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OH-Pyren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유통 어패류 및 가공품 중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함량 (Level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Fish, Shellfish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 허수정;김미혜;오남수;하진;최광식;권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66-8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어패류 및 그 가공품 중 PAM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에서 어류 12종, 패류 5종, 가공식품 7종 총 205건을 채취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를 알칼리 분해하여 n-hexane으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Sep-Pak florisil cartridge로 정제하여 HPLC/FLD로 동시 정량 분석하였다. 각각의 PAHs에 대한 회수율은 약 90-106%였으며 검출한계는 PAHs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0.002-0.5ng/g 수준이었다. 어패류 및 그 가공품 중 8가지 총 PAHs의 평균 함량은 0.23ng/g이었으며 개별 평균 PAHs 함량은 benzo(a)anthracene 불검출, chrysene 0.01 ng/g, benzo(b)fluoranthene 0.04ng/g, benzo(k)fluoranthene 0.07ng/g, benzo(a)pyrene 0.05ng/g, dibenzo(a,h)anthracene 0.004ng/g, benzo(g,h,i)perylene 0.0008ng/g, indeno(1,2,3-c,d)pyrene 0.06ng/g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이들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1일 PAHs 섭취량은 약 9ng, 벤조피렌 섭취량은 약 2ng이었으며 이 수준은 다른 나라에서 보고된 결과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국내유통 채소류 및 과일류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 (Determin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domestic vegetables and fruits)

  • 하수정;오남수;김수연;이효민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415-421
    • /
    • 2006
  • 채소류 및 과일류 중 PAHs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오염실태 파악을 위하여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에서 채소류 13종, 과일류 5종 총 210건을 채취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를 dichloromethane으로 초음파추출하고 탈수한 후 Sep-Pak Florisil Cartridge로 정제하여 HPLC/FLD로 동시 정량 분석하였다. 시료에 표준물질을 spike하여 전처리 후 기기분석한 결과, 각각의 PAH에 대한 회수율은 약 95~102%였으며, 검출한계는 PAH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0.002~0.5 ng/g 수준이었다. 채소류 및 과일류 중 8가지 총 PAHs의 평균 함량은 0.19 ng/g이었으며 개별 평균 PAH 함량은 benzo(a)anthracene 불검출, chrysene 0.014 ng/g, benzo(b)fluoranthene 0.031 ng/g, benzo(k)fluoranthene 0.016 ng/g, benzo(a)pyrene 0.019 ng/g, dibenzo(a,h)anthracene 0.091 ng/g, benzo(g,h,i)perylene 0.016 ng/g, indeno(1,2,3-c,d)pyrene 불검출 수준이었다.

Puffing 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Benzo[α]pyrene 변화 (The Changes of Benzo[α]pyrene in Herbal Teas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Schizandra chinensis, Liriope platyphyll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are affected by the Puffing Conditions)

  • 오성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79
    • /
    • 2014
  • The following study is the result of herbal teas puffed at different temperatures between $140{\sim}220^{\circ}C$. Depending on treatment temperatures, the water contents decreased, while some carbonization occurred and crude ash contents relatively increased. Also,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experienced little changes. B(${\alpha}$)P contents (0.16~0.17 ppb) showed little change according to treatment temperatures. From this result, the B(${\alpha}$)P content differ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raw materials. Solid elution rate figures of the herbal teas ranged from 0.27~0.45% (w/w) and the rate of solid elution increased along with higher puffing temperature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solid elution rates is due to the breakage of cross bridges between the raw materials in the herbal tea which are carbohydrates, proteins, lipids and etc. after treatments of physical changes rather than chemical ones.

DNA와 Benzo(a)pyrene 대사물질 결합형성에 미치는 인삼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the Binding to DNA of Benzo(a)pyrene Metabolites in uitro in Rats)

  • 박진규;고지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37-41
    • /
    • 1989
  • Benzo(a)pyrene(BP)의 monooxygenase(AHH)에 의해서 생성된 반응성 대사물질들의 in vitro DNA와의 결합 및 BP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도에 미치는 인삼 물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DNA-BP metabolite adduct들은 Sephadex LH-20 column으로 chromatography하여 5개의 major peak 들을 얻었다. 이 peak 들을 극성이 큰 순서대로 A부터 E까지 임의로 정하고 5개의 peak들을 7,8-diol-9,10-oxide(A), 7,8-oxide(B). 4,5-oxide(C), 9-HO-BP(D & E) adduct들로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Peak A, C, D 그리고 E는 각각 대조군의 30, 15, 20 그리고 30%로 감소되었으며 peak B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DNA-BP 결합 억제와 관련하여 in vitro와 in vivo 투여시의 경향이 유사하여 EH의 활성도만 BP투여 대조군보다 38%정도 의미있게 유도되었다.

