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

검색결과 588,497건 처리시간 0.225초

Kinesin Light Chain 1 (KLC1)의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도메인과 Rab effector, EHBP1L1의 결합 (Rab Effector EHBP1L1 Associates with the Tetratricopeptide Repeat Domain of Kinesin Light Chain 1)

  • 정영주;박성우;김상진;김무성;엄상화;이정구;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7
    • /
    • 2020
  • Kinesin 1은 미세소관을 따라 plus말단으로 이동하는 모터단백질로 세포내 물질 수송에 관여한다. Kinesin 1은 경쇄단위체(light chain subunit)를 통하여 운반체들인, 세포내 소기관, 다양한 소포체,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단백질, 세포신호전달 단백질과 여러 단백질 복합체들과 결합하여 운반하는 kinesin superfamily protein (KIFs)의 한 종류이다. Kinesin light chains 1 (KLC1)은 모터 기능이 없는 단위체로서 kinesin heavy chain (KHC)과 결합한다. KLC1은 다양한 매개단백질들과 결합하지만 아직 결합하는 매개단백질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KLC1의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영역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효모 two-hybrid 탐색한 결과 EH domain-binding protein 1-like 1 (EHBP1L1) 을 분리하였다. EHBP1L1은 KLC1의 TPR 영역을 포함한 부위와 결합하지만 KIF5B (kinesin 1의 모터 단백질)과 KIF3A (kinesin 2의 모터 단백질)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또한 KLC1은 EHBP1L1의 C-말단에 존재하는 coiled-coil 도메인과 결합하였으며, 다른 EHBP1L1의 isoform인 EHBP1과는 결합하지 않았다. KLC1은 GST와는 결합하지 않지만 GST-EHBP1L1과 GST-EHBP1L1-coiled-coil domain과는 결합하였다. HEK-293T세포에 EHBP1L1과 KLC1을 동시에 발현시켰을 때 두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같은 부위에 존재하며, EHBP1L1을 면역침강한 결과 KLC1뿐만 아니라 KIF5B와도 같이 침강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kinesin 1은 EHBP1L1이 결합한 운반체를 수송함을 시사한다.

Regulator of calcineurin 1-4과 파골세포 분화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Regulator of Calcineurin 1-4 Isoform and In Vitro Osteoclast Differentiation)

  • 박경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3-230
    • /
    • 2015
  • RCAN1은 calcineurin을 억제하는 내인성 단백질로 calcineurin-NFATc1 신호전달 경로와 관련된 질환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RCAN1-4 아형 유전자의 경우 NFATc1 전사인자에 의해 조절된다. RANKL 자극은 calcineurin-NFATc1 경로로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하는데, RCAN1과 파골세포의 분화에 관련된 연구는 보고 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RANKL 처리에 의해 파골세포 분화가 유도될 때 RCAN1이 calcineurin-NFATc1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했다.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골수단핵세포에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했다. RANKL 처리 후 조사 대상 유전자의 mRNA 발현과 단백질 발현을 각각 RT-PCR과 Western blot로써 측정했다. 마우스 RCAN1-4 vector를 파골전구세포인 RAW 264.7 단핵세포주와 골수단핵세포에 형질도입(transfection)시켜 RCAN1-4 유전자의 과발현을 유도했다. 형질도입 후 파골세포 분화의 형태적 변화는 TRAP 염색을 통해 관찰했다. RANKL 처리 후 NFATc1, calcineurin, RCAN1-4 mRNA 발현은 크게 증가했다. 단백질 발현의 경우 NFATc1과 RCAN1은 증가했으나 calcineurin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RCAN1-4 유전자의 과발현 유도 시 RCAN1-4 mRNA는 크게 증가되었으나 RCAN1 단백질 발현은 증가되지 않았다. 특히 RANKL 존재 시 RCAN1 유전자를 knock-down시켜도 RCAN1 발현은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 한편, NFATc1 발현은 과발현 유도시 감소했고 knock-down 유도 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RCAN1-4 유전자 과발현을 유도한 골수단핵세포에서 배양 5일 후 파골세포 분화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RANKL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 시 RCAN1이 calcineurin-NFATc1 경로를 통해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1,2,4-Triazine III : 1,2,4-Triazine 유도체의 Methiodide 염 합성과 이들 염의 고리 축소화반응에 의한 1,2,4-Triazole 유도체 합성 (1,2,4-Triazine III : Synthesis of 1-Methyl-1,2,4-triazinium Iodides and Their Ring Contraction Reaction to 1-Methyl-1,2,4-triazoles)

  • 이재근;유향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9-425
    • /
    • 1989
  • 1,2,4-Triazine 유도체들을 acetone 용매하에서 methyl iodide와 반응시켜 다양한 1-methyl-1,2,4-triazinium iodide 염을 합성하였다. 또한 이들 염을 10% NaOH 수용액 내에서 $K_3Fe(CN)_6$로 산화시킨 결과 고리 축소화반응이 일어나 1-methyl-1,2,4-triazole 유도체를 주로 얻을 수 있었으나 $C_6$에 치환기가 없을 경우는 미량이긴 하지만 1,6-dihydro-6-oxo-1,2,4-triazine 유도체도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고리 축소화반응은 $OH^-$에 의해 먼저 pseudo base를 형성하고 이 Pseudo base가 1-methyl-1,2,4-triazole과 1,6-dihydro-6-oxo-1,2,4-triazine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1,2,4-triazine의 3개의 질소원자 중 $N_1$ 원자에 quaternization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1,1'-디시클로알케닐 화합물에 대한 광화학적 연구 (Photochemistry of Some 1,1'-Dicycloalkenyls. The Mechanism of Sensitized Photocyclization)

