung-Ju
    • BMB Reports
    • /
    • 제55권9호
    • /
    • pp.447-452
    • /
    • 2022
  • Neurogenic differentiation 1 (NeuroD1) is an essential transcription factor for neuronal differentiation, maturation, and survival, and i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glial cells; however, the concrete mechanisms are still ambiguous.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NeuroD1-targeting miRNAs affect inflammation and neuronal apoptosis, as well as the underlying mechanism. First, we confirmed that miR-30a-5p and miR-153-3p, which target NeuroD1, reduced NeuroD1 expression in microglia and astrocytes. In LPS-induced microglia, miR-30a-5p and miR-153-3p suppressed pro-inflammatory cytokines, reactive oxygen species, the phosphoryl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p38, an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via the NF-κB pathway. Moreover, miR-30a-5p and miR-153-3p inhibited the expression of NOD-like receptor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s, NLRP3, cleaved caspase-1, and IL-1β, which are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LPS-induced astrocytes, miR-30a-5p and miR-153-3p reduced ERK phosphorylation and iNOS expression via the STAT-3 pathway. Notably, miR-30a-5p exerted greater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miR-153-3p.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R-30a-5p and miR-153-3p inhibit MAPK/NF-κB pathway in microglia as well as ERK/STAT-3 pathway in astrocytes to reduce LPS-induced neuronal apoptosi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NeuroD1 in microglia and astrocytes neuroinflammation and suggests that it can be regulated by miR-30a-5p and miR-153-3p.

,N,N',N'-Tetrakis(2-aminoethyl)-1,2-ethanediamine형 리간드를 포함하는 코발트 (III) 착물의 합성과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balt(III) Complexes with N,N,N',N'-Tetrakis(2-aminoethyl)-1,2-ethanediamines Ligand)

  • 도명기;최병수;안창록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10-319
    • /
    • 1982
  • 여섯자리형 리간드, N,N,N',N'-tetrakis(2-amino-ethyl)-1,2-ethanediamine (ten), -1,3-propanediamine (ttn), -1,4-butanediamine (ttmd), -(R,R)- 및 -(R,S)-2,4-pentanediamine (tptn)등을 포함하는 코발트(III) 착물을 합성하고, 아울러 이들 착물에서 킬레이트 고리 크기와 confomation의 변화에 대한 d-d 흡수띠의 특성을 전자 흡수스펙트럼으로 조사하였다. $[Co(L)]^{3+}$ 착물에 대한 제일 d-d 흡수띠는 리간드(L)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차례로 약간 낮은 파동수 쪽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tn > (R,R)-tptn > ten > ttmd${\simeq}$(R,S)-tptn. $[Co(R,S-tptn)]^{3+}$ 착물에서 R, S-tptn 리간드는 2,4-pentanediamine 부분에 있는 하나의 methyl 그룹이 axial 방향을 취하면서 여섯자리 리간드로 중심 코발트(III) 이온에 배위하고 있음을 UV, $^{13}C$ NMR, Circular Dichroism등의 분광학적인 자료에서 알 수 있었다.

  • PDF

Functional Regulation of Dopamine D3 Receptor through Interaction with PICK1

  • Zheng, Mei;Zhang, Xiaohan;Min, Chengchun;Choi, Bo-Gil;Oh, In-Joon;Kim, Kyeong-M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5호
    • /
    • pp.475-481
    • /
    • 2016
  • PICK1, a PDZ domain-containing protein, is known to increase the reuptake activities of dopamine transporters by increasing their expressions on the cell surface. Here, we report a direct and 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PICK1 and dopamine $D_3$ receptors ($D_3R$), which act as autoreceptors to negatively regulate dopaminergic neurons. PICK1 colocalized with both dopamine $D_2$ receptor ($D_2R$) and $D_3R$ in clusters but exerted different functional influences on them. The cell surface expression, agonist affinity, endocytosis, and signaling of $D_2R$ were unaffected by the coexpression of PICK1.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expression and tolerance of $D_3R$ were inhibited by the coexpression of PICK1. These findings show that PICK1 exerts multiple effects on $D_3R$ functions.

정부 R&D투자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 대전 지역특화(전략)산업을 중심으로

  • 장길수;염명배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1-305
    • /
    • 2017
  • 대전은 전국에서 R&D투자가 많은 지역으로 이는 출연연 및 출연연 출신 연구원의 기술창업의 증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R&D가 많이 투자됨에 따라 이에 따른 효율성에 대한 분석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R&D 투자가 대한 지역내총생산, 기업의 생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 즉 R&D투자의 효율성 분석을 많이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 R&D투자가 기업의 생산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지역특화(전략)산업 분야별로 분석하여 지역 R&D 투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생산성에 대한 대리변수로 종업원 1인당 매출액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 연구개발비, 종업원 1인당 영업이익, 종업원 1인당 자본집약도 등의 변수를 다중회귀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R&D투자가 매출액과 부가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연구개발비가 매출액이나 부가가치 등 생산성 증가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산업별 분석결과 정보통신, 바이오산업보다 부품소재 산업에서 결정계수가 높게 나왔다. 또한 조절회귀모형을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R&D투자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지만, 부가가치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지역 R&D투자의 효율적 배분 측면에서 투자의 활성화를 이루고 연구개발 투자가 실질적으로 기업의 생산성 증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견인해야 할 것이다.

