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25KHz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새로운 감폭회로를 사용한 CMOS RFID 트랜스폰더 IC 설계 (Design of a CMOS RFID Transponder IC Using a New Damping Circuit)

  • 오원석;이상훈;이강명;박종태;유종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3호
    • /
    • pp.211-21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RFID를 위한 읽기 전용 CMOS 트랜스폰더를 one-chip으로 설계하였다. 리더에서 공급되는 자기장으로부터 트랜스폰더 칩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파정류기를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데이터 저장 소자로는 64비트의 ROM을 사용하였다.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ID 코드는 Manchester 코딩되어 front-end 임피던스 변조 방식으로 리더에 전송된다. 임피던스 변조를 위한 감폭회로로는 리더와 트랜스폰더 사이의 거리가 변해도 일정한 감폭율을 갖는 새로운 감폭회로를 사용하였다. 설계된 회로는 0.65㎛ 2-poly, 2-metal CMOS 공정을 사용하여 IC로 제작되었다. 칩 면적은 0.9㎜×0.4㎜이다. 측정 결과 설계된 트랜스폰더 IC는 인식거리 내에서 약 20∼25%의 일정한 감폭율을 보이며, 125㎑의 RF에 대해 3.9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인다. 트랜스폰더 칩의 전력소모는 읽기 모드시 약 100㎼이다. 인식거리는 약 7㎝이다.

  • PDF

DDS를 이용한 고속 주파수 Hopping용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for High Speed Frequency Hopping)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07-6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고속 주파수 도약과 높은 주파수 분해도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를 구현한다. 고속 주파수 도약과 미세한 도플러 주파수 보정을 위한 높은 주파수 분해도를 갖는 DDS 기술과 직접주파수 변환을 위한 광대역 PLL 기술을 적용하여 DVB-RCS 전송을 위한 전송 중간 주파수 신호를 직접 발생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구현한다. $2.5\sim3.0GHz$ 대역의 500 MHz 사용 주파수 대역내에서 -50 dBc 이하의 스퓨리어스 신호 억압을 제공하고, 0.233 Hz의 세밀한 주파수 분해도와 125 ns 이하의 고속 주파수 도약 특성을 갖는 DFS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작된 DFS는 광대역 사용주파수 영역에서 3 dB 이내의 이득 평탄도를 나타내었으며, 위상잡음은 1 KHz ???낵쩔【??? -75 dBc/Hz의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DVB-RCS 전송을 위한 광대역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deband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for DVB-RCS)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23-22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고속 주파수 도약과 높은 주파수 분해도 그리고 광역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고속 주파수 도약과 미세한 도플러 주파수 보정을 위한 높은 주파수 분해도를 갖는 DDS 기술과 직접 주파수 변환을 위한 광대역 PLL 기술을 적용하여 DVB-RCS 전송을 위한 전송 중간 주파수 신호를 직접 발생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구현한다. $2.5{\sim}3.0$ GHz 대역의 500 MHz 사용 주파수 대역내에서 -50 dBc 이하의 스퓨리어스 신호 억압을 제공하고, 0.233 Hz의 세밀한 주파수 분해도와 125 ns 이하의 고속 주파수 도약 특성을 갖는 DFS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작된 DFS는 광대역 사용주파수 영역에서 3 dB 이내의 이득 평탄도를 나타내었으며, 위상잡음은 1 KHz ?낵쩔【? -75 dBc/Hz의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A Design of 5.8 ㎓ Oscillator using the Novel Defected Ground Structure

  • Joung, Myoung-Sub;Park, Jun-Seok;Lim, Jae-Bong;Cho, Hong-Goo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18-125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5.8-㎓ oscillator that uses a novel defected ground structure(DGS), which is etched on the metallic ground plane. As the suggested defected ground structure is the structure for mounting an active device, it is the roles of a feedback loop inducing a negative resistance as well as a frequency-selective circuit. Applying the feedback loop between the drain and the gate of a FET device produces precise phase conversion in the feedback loop. The equivalent circuit parameters of the DGS are extract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EM simulation ,md simple circuit analysis method. In order to demonstrate a new DGS oscillator, we designed the oscillator at 5.8-㎓.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4.17 ㏈m output power with over 22 % dc-to-RF power efficiency and - 85.8 ㏈c/Hz phase noise at 100 KHz offset from the fundamental carrier at 5.81 ㎓.