  • PDF

순천만 갈대근권 토양으로부터 얻은 PAH 분해세균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AH-Degrading Bacteria from Soils of Reed Rhizosphere in Sunchon Bay Using PAH Consortia)

  • 김성현;강성미;오계현;김승일;윤병준;강형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8-215
    • /
    • 2005
  • 본 연구는 농업과 어업, 그리고 생태체험과 같은 인간들의 활동으로 인하여 상당히 영향을 받는 갯벌환경 중의 하나인 순천만을 모델장소로 갈대의 환경정화 기능에 있어 근권에 분포하는 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우선, 순천만의 갈대근권 토양을 시료로하고 anthracene, naphthalene, phenanthrene, pyrene 등이 첨가된 다환성 방향족 화합물(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을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하는 농화 배양을 통하여 두 개의 consortium을 획득하였다. 두 consortium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우수한 PAH분해능을 갖는 4개의 균주(SCB1, SCB2, SCB6,그리고 SCB7)를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과 16S rRNA유전자서열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 각 균주는 $99{\%}$ 이상의 신뢰도로 Burkholderia sp., Aicaligenes sp., Achromobacter sp., and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Burkholderia sp. SCB1과 Alcaligenes sp. SCB2는 naphthalene이나 phenanthrene보다 훨씬 안정되어 있는 구조의 anthracene이나 pyrene에서 더 빠른 성장률과 기질 분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Achromobacter sp. SCB6와 Pseudomonas sp. SCB7은 pyrene을 제외한 다른 시험기질에 대하여 유사한 성장 및 분해패턴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요한 염습지 식물중의 하나인 갈대의 근권에서 살아가는 이들 PAH 분해 균주들이 PAH와 같은 물질로 오염된 근권 환경의 정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해 주었다.

Characterization of Protein Expression in the Head of Oryzias latipes in Response to Acute and Chronic Exposure to Benzo(a)pyrene

  • Oh, Jeong-Hwan;Moon, Hyo-Bang;Choe, Eun-Sang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220-225
    • /
    • 2008
  • In this study, alterations in whole proteome expression patterns in the head of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was investigated following acute or chronic exposure to benzo(a)pyrene (BaP) (25 ${\mu}g$ L$^{-1}$) for 48 hrs and 15 day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9 and 6 protein spot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relative to controls, in response to acute and chronic BaP exposure, respectively. In the acute exposure group, 5 spots were up regulated and 4 spots were downregulated, while in the chronic exposure group, 4 spots were upregulated and 2 spots were downregulated. Three of these spots were common to both the acute and chronic BaP exposure groups and were identified using LC-MS/MS followed by database searching. These 3 spot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tructural proteins belonging to the actin and keratin families. These data suggest that acute and chronic exposures to BaP may affect tissue morphology in the head of Japanese medaka.

Benzo(a)pyrene이 마우스 자연살해세포 활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if Benzo(a)pyrene o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of Mice)

  • 오동일;김광혁;이충환;정현기;박재선;장명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7-262
    • /
    • 1998
  • 발암물질인 benzo(a)pyrene(B(a)P)이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 방어능을 나타내는 자연살해(natural killer(NK))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료를 C57BL/6마우스에 노출시킨 후 NK세포활성을 MTT시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상 및 시료노출군 마우스의 NK세포활성은 표적세포인 Yac-1세포에 대한 사멸세포백분율(percent dead cell)로서 측정하였다. 정상마우스의 비장세포에 B(a)P를 노출시켰을 때 노출군들은 시료농도에 따른 활성도에 큰 변화는 없었으니 낮은 농도($2.5^{\mu}g/ml$)의 노출에서도 정상에 비하여 현격히 낮은 활성치를 보였다. 정상마우스에 시료를 투여한 후에 분리한 비장세포의 NK세포활성치는 E/T ratio 200/1에서, 1회 투여보다는 2-3회 투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으로서 반복노출의 효과를 보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B(a)P는 마우스 면역계에 미치는 효과중 암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NK세포활성을 크게 저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홍삼이 Urethan 및 Benzo(a)pyrene에 의하여 폐선종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Natural Killer 세포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O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ICE WITH LUNG ADENOMA INDUCED BY URETHAN AND BENZO(A)PYRENE)