  • PDF

Integration Process and Reliability for $SrBi_2$ $Ta_2O_9$-based Ferroelectric Memories

  • Yang, B.;Lee, S.S.;Kang, Y.M.;Noh, K.H.;Hong, S.K.;Oh, S.H.;Kang, E.Y.;Lee, S.W.;Kim, J.G.;Shu, C.W.;Seong, J.W.;Lee, C.G.;Kang, N.S.;Park, Y.J.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권3호
    • /
    • pp.141-157
    • /
    • 2001
  • Highly reliable packaged 64kbit ferroelectric memories with $0.8{\;}\mu\textrm{m}$ CMOS ensuring ten-year retention and imprint at 125^{\circ}C$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These superior reliabilities have resulted from steady integration schemes free from the degradation, due to layer stress and attacks of process impurities. The resent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ferroelectric memories at Hynix Semiconductor Inc. are summarized in this invited paper.

  • PDF

ICT 산업의 R&D 투자가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측정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pillover Effects of R&D Investment in the ICT industry)

  • 정우진;김현석;조신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1호
    • /
    • pp.27-43
    • /
    • 2019
  • This paper examines spillover effects of R&D investment in the ICT industry to other industries by analyzing panel data composed of 6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the period of 1983~2011.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increase of R&D investment in ICT industr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in the value-added of the remaining 5 industries with 3~10 year lags, depending on the source of R&D funds and R&D stage. (2) More specifically, public R&D shows the spillover effects during 3~7-year lag periods, whereas private R&D started to exert spillover effects from 9-year lag. The result implies that the public R&D appropriately targets projects with more spillover effects. (3) Basic research, applied research, and development showed the spillover effects for the period of 9~10, 7~10, and 10-year lag, respectively. (4) The R&D investment in 5 other industries such as machinery, chemicals, and materials does not have positive spillover effects to the remaining industries.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analyze the R&D spillover effects to other industries, with certain limit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analyzing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different R&D funds and R&D stages, and by considering various time-lag effects.

지방세포에서 microRNA-145에 의한 Cathepsin D의 발현 제어 (Repression of Cathepsin D Expression in Adipocytes by MicroRNA-145)

  • 김현지;배인선;서강석;김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98-803
    • /
    • 2014
  • Cathepsin D (CtsD)는 아스파르트산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cytochrome C의 방출을 유도하여 apoptosis 기전을 활성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CtsD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microRNA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지방전구세포 사멸시 CtsD 발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DNA damage agent인 doxorubicin을 3T3-L1 세포주에 노출시켜 CtsD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전구세포주에서 CtsD가 과발현되면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miRanda program을 이용하여 CtsD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microRNA를 탐색하여 miR-145를 선발하였다. Luciferase reporter assay에 의해 miR-145가 CtsD 유전자의 3' UTR 부위에 결합하여 luciferase 활성을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3T3-L1 세포주에 miR-145 mimic을 도입한 결과 CtsD mRNA 발현과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주에 doxorubicin을 처리한 결과 CtsD 유전자 발현 증가와 상반되게 miR-145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외에도 miR-145 inhibitor을 세포에 도입하면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사멸에 CtsD가 관여할 수 있으며, miR-145에 의해 CtsD 발현이 직접 조절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방전구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miR-145 발현 제어가 주요한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지방세포 사멸기전 규명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OECD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OECD Countries)

  • 김영훈;김선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7
    • /
    • 2011
  • 본 연구는 1984년부터 패널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17개 OECD 국가를 표본으로 하여 R&D 생산성 및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성과를 산출(output) 측면과 성과(outcome) 측면으로 구분하고, 맘퀴스트 생산성지수와 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R&D경로단계별 생산성 및 효율성과 그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R&D 투자 대비 산출 생산성은 매우 높은 반면, 평균효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효율성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보면 최초 지수 0.10에서 시작하여 최종 0.83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요 선진국들 수준에 도달하였다. R&D 산출 대비 생산성은 매우 낮으며, 통합 프런티어에 대한 효율성은 최초 지수 1.00에서 최종 0.057까지 주요 선진국들 수준으로 가파르게 하락하여 왔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R&D 산출 대비 생산성이 곧 R&D 투자 대비 생산성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R&D 투자 및 산출 증대의 노력이상으로 R&D 산출물의 활용 측면이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기술확산 체계 구축, 기술금융시장환경 조성 및 사업화에 성공하기까지 실질적인 인큐베이팅 제공 등 전반적인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혁신이 주요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