  • 심상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2-220
    • /
    • 1976
  • 1,1'-디시클로알케닐의 광고리화 반응을 형광 퀘ㄴ칭, 증감제등을 써서 연구하였다. 증감제를 쓰는 경우 이 디엔의 광고리화 반응은 비틀린 삼중상태나 평면구조의 트란스 삼중상태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에 있는 평면구조의 s-시스 삼중상태에서 일어남을 알았다.

  • PDF

니켈 촉매를 이용한 1,1'-Bis(dimethylsilyl)ferrocene과 Carbonyl 화합물의 Silylation 반응 (Nickel Catalyzed Silylation Reaction of Carbonyl Compounds with 1,1'-Bis(dimethylsilyl)ferrocene)

  • 공영건;이정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9-144
    • /
    • 2002
  • 니켈 착물을 촉매로 사용한 1,1´-Bis(dimethylsilyl)ferrocene [1]과 carbonyl 화합물 -benzaldehyde, 4-cyanobenzaldehyde, trimethylacetaldehyde, acetophenone과 benzophenone-은 3-oxa-2,5-disilacyclo-1,1′-ferrocene을 생성하였다. 이와 대비되게 동일한 반응조건에서 화합물 [1]과 isobutyraldehyde의 반응에는 1,1′-bis(dimethylsilyl)ferrocene의 Si-H 결합에 2개의 aldehyde ligand가 이중 삽입된 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임산부 및 골반장기 종양환자에서의 Toxoplasma Latex 응집항체치의 의의 (Significance of Toxoplasma Antibody Titers by Indirect Latex Agglutination Tests in Pregnant Women and Pelvic Tumor Patients)

  • 최원영;최형락;나종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300-304
    • /
    • 1985
  • 서울강남성모병원에 내원한 산부인과환자 중 임산부 377명과 골반장기종양환자 43명 그리고 종합건강진단을 위해서 내원한 부인 8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간접 Latex응집반응항체가를 조사하였다. 1. 임산부 377례중 Tp항체가는 음성이 319례(84.6%), 1:2가 44례(11.7%), 1:4가 9례(2.4%) 1:8이 2례(0.5%), 1:16이 1례(0.3%), 1:32가 2례(0.5%)이었다. 2. 골반 장기종양환자 43례중에서는 Tp항체가가 음성이 29례(67.4%), 1:2가 8례(18.6%), 1:4가 1례(2.3%), 1:16이 2례(4.7%), 1:32가 1례(2.3%), 그리고 1:128이 2례(4.7%)이었다. 3. 건진쎈터의 부인 80례중 Tp항체가는 음성이 56명(70.0%), 1:2가 19례(23.8%), 1:4가 3례(3.8%), 1:8이 1례(1.3%), 그리고 1:128)이 1례(1.3%)이었다. 4. 실험군 420례중 피실험청희석배수로 1:32이상을 양성반응으로 보고 5례(1.2%)가 양성이었는데 그중 2례(0.5%)는 임산부에서, 그리고 3례(7.0%)는 골반내장기종양환자중에서 발견되었다. 5. 대조군 80례 중에서 1례(1.3%)에서만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프라바스타틴에서 $SLCO1B1^*15$의 약동학적 영향: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 of $SLCO1B1^*15$ on Pravastatin Pharmacokinetic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종윤;나오토 나카가와;윤현옥;천부순;유기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1-239
    • /
    • 2014
  • Background and objective: Pravastatin has been shown to have favorable risk-benefit profile when it is administered to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 to prevent cardiovascular events. However, subjects with impaired OATP1B1 activity may be more susceptible to pravastatin-induced muscle toxicity than subjects with normal OATP1B1 activity.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LCO1B1 genetic polymorphism on pharmacokinetics of pravastatin. Method: Medline$^{(R)}$ and Embase$^{(R)}$ were searched for relevant studies until July 2013. The search terms used were pravastatin AND (SLCO1B1 OR OATP1B1 OR LST1 OR SLC21A6) AND (gene OR $genetic^*$ OR $genomic^*$ OR $pharmacogenet^*$ OR $pharmacogenom^*$ OR $polymorph^*$). Results: A meta-analysis of the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 (AUC) of pravastatin in $SLCO1B1^*15$ and $SLCO1B1^*1a/^*1a$ was conducted. Five studies met all the inclusion criteria and methodological requirem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UC value between $SLCO1B1^*15$ and $SLCO1B1^*1a/^*1a$ (p=0.728). However, $SLCO1B1^*15$ participan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AUC values than $SLCO1B1^*1b/^*1b$ carriers (p<0.001). In case of $SLCO1B1^*15^*15$ carriers, they had significantly higher AUC value than $SLCO1B1^*1a/^*1a$ subjects (p=0.002). Lastly, compared with to the subjects of $SLCO1B1^*1a/^*1a$, the carriers of heterozygous $SLCO1B1^*15$ increased the AUC value of pravastati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Asian population (p=0.014). Conclusion: The present meta-analysis suggests that subjects with $SLCO1B1^*15$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AUC of pravastatin.

