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

검색결과 242,991건 처리시간 0.129초

난용계의 난구함분에 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Egg Compositions in Layers)

  • 상병찬;한성욱;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3-89
    • /
    • 1989
  • 본 연구는 산란계의 개량을 위한 난구성분의 유전역과 유전상관을 추정하고자 1980년 3월 1 일부터 1981년 7월 31일까지 사육 되어온 S.C.W. Leghorn종 351수와 R. I. Red종 326鳶수에서 생산된 계란 6,093개의 난구성분을 조사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난백중은 S.C.W. Leghorn종과 R. I. Red종에서 각각 초산시에 28.67, 28.95g, 300일영에 36.28, 36.015, 5일영에 37.15, 36.855이었고, 난황중은 각각 초산시에 9.21, 9.465, 300일영에 15.95, 16.435, 500일영에 17.86, 18.54 g 이었으며, 난각중은 각각 초산시 4.04, 3.66 g, 300일영에 5.39, 5.13g, 500일영에 5.40, 5.28 g이었다. 2. 유전력 추정치에 있어서는 S.C.W. Legrn종 및 R. I. Red종의 난백중은 부분산성분에서 각각 0.637∼0.746, 0.94∼0.563 이었고, 모분산성분에서 각각 0.412∼0.496, 0.477∼0.620으로 대체로 높은 추정치이었으며, 난황중은 부분산성분에서 각각 0.213∼0.530. 0.253∼0.437이었코, 모분산성분에서 각각 0.343∼0.613, 0.389∼0.477로 모분산성분에서 높았으며, 난각중은 부분산성분에서 각각 0.427∼0.602, 0.141 ∼0.281 이었고, 모분산성분에서 각각 0.336∼0.409 및 0.380∼0.552이었다. 3. 난구성분들간의 유전상관은 난백중과 난황중간에는 S.C.W, Leghorn종과 R. I. Red종에서 각각 0.082∼0.399 및 0.142∼0.465로 저도 또는 중도의 상관인 반면에 난백중과 난각중간에는 각각 0.674∼0.952 및 0.216∼0.546으로 높거나 중정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난황중과 난각중간에는 각각 0.273∼0.771 및 0.122∼0.749이었다.각 0.47~0.52, 0.40~0.54로 유전력이 비교적 높은 형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총산란수(TEN)와 총산란중량(TEM)의 유전역은 각각 0.07~0.37, 0.18~0.27로 유전력이 낮은 형질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든 산란형질의 유전력이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 보다 높게 나타나서 이들 형질의 모체효과를 포함한 비상가적 유전분산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3. 퇴교배에 따른 유전력 변화를 부모분산성분에 의하여 살피보면 기초계군(BC0), 퇴교배 1세대(BC1), 퇴교배 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일령(SM)은 0.47, 0.42, 0.51 이였으며 총산란수(TEN)에서는 0.28, 0.13, 0.27으로 유전역 변화의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난중(AEW)과 총산란 중량(TEM)에서는 기초계군(BC0), 퇴교배1세대(BC1), 퇴교배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0.59, 0.43, 0.35와 0.28, 0.20, 0.18로 추정되어 뚜렷한 유전력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난중과 총산란중량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4. 산란형질간의 유전상관을 살펴보면 초산일령(SM)과 총산란수(TEN)간의 유전상관은 -0.55이고 초산일령(SM)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42로 부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간은 0.20으로 낮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수(TEN)간은 -0.29이고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31의 낮은 유전상관을 보이고 있다. 한편 총산란중량(TEM)과 총산란수(TEN)간은 0.82의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므로 이상의 결과에서 총산란중량(TEM)에 관여하는 것은 평균난중(AEW) 보다는 주로 총산란수(TEN)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총산란수( TEN)는 초산일령(

  • PDF

경제능력 검정성적을 기초로 한 산란계의 생산성 향상도 추정 연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Productivity Improvement of Layer on the Basis of Random Sample Test)

