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Sesami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 출토 고려시대 유병의 유기물 분석 (Organic Residues Analysis of Oil Bottle of Goryeo Dynasty Excavated from the Soejeoul Site, Geumneung-dong, Chungju)

  • 윤은영;김수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38-647
    • /
    • 2021
  • 유기잔존물(organic residues)은 동물이나 식물에서 유래된 생체분자(biomolecule)의 일부분으로 최근 과학적 분석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모습 복원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청자 유병의 내부 유기물을 규명하고자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외선 분광기(FT-IR)와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병 내 유기물은 식물에서 유래된 기름(oil)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GC-MS 분석 결과에서 다가 불포화 지방산과 식물성 스테롤이 검출되었고 참깨 종자에서 확인되는 세사민(sesamin) 성분이 검출되었다. 세사민은 리그난(lignan) 계열의 항산화물질로 참깨의 특성 성분이다. 따라서 고려시대 유병 내부에 담겨 있던 유기물은 참깨와 관련된 물질로, 참깨유가 보관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흑임자의 조리 조건에 따른 항산화 효과의 비교 (A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Black Sesame Seeds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Conditions)

  • 박정리;채경연;홍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0-531
    • /
    • 2007
  •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black sesame seeds increased in proportion to steaming time, and it decreased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The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we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steamed black sesame>raw black sesame and roasted black sesame>raw black sesame, Crude protein decreased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steaming time, and more crude protein was found in the raw black sesame samples than in the roasted black sesame samples. The contents of sesamin, sesamolin, and total lignans we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roasted black sesame>raw black sesame>steamed black sesame. In the steamed black sesame samples, sesamin showed its highest level with 20 minutes of treatment, and sesamolin showed its highest level with 15 minutes of treatment. In the roasted black sesame samples, sesamin, sesamolin, and total lignans showed their highest levels with 15 minutes of treatment at $100^{\circ}C$.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increased in proportion to steaming time in the steamed samples, and reached a peak after 15 minutes of treatment at $100^{\circ}C$, and then decreased after 20 minutes. SOD-like activity reached a peak after 15 minutes of treatment, and in the roasted sample it reached a peak after 15 minutes of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after 20 minutes. SOD-like activity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tocopherol and higher than sesamol. The intensit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following 30 minute treatments, was shown to be highest in the steamed black sesame samples after 25 minutes of treatment, and next highest in the roasted black sesame samples after 15 minutes at $100^{\circ}C$.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tocopherol and sesamol. With regard to lecithin's antioxidant effects, the steamed samples showed a higher oxidation restriction rate in proportion to time, and the roasted samples showed the highest rate after 15 minutes of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after 20 minutes of treatment. fo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similar scavenging activity to tocopherol, and comparative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sesamol, was shown in all samples: all samples showed scavenging abilities of 90% or higher. In summary, this study applied thre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to black sesame to determine the optimum treatment conditions, and also examined the antioxidant effect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roasting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than producing oil, and also suggested that methods other than roasting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in cooking. Also, th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can be applied in cooking in a variety of ways, to enhanc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 PDF

식물성 식용 유지류의 특성 연구 (참기름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ble oils)

  • 박일용;팽기정;정진일;민승식;노미정;박유신;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18권5호
    • /
    • pp.444-451
    • /
    • 2005
  • 참기름에서 스테롤류와 지방산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방법은 특히 세사민의 추출 효율을 크게 향상하여 세사민과 캄파스테롤의 비율을 크게 향상시켜 감정의 도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기타 스테롤류도 확인하였다. 유도체화를 진행시키면 지방산과 스테롤류의 동시 분석이 가능하였으나, 감정의 도구로는 더 많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깨의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Sesame)