Importance of Sulfonylimidazolidinone Motif of 4-Phenyl-1-arylsulfonylimidazolidinones for Their Cytotoxicity: Synthesis of 2-Benzoyl-4-phenyl[1,2,5]thiazolidine-1,1-dioxides and Their Cytotoxcity

  • Kim, Il-Whan;Lee, Chong-Kyo;Kim, Hae-Soo;Jung, Sang-H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9-14
    • /
    • 2003
  • For probing the importance of planarity of imidazolidinone motif of 4-phenyl-1-(benzenesulfonyl)imidazolidinones 1 for their cytotoxicity, 4-phenyl-2-(benzoyl)[1,2,5]thiadiazolidine-1,1-dioxide (2a), 4-phenyl-2-(p-toluoyl)[1,2,5]thiadiazolidine-1,1-dioxide (2b), 4-phenyl-2-(phenylcarbamoyl)[1,2,5]thiadiazolidine-1,1-dioxide (3a), and 4-phenyl-2-(p-tolylcarbamoyl)[1,2,5]thiadiazolidine-1,1-dioxide (3b) were prepared along with their regioisomers (5a, 5b, 9a, 9b) and their cytotoxicity were measured against human lung carcinoma (A549), human colon carcinoma (COLO205), human ovarian cancer (SK-OV-3), human leukemic cancer (K562), and murine colon adenocarcinoma (Colon26) cell lines in vitro. All compounds prepared do not show any activity against all five cancer cell lines unlike 1. Compounds 1 possess planarity of imidazolidinone, especially in sulfonylurea moiety ($-SO_2$NHCONH-). However compounds 2 and 3 have nonplanar 5-membered ring, [1,2,5]thiadiazolidine-1,1-dioxides. Such structural differentiation might result in the loss of activity. Therefore the inactivity of 2 and 3 could also be an indication for the necessity of planarity of imidazolidinone ring of 1 for their cytotoxic activity.

맥주의 방사선방어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adiation Protection Effect of the Beer)

  • 손종기;하태영;황철환;이영화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90
    • /
    • 2007
  • 목 적: 현재 시판되고 있는 맥주(Alcohol 4.5% 이하)를 섭취한 후에 인체가 방사선(X-선)에 노출되었을 경우 방어효과의 가능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자원한 건강한 성인남자 5명(26$\sim$38세)으로부터 채취한 8 ml의 말초혈액 임파구세포를 분주하고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0.5 Gy, 1.0 Gy, 2.0 Gy, 3.0 Gy, 5.0 Gy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맥주섭취 전과 후, 그리고 미량성분의 첨가후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60시간동안 이를 배양하고 세포고사(Apoptosis)된 세포군(Apoptosis group)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로 측정하였다. 결 과: 맥주섭취 전에 방사선조사로 유발된 세포고사 세포군(Apoptosis group)과 섭취 후 맥주에 의해서 억제된 세포고사 세포군을 서로 비교하였다. 맥주섭취 전 방사선에 유발된 세포고사(Apoptosis) 세포군(Apoptosis group)비율은 0.5 Gy, 1.0 Gy, 2.0 Gy, 3.0 Gy, 5.0 Gy에서 1.22$\pm$1.1, 1.38$\pm$1.0, 1.47$\pm$1.2, 1.47$\pm$1.1, 1.50$\pm$1.2로 선량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맥주섭취 후 세포고사(Apoptosis)가 억제된 세포군(Apoptosis group) 비율은 선량에 따라서 0.97$\pm$1.2, 0.99$\pm$1.0, 1.11$\pm$0.9, 1.29$\pm$1.1, 1.15$\pm$1.1 으로 평균 약 21.4% 감소되었다. 또한 무알콜맥주에서 1.22$\pm$1.1, 1.17$\pm$1.1, 1.13$\pm$1.3, 1.38$\pm$1.2, 1.32$\pm$1.1으로 평균 10.8%로 저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인체가 방사선에 노출되기 전에 적당양의 맥주를 섭취하고 난 뒤에, 방사선에 노출된다면 맥주를 섭취하지 않은 상황에 비하여 방사선(X-선) 대한 방어효과(약 21.4%)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 PDF

OBTUSE MATRIX OF ARITHMETIC TABLE

  • Eunmi Choi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3호
    • /
    • pp.329-339
    • /
    • 2024
  • In the work we generate arithmetic matrix P(c,b,a) of (cx2 + bx+a)n from a Pascal matrix P(1,1). We extend an identity P(1,1))O(1,1) = P(1,1,1) with an obtuse matrix O(1,1) to k degree polynomials. For the purpose we study P(1,1)kO(1,1) and find generating polynomials of O(1,1)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