  • 송상정;정선부;박응우;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9-252
    • /
    • 1989
  • 본 연구는 대한양계협회의 1966연부터 1988연의 21회에 걸친 경제능력검정 성적을 이용하여 난용계 전체의 산란능력 개선과 유색계와 백색유를 구분하여 산란능력이 어느 방향으로 개선되었는가를 분석함으로서 앞으로의 육종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형질은 육성률, 성계생존율, 성성숙일영, 산란율, 산란지수, 난중, 사료요구율, 500일영 체중이다. 이상의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성률은 80연대 평균 99.4%이다. 유색계의 80년대 평균은 99.5% 백색계는 99.06%로 유색계가 우수하였다. 성계생존율은 연간 0.98%의 증가가 있어 왔으며 유색계 백색계 모두 연간 0.86%의 증가가 있어왔다. 2. 성성숙일영은 60연대 171.2일에서 70연대는 160.8일로 연간 1. 1일의 개선이 있었으나 80연대 162.4일로 오히려 증가했다. 백색계는 70년대 160.5일에서 80년대 159.5일로 미미한 개선이 있었고 유색계는 70연대 163.7일에서 80연대 166.1 일로 증가했다. 3. 산란율은 연간 0.96%의 증가로 80년대 평균 76.94%이다. 유색계의 경우 연간 1.09%의 증가로 80연대 평균 76.51%이고 백색계의 경우연간 0.63%로 80연대 평균 77.45%이다. 4. 산란지수 연간 4.5개씩 증가하여 80연대 평균 265.1개이다. 유색계는 연간 5.37개씩 증가하여 80년대 평균 264.97개이다. 백색계는 년간 4.23개씩 증가하여 80년대 평균265.5개이다. 5. 난중은 연간 0.22g 씩 증가하였다. 유색계는 0.25g 씩 증가하였으며 백색계는 0.03g 씩 감소하였다. 6. 사료요구양은 매년 0.04 개선되었고 백색계는 0.05의 개선이 유색계는 0.1의 개선이 있었다. 7. 500일영 체중은 매년 6.38g 씩 증가하였고 유색계는 14.95 g씩 감소했으며 백색계는 10.37g 씩 감소하였다. 8. 전체성적 백색계 유색계에서 성성숙일영과 산란율의 상관관계는 각각 - 0.4512, -0.0358, 0.0989이며 산란지수와는 -0.2876, -0.1530, 0.1181, 난중과는 -0.4347, 0.3475, 0.2885, 500일영 체중과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

  • PDF

비납계 0.98 (Na0.44K0.52)Nb0.84O3-0.02Li0.04 (Sb0.06Ta0.1)O3-0.5 mol%CuO 세라믹스의 전기적, 구조적 특성 (Electr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Lead Free 0.98 (Na0.44K0.52)Nb0.84O3-0.02Li0.04 (Sb0.06Ta0.1)O3-0.5 mol%CuO Ceramics)

  • 이승환;남성필;이성갑;이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6-120
    • /
    • 2011
  • The 0.98 ($Na_{0.44}K_{0.52})Nb_{0.84}O_3-0.02Li_{0.04}$ ($Sb_{0.06}Ta_{0.1})O_3-0.5$ mol%CuO ceramics have been fabircated by ordinary sintering technique and the effect of various calcination method on the electrical propertis and microstructure have been studied. It was observed that the various calcination method influenced the elelctr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0.98NKN-0.02LST-0.5 mol%CuO ceramics with the optimum piezoelectric constant ($d_{33}$) and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_p$) at room temperature of about $155{\rho}C/N$ and 0.349, respectively, from 0.98NKN-0.02LST-0.5 mol%CuO ceramics sample. The curie temperature ($T_c$) of this ceramic was found at $440^{\circ}C$. The 0.98NKN-0.02LST-0.5 mol%CuO ceramics are a promising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다진 생강의 저장성 증진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Quality and Prolongation in Chopped Ginger Storage)