  • 류수노;김관수;이은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40-149
    • /
    • 2002
  • Sesame (Sesamum indicum L.) is probably the most ancient oilseed crop known in the world. Sesame seed is known for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for having oil (51%) and protein (20%) content.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same oil is palmitic acid (7.8%), stearic acid (3.6%), oleic acid (45.3%), and linoleic acid (37.7%). Sesame oil is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oxidative stability compared with other vegetable oils. Two lignan-type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are the major constituents of sesame oil unsaponifiables. Sesamol (a sesamolin derivative) can be present in sesame seeds and oils in very small amount. Other lignans and sesamol are also present in sesame seeds and oils in very small amount as aglycones. Lipid oxidation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samolin-fed rats, which suggests that sesamolin and its metabolites contribute to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esame seeds and oil and support that sesame lignans reduce susceptibility to oxidative stress. Sesaminols strongly inhibit lipid peroxidation related to their ability to scavenge free radical. The sesame seed lignan act synergistically with vitamin I in rats fed a low $\alpha$-tocopherol diet and cause a marked increase in a u-tocopherol concentration in the blood and tissue of rats fed an $\alpha$-tocopherol containing diet with sesame seed or its lignan. The authors are reviewed and discussed for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and researched in sesame seeds to provide and refers the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ir quality.

Phytosterols and Lignans from the Sesame Dregs of Sesamum indicum

  • Kim, Hye-Min;Lee, Jeong-Min;Park, Jun-Yeon;Lee, Sul-Lim;Han, Saem;Kim, Hyun-Young;Son, Dong-Wook;Choi, Sang-Yoon;Lee, Sang-Hyun P.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20-426
    • /
    • 2008
  •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sesame dregs of Sesamum indicum was conducted by open column and prep-HPLC chromatography. Two phytosterols (1 and 2) and two lignans (3 and 4) were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s of sesame dregs, and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1), daucosterol (2), sesamin (3), and sesamolin (4) by spectral analysis. Although these compounds were already isolated from sesame, it is important that they were still main phytochemical components in the sesame dregs.

참깨 품종별 Sesamin, Sesamolin 함량 변이 (Quantitative Analysi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Various Cultivars of Sesame)

  • 김금숙;김동휘;정미란;장인복;심강보;강철환;이승은;성낙술;송경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96-502
    • /
    • 2004
  • 본 시험는 국내의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이 미흡한 실정에서, 기존에 개발된 참깨 품종을 대상으로 항산화 성분인 리그난 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 등의 품질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과 리그난 화합물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소재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품질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2년, 2003년에 재배된 참깨 각각 21품종, 27품종을 대상으로, 2002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pm1.74\;2.48\pm0.68mg/g$이었으며, 2003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pm1.51\;2.48\pm0.67mg/g$이었다. 2. 흰깨, 검은깨의 2003년의 세사민 평균함량은 $4.87\pm0.73\;1.82\pm0.47mg/g$, 세사몰린 함량은 $2.85\pm0.25\;1.42\pm0.31mg/g$으로 세사민, 세사몰린 모두 흰깨가 검은깨보다 함량이 $2\~4$배정도 높았다. 3. 성분깨는 세사민, 세사몰린 함량이 2002년에는 각각 5.94, 3.26mg/g이었고, 2003년에는 각각 6.27, 3.21mg/g으로 모두 상위 $1\~2$위 순위에 분포하는 양상이었으나, 다른 흰깨 품종들은 재배 연수에 따라 절대함량은 물론 함량 순위에도 약간의 변이를 보였다. 4. 세사민은 2002년에는 단백깨(6.22mg/g), 성분깨(5.94mg/g), 남다깨(5.83 mg/g), 남안깨(5.59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고, 2003년에는 성분깨(6.27 mg/g), 다삭깨(5.53mg/g), 단백깨(5.50mg/g), 진백깨(5.45 mg/g), 서둔깨(5.41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5. 세사몰린은 2002년에는 황백깨(3.27mg/g), 성분깨(3.26mg/g), 안남깨(3.22 mg/g), 한섬깨(3.17 mg/g), 단백깨(3.16mg/g)순으로, 2003년에는 성분깨(3.21 mg/g), 서둔깨(3.04 mg/g), 풍안깨(3.10 mg/g), 남안깨(3.09 mg/g), 단백깨(3.04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6. 세사민 함량이 높은 단백깨, 성분깨, 다삭깨, 남다깨, 풍안깨 등은 성분깨가 $48.56\%$로서 기름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나머지는 $50.00\%$ 이상으로 양호한 기름 함량분포를 나타내었다.