A Patient Treatment System Using RFID and Internet Communication

  • Jo, Heung-Ku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5호
    • /
    • pp.586-590
    • /
    • 2010
  • Medical technology is gradually being developed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ies. Especially, RFID technology is being used for precise disease history information of patients [4]. And in case the patient is far away, the patient can be treated using network communication of the internet [5][6]. The internet makes us to treat or operate the patient without being restricted to time or space. If the above technologies are made as a system, the patient can be treated or operated without being restricted to time or space. In this paper, we present a patient treatment system has been implemented with a system using RFID and network communication of the internet [1][2][3][4]. The system is driven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f patient can be checked from a remote PC, if the tag that a patient has been read through a reader. And a remote treatment is performed by controlling robot's arm with a joystick using internet network [19][20][21]. The RFID system was implemented in frequency of 125 KHz [1]. The information of patient can be checked with PDA, PC and C-LCD using Bluetooth and WLAN [7][8][9][10]. For the treatment and operation of the patient, the robot's arm has been formed using AX-12 motor, joystick and two buttons [11][12][13][14][15] [17][18].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Tracking in Blood Supply Distribution Using RFID System

  • Kang, Jin-Suk;Jeon, Young-Jun;Sung, Mee-Young;Shin, Seung-Ho;Jeong, Tai-Keong T.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5권4호
    • /
    • pp.389-393
    • /
    • 2007
  • The distribution of donated blood for medical purpose is an area that presents many challenges. In order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olution, the current patterns of distribution must be reviewed and problems related to it need to be clearly understood. This paper introduce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as a potential solution to some of the problems which arise in the process of blood supply distribution, and a wa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blood supply. For the various possible RFID systems, the reader and tag must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blood distribution. A database has been designed that can recognize tags and objects in a ubiquitous RFID blood distribution system. In this paper, we design the real-time software to control the RFID reader system and transponder, using the EEPROM memory by RFID.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transmission rate of 3.9kbps for RF is 125 KHz. The electric power usage of transponder chip is $100{\mu}W$, with the recognition distance is about 7cm range.

CC1020과 W3100A를 이용한 RFID의 ID 통신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ommunication of RFID ID Using CC1020 and W3100A)

  • 임현진;조형국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6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2006
  • 무선인지(RFID)시스템은 많은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써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 관제시스템을 들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기존의 건물에 이 시스템을 설치하려고 하면 출입문을 개조하여야 한다. 하지만 무선 통신을 이용하면, 리더기에서 호스트 컴퓨터로의 접근이 용이해지므로 출입문 개조에 있어서도 한결 수월해진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무선 디지털 데이터 통신 기술과 원격지에서 Tag의 ID를 모니터링을 위한 TCP/IP를 이용한 Ethernet 통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RFID 리더기는 125KHz를 사용 주파수로 하고, Tag 칩은 Microchip사의 MCRF 25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CC1020칩을 사용하였으며 이 칩의 장점은 간단히 레지스터를 설정으로 송신 상태 혹은 수신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고 또한 주파수 설정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Ethernet 통신을 위해서는 W3100A칩을 이용하였으며, Ethernet 통신에 있어 OS가 차지하는 부분으로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하였다. 실험을 위해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각 모듈별 동작을 분석하고. 각 부분의 파형을 확인하였다. DB에 해당하는 Application을 통해 Tag ID DATA를 확인하였다.