  • 이상복;김명숙;최윤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23-127
    • /
    • 1997
  • 다진 생강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진 생강에 citric acid $0.5{\sim}2.0%$처리는 초기 pH $3.1{\sim}4.6$으로 8개월 후에도 대체로 양호하였으며, citric acid 0.5% 처리의 polyphenol oxidase (PPO) 활성은 NaCl 5.0%나 ascorbic acid 0.5%처리보다 낮았고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는 citric acid에 비하여 쉽게 변질되었다. NaCl(5.0%)+citric acid(0.5%)나 NaCl(5.0%)+citric acid(1.0%)의 혼합처리로 NaCl 5.0% 단일처리에 비하여 pH 및 PPO활성이 낮아 졌으며 12개월 경과 후에도 양호하였고, NaCl(5.0%)+ascorbic acid(0.5%)처리는 NaCl(5.0%)+citric acid(0.5%)처리와 비교하여 pH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4개월째 PPO활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무처리보다도 높았으나 변질되지 않았다. 또한 NaCl+citric acid+ascorbic acid의 세 가지 혼합처리 중 5.0%+0.1%+0.1%, 5.0%+0.25%+0.1%, 5.0%+0.5%+0.1% 등의 처리는 8개월 저장시까지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변색이나 이취가 발생되어 장기보존에는 5.0%+0.5%+0.25%처리가 보다 효과적 이었다.

  • PDF

난시성분의 측정 정확도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Measurement Accuracy of Astigmatic Components)

  • 유종숙;성아영;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69
    • /
    • 2006
  • 본 연구는 자각적 굴절검사 값과 비교분석하여 정확도와 신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난시 구성요소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난시 도수량의 평균은 자각굴절검사, 폐쇄형, 개방형 기기에서 각각 $-0.689{\pm}0.516D$, $-0.691{\pm}0.530D$, -$0.704{\pm}0.507D$로 측정되었으며, 자각검사와의 난시 도수량 차이는 폐쇄형, 개방형 기기 각각에서 $0.002{\pm}0.191D$(p=0.191), $0.015{\pm}0.137D$(p=0.137)이었으며, 난시축은 두 기기 모두 약 85%이상 ${\pm}20$도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J_0$성분의 평균은 자각식 검사법과 폐쇄형 및 개방형에서 각각 $-0.155{\pm}0.332D$, $-0.004{\pm}0.178D$, $-0.001{\pm}0.156D$로 계산되었다. $J_{45}$ 성분의 평균은 자각식 검사법과 폐쇄형 및 개방형에서 각각 $-0.023{\pm}0.227D$, $-0.026{\pm}0.172D$, $-0.014{\pm}0.182D$로 계산되었다. 두 자동굴절검사기기 모두 난시측정 시 참고할 만한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 PDF

CoO가 첨가되지 않은 스피넬계 흑색안료의 합성 (Synthesis of Cobalt Oxide Free Black Color Spinel Pigment)

  • 김준호;이성호;서만철;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639-644
    • /
    • 2007
  • Spinel pigments, developing black color in high temperature glazes at oxidation or reduction atmosphere, without CoO because of its high price were synthesized by solid solution method. Ten mixed compositions consisted of NiO, MnO, $Fe_2O_3 and $Mn_2O_3$ were fired at $1250^{\circ}C$ for 1h. The resulting pigment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FT-IR, SEM and UV-vis spectrometer. Structure of the pigments are spinel and particles' shape are spherical or cubic. Glazed tiles containing 5 wt% pigments were fired at $1260^{\circ}C$ and $1240^{\circ}C$ in reduction atmosphere. Color in glazes were analyzed by UV-vis spectrometer. Colors of NiO 0.875 MnO $0.125{\cdot}Fe_2O_3$ $0.48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0125 mole% and NiO 0.875 MnO $0.125{\cdot}Fe_2O_3$ $0.38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1125 mole% in lime glaze showed black in oxidation, in reduction NiO 0.875 MnO $0.125{\cdot}Fe_2O_3$ $0.48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0125 mole% and NiO 0.875 MnO $0.125{\cdot}Fe_2O_3$ $0.4375{\cdot}Cr_2O_3$ $0.55{\cdot}Mn_2O_3$ 0.0125 mole% showed black. In case of lime-barium glaze, NiO 0.875 MnO $0.125{\cdot}Fe_2O_3$ $0.38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1125 mole%, NiO 0.975 MnO $0.075{\cdot}Fe_2O_3$ $0.43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0625 mole% and NiO 0.925 MnO $0.075{\cdot}Fe_2O_3$ $0.43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0625 mole% showed black color in oxidation and NiO 0.875 MnO $0.125{\cdot}Fe_2O_3$ $0.38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1125 mole%, NiO 0.925 MnO $0.075{\cdot}Fe_2O_3$ $0.43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0625 mole% and NiO 0.725 MnO $0.275{\cdot}Fe_2O_3$ $0.4375{\cdot}Cr_2O_3$ $0.50{\cdot}Mn_2O_3$ 0.0625 mole% showed black one in reduction.