  • 윤연숙;조성기;문혜선;김영주;오영란;윤택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36
    • /
    • 1984
  • 홍삼의 항발암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홍삼추출물이 urethan 및 b두캐 (a) pyrene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natural killer(N.K) 세포활성도 및 폐선종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발암물질 처리 후 48주동안 검색하였다. N.K 세포 활성도는 urethan 및 benzo (a) pyrene 의 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저하되었다. 이와 같은 N. K 세포활성도의 저하는 상기 발암물질 투여후 4주부터 나타나 24주까지 계속되었으며 홍삼투여에 의하여 정상대조군의 수준으로 되돌아 왔다. 동시에 urethan에 의해 6주시부터 유발되기 시작한 폐선종 역시 홍삼투여에 의해 그 발생빈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반면 benzo (a) pyrene에 의해 유발된 폐선종은 48주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기는 N.K 세포 활성도가 자연적으로 너무 낮은 수준으로 떨어져 있어 홍삼의 영향을 받을 수 없는 시기였으며 홍삼투여에 의해 폐선종의 발생빈도 역시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홍삼에 의한 항발암 효과는 N.K 세포활성도의 증대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luorescence Spectroscopy Studies on Micellization of Poloxamer 407 Solution

  • Lee, Ka-Young;Shin, Sang-Chul;Oh, In-J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653-658
    • /
    • 2003
  • It has been reported that at low temperature region, poloxamers existed as a monomer. Upon warming, an equilibrium between unimers and micelles was established, and finally micelle aggregates were formed at higher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fluorescence spectroscopy was used to study the micelle formation of the poloxamer 407 in aqueous solution. The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a of pyrene, a fluorescence probe,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of poloxamer 407 and temperature. A blue shift in the emission spectrum and a red shift in the excitation spectrum were observed as pyrene transferred from an aqueous to a hydrophobic micellar environment. From the $I_1/I_3 and I_{339}/I_{333}$ results,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critical micelle temperature (cmt) were determined. Also, from the fluorescence spectra of the probe molecules such as 8-anilino-1-naphthalene sulfonic acid and 1-pyrenecarboxaldehyde, the blue shift of the $\lambda_{max}$ was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a decrease in the polarity of the microenvironment around probe because of micelle formation. The poloxamer 407 above cmc strongly complexed with hydrophobic fluorescent probes and the binding constant of complex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hydrophobicity of the probe.

Microwaving을 이용한 참기름의 Benzo(a)pyrene 저감화 (Benzo(a)pyrene Reduction in Sesame Oil Using Microwaving Method)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23-329
    • /
    • 2012
  • 참기름은 고소한 고유의 향미와 우수한 산화안정성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온 식용유 및 조미료의 일종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참기름은 다른 식용유지와 달리 화학적 정제공정을 거치지 않는 압착식용유로 이의 제조공정 중 볶음-압착공정에서 발암물질인 benzo(a)pyrene[B(a)P]이 다량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참기름에서 B(a)P가 검출되는 이유는 원료 참깨에 근본적으로 소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볶음공정에서 가장 많은 양이 생성되었고, 압착공정에서도 일부 생성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깨를 볶는 과정에서 기존의 볶음기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가정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microwaving 볶음을 적용해 본 결과 확연한 차이를 발견 하였다. 상대적으로 microwaving 볶음은 5~10분이 적합하였으며, 참기름 제품에서의 B(a)P 함량은 0.53~0.79 ${\mu}g/kg$으로 볶음기를 이용한 직화법에 비하여 그 함유량이 1/2 이하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참깨의 볶음조건에 따라 참기름에서의 B(a)P 함량은 약 2배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어 microwaving을 이용한 참깨의 볶음-착유공정이 참기름에서의 B(a)P 생성량 극소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