  • PDF

건설자재 정보관리를 위한 RFID 주파수 대역 및 Tag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FID frequency band and tag for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management)

  • 한충한;주기범;양성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4-877
    • /
    • 2007
  • 최근 건설 산업이 고도화, 지능화됨에 따라 건설자재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RFID 기술을 이용하려는 연구 및 적용 사례가 증가 하고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인식 기법을 뜻하는 것으로 건설자재에 RFID Transponder(이하 태그)를 부착하여 생산, 유통, 설비 등 전 과정의 정보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RFID 시스템 특성상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철골자재나 수분이 포함된 콘크리트, 도료(안료) 등의 자재에서는 RFID 적용이 쉽지 않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RFID 장비마저도 표준화 되어 있지 않고 사용 주파수 대역 또한 각각 다르기 때문에 건설자재에 적용하기위한 RFID 시스템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자재에 RFID를 적용하기 위한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연구로써 목재, 철재 빔, 도료(안료), 콘크리트, 배관자재(철/동/PE)에 Passive Type의 일반(Pager) 태그, 금속 태그, 액체형 태그를 부착 매립하여 125KHz, 13.56MHz, 900MHz의 주파수 대역과 자재 물성별 인식거리 및 인식률 시험을 진행하여 건설자재에 RFID를 적용하기위한 표준 주파수 대역 및 재질에 따른 적정 태그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Dysprosium and Thulium addition on microstructure and electric properties of co-doped $BaTiO_3$ for MLCCs

  • Kim, Do-Wan;Kim, Jin-Seong;Noh, Tai-Min;Kang, Do-Won;Kim, Jeong-Wook;Lee, Hee-Soo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2-48.2
    • /
    • 2010
  • The effect of additives as rare-earth in dielectric materials has been studied to meet the development trend in electronics on the miniaturization with increasing the capacitance of MLCCs (multi-layered ceramic capacitors). It was reported that the addition of rare-earth oxides in dielectrics would contribute to enhance dielectric properties and high temperature stability. Especially, dysprosium and thulium are well known to the representative elements functioned as selective substitution in barium titanate with perovskite structure. The effects of these additives on microstructure and electric properties were studied. The 0.8 mol% Dy doped $BaTiO_3$ and the 1.0 mol% Tm doped $BaTiO_3$ had the highest electric properties as optimized composi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are-earth contents, the growth of abnormal grains was suppressed and pyrochlore phase was formed in more than solubility limits. Furthermore, the effect of two rare-earth elements co-doped $BaTiO_3$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insulation resistance was investig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The dielectric specimens with $BaTiO_3-Dy_2O_3-Tm2O_3$ system were prepared by design of experiment for improving the electric properties and sintered at $1320^{\circ}C$ for 2h in a reducing atmosphere. The dielec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from -55 to $125^{\circ}C$ (at $1KHz{\pm}10%$ and $1.0{\pm}0.2V$) and the insulation resistance was examined at 16V for 2 min. The morphology and crystallinity of the specimens were determined by microstructural and phase analysis.

  • PDF

EOM-BSO 소자를 이용한 광전압센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ber-Optic Voltage Sensor Using EMO-BSO)

  • 김요희;이대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19-125
    • /
    • 1990
  • 전기광학 소자인 비스무스 실리콘 옥사이드($Bi_{12}SiO_{20}$ : 이하 BSO라 칭함)와 편광자(polarizer), 1/4파장판(1/4 waveplate), 검광자(analyzer)와 결합하여 광변조기를 만들었고 이를 전압세선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기광학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 특성을 실험하였다. 송수신부인 E/O 변환기 및 O/E 변환기는 LED와 PIN-PD로 구성하여 구동되며 전송로는 코아/클래드경이 $100/140{\mu}m$인 멀티모드 광파이버를 사용하였다. 센서부와 광파이버 사이에는 셀폭 마이크로렌즈로서 결합하였다. 실험에 앞서 맥스웰 방정식과 파동방정식을 이용하여 BSO 단결성 내부에서 일어나는 광파의 전파특성에 관한 행렬식을 구하였고 센서가 갖는 광강도 변조식을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작된 BSO 전압 센서는 교류전압 50V~800V(60Hz)에서 ${\pm}2.5{\%}$ 측정오파를 보였다. 인가전압의 증가에 따라 출력의 포화값이 커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광강도 변조식에서 센서의 선광성에 기인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센서의 온도특성 실험결과 $-20^{\circ}C~60^{\circ}C$에서 변화율은 ${\pm}0.6{\%}$ 이하로 측정되었다. 주파수 특성실험 결과 DC~100KHz까지 양호한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