Tc-99m Infecton과 Ciprofloxacin의 생체외 항균력 비교 (Comparison of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c-99m Infecton and Ciprofloxacin)

  • 김성민;범희승;송호천;정환정;김지열;신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5-80
    • /
    • 2001
  • 목적: 새로운 감염영상법인 Tc-99m Infecton 스캔은 4-fluoroquinolone 계열의 광범위 항생제인 ciprofloxacin의 유도체를 이용한 것인데 이에 사용되는 Infecton의 항균력에 대한 연구는 접하기 어렵다. 저자들은 표준 균주에서의 Infecton의 항균력을 ciprofloxacin과 비교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Infecton의 표준 균주 3종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에 대한 최소발육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와 최소살균농도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검사하여, ciprofloxacin과 비교하였다. Ciprofloxacin과 Infecton의 MIC와 MBC는 표준균주에서 5회 검사하여 결과를 평균${\pm}$표준오차(범위)로 나타내었다. 결과: Infecton과 ciprofloxacin 의 MIC 결과는 S. aureus ATCC 29213에서 각각 $1.12{\pm}0.2\;(0.8{\sim}1.6){\mu}g/ml$이었으며 (p=0.016), E. coli ATCC 25922 에서는 각각 $0.03{\pm}0.005\;(0.025{\sim}0.05){\mu}g/ml,\;0.011{\pm}0.001\;(0.006{\sim}0.012){\mu}g/ml$이었고(p=0.007), P. aeruginosa ATCC 27853에 대해서는 각각 $0.96{\pm}0.16\;(0.8{\sim}1.6){\mu}g/ml,\;0.56{\pm}0.1\;(0.4{\sim}0.8){\mu}g/ml$로(p=0.66), 표준 균주 3종 모두에서 Infecton의 MIC가 ciprofloxacin 보다 $2{\sim}4$배 더 높았으나, 미국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가 정한 바에 의한 MIC 정도관리범위 내의 농도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Infecton 과 ciprofloxacin의 MBC 결과는 S. aureus ATCC 29213에서 각각 $2.6{\pm}0.4\;(1.6{\sim}3.2){\mu}g/ml,\;0.88{\pm}0.19\;(0.4{\sim}1.6){\mu}g/ml$였고(p=0.009), E. coli ATCC 25922에서는 각각 $0.035{\pm}0.006\;(0.025{\sim}0.05){\mu}g/ml,\;0.02{\pm}0.008\;(0.025{\sim}0.05){\mu}g/ml$ 였으며 (p=0.114), p. aeruginosa ATCC 27853에서는 각각 $2.2{\pm}0.4\;(1.6{\sim}3.2){\mu}g/ml$$1.4{\pm}0.2\;(0.8{\sim}1.6){\mu}g/ml$로서(p=0.16), 표준균주 3종 모두에서 Infecton의 MBC 또한 ciprofloxacin에 비해 $2{\sim}4$배가 높았다. 결론: Tc-99m Infecton은 ciprofloxacin 보다는 약하였지만 표준균주에 대해 생체외 항균력을 보였다.

  • PDF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on Diabetes Control and Blood Antioxidant Status)

  • 신경남;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89-695
    • /
    • 2011
  • 본 연구는 효과적인 당뇨 교육 및 평가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안동시 보건소를 내원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당뇨교육을 하고, 교육 전, 교육 후 및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영양소 섭취, 혈당 관리와 항산화 영양상태 및 DNA 손상 정도를 조사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기에 따른 교육 효과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HbA1c와 총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장 레티놀(p=0.001)과 토코페롤(p=0.000), 그리고 CAT(p=0.000)와 GPx(p=0.000)의 활성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혈장 과산화지질(TBARS) 농도(p=0.000)와 DNA 손상 정도(p=0.000)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는 에너지의 경우, 교육 전에 EER의 76.4% 수준으로 섭취하였으나 교육 직후와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83.6%와 90.6%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9). 에너지 섭취의 증가와 함께 인(p=0.033), 나트륨(p=0.001), 칼륨(p=0.019), 아연(p=0.043), 리보플라빈(p=0.050), 엽산(p=0.048) 및 비타민 C(p=0.008)의 섭취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영양소 섭취 상태의 변화와 생화학적 특성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 변화는 공복혈당 및 HbA1c의 변화와 유의성은 없었으나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칼륨(r=-0.418, p<0.05), 철분(r=-0.443, p<0.05), 리보플라빈(r=-0.432, p<0.05) 및 엽산(r=-0.446, p<0.05)의 섭취 상태 개선이 혈액의 과산화지질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r=0.543, p<0.01), 단백질(r=0.545, p<0.01), 인(r=0.425, p<0.05), 철분(r=0.485, p<0.05), 아연(r=0.570, p<0.01) 및 나이아신(r=0.510, p<0.05)의 섭취는 혈장 레티놀과, 엽산섭취(r=0.605, p<0.01)의 변화는 CAT와 각각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처럼 당뇨병에서 식이를 통한 영양소의 섭취 증가는 항산화 상태 개선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일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운산 금 광상의 엽리상 석영맥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와 녹니석의 산상 및 화학조성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Mica and Chlorite from Laminated Quartz Vein of Unsan Au Deposit)

  • 유봉철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1호
    • /
    • pp.1-14
    • /
    • 2021
  • 운산 금 광상은 한반도의 3대(대유동 광상, 광양 광상) 금 광상중의 하나였다. 이 광상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와 중생대의 반상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와 중생대의 반상화강암내에 발달된 단층대를 따라 충진한 함 금 석영맥 광상으로 조산형 금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의 석영맥은 광물조합에 따라 1) 방연석-석영맥형, 2) 자류철석-석영맥형, 3) 황철석-석영맥형, 4) 페크마틱 석영맥형, 5) 백운모-석영맥형 및 6) 단순석영맥형으로 분류된다. 연구된 석영맥은 황철석-석영맥형이며 견운모화작용, 녹니석화작용 및 규화작용이 관찰된다. 백색운모는 유색대에서 백색석영, 황철석, 녹니석, 금홍석, 모나자이트, 저어콘, 인회석, 칼리장석 및 방해석 등과 함께 세립질 내지 중립질 입단으로 산출된다. 이 백색운모의 화학조성은 (K0.98-0.86Na0.02-0.00Ca0.01-0.00Ba0.01-0.00 Sr0.00)1.00-0.88(Al1.70-1.57Mg0.22-0.09Fe0.23-0.10Mn0.00Ti0.04-0.02Cr0.01-0.00V0.00Ni0.00)2.06-1.95 (Si3.38-3.17Al0.83-0.62)4.00O10(OH2.00-1.91F0.09-0.00)2.00로써 이론적인 이중팔면체형 운모류 값보다 Si가 높고 K, Na, Ca는 낮다. 이 광상의 엽리상 석영맥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의 화학조성 변화는 팬자이틱(phengitic) 또는 Tschermark 치환[(Al3+)VI+(Al3+)IV <-> (Fe2+ 또는 Mg2+)VI+(Si4+)IV] 및 직접적인 (Fe3+)VI <-> (Al3+)VI 치환에 의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엽리상 석영맥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의 화학조성은 (Mg1.11-0.80Fe3.69-3.14Mn0.01-0.00Zn0.01-0.00K0.07-0.01Na0.01-0.00Ca0.04-0.01Al1.66-1.09)5.75-5.69 (Si3.49-2.96Al1.04-0.51)4.00O10 (OH)8로써 이론적인 녹니석보다 Si 함량이 높다. 이 녹니석의 화학조성 변화는 팬자이틱(phengitic) 또는 Tschermark 치환(Al3+,VI+Al3+,IV <-> (Fe2+ 또는 Mg2+)VI+(Si4+)IV) 및 팔면체적 Fe2+ <-> Mg2+ (Mn2+) 치환에 의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산 광상의 엽리상 석영맥 및 변질광물은 조산운동 시 연성전단(ductile shear) 시기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