참깨 탈지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생리활성 및 리그난 성분 탐색 (Screening of Lignan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ungkukjang Fermented with Defatted Sesame Flour)

  • 김태수;최미경;김진숙;한재웅;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80-1586
    • /
    • 2009
  • 본 연구는 청국장에 유지부산물을 첨가하여 일반성분,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유효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탄수화물 함량은 DSFAF 청국장 24.97%, Control 23.86%, DSFBF 청국장 20.21%로 Control과 DSFAF 청국장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비교적 낮았다. 수분함량은 DSFBF 청국장 55.98%, DSFAF 청국장 52.83%, Control 48.89%로 Control에 비해 DSFBF 청국장이 높게 나타났고, 회분함량은 DSFBF 청국장 1.48%, DSFAF 청국장 2.41%, Control 6.45%로 DSFBF, DSFAF 청국장 모두 Control보다 낮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DSFBF 청국장 3.30%, DSFAF 청국장 3.93%, Control 1.77%로 Control보다 DSFAF 청국장이 2%정도 함량이 많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 DSFBF 청국장 19.03%, DSFAF 청국장 15.86%, Control 19.03%로 Control과 비슷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생리활성 측정에서 총 페놀 함량은 DSFBF 청국장 1.26 mg/mL, Control 1.20 mg/mL, DSFAF 청국장 1.14 mg/mL로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은 DSFBF 청국장 21.30%로 Control 20.2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DSFBF 청국장 68.48%로 Control 34.01%에 비해 2배 이상의 superoxide anion 제거능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서는 DSFAF 청국장 96.87%, DSFBF 청국장 96.40%, Control 95.73%로 90% 이상의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Relative antioxidative effects 저해활성은 DSFBF 청국장 47.92%, Control 47.06%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시료 추출물에서의 sesamin, sesamolin을 HPLC를 통해 정량한 결과 sesamin은 DSFAF 청국장 2.41${\pm}$0.14 mg/g, DSFBF 청국장 3.04${\pm}$0.21 mg/g로 DSFBF 청국장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Sesamolin 또한 DSFAF 청국장 1.12${\pm}$0.07 mg/g, DSFBF 청국장 1.36${\pm}$0.09 mg/g으로 Control과 DSFAF 청국장에 비해 DSFBF 청국장이 생리활성 및 유효성분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기름 제조 후 부산물로 생성되는 참깨탈지박은 청국장에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초 자료는 물론, 앞으로 우수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X. 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의 전초로부터 저밀도 지질 단백질(LDL) 산화 억제물질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IX.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und on LDL-Oxidation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

  • 방면호;송명종;한민우;이대영;조진경;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24-227
    • /
    • 2007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2종의 phenylpropanoids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genol(1) 및 (-)-sesamin(2)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Eugenol(1)은 LDL-항산화활성 억제활성이 40 ${\mu}g/ml$ 처리 농도에서 $87.8{\pm}1.0%$로 나타났다.

참깨에 대한 식품영양학적인 연구 - 제1보 탈피(脫皮)과정이 참기름 및 박(粕)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Chemical and Nutritional Studies on Sesamum indicum - I. Effects on the Quality of Sesame Oil and its Meal by Decortication -)

  • 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73
  • 한국산의 참깨를 탈피(脫皮) 한 것과 탈피(脫皮) 하지 않은것, 이들을 각각 채유(採油)한 기름 및 박(粕)에 대하여 일반성분, 기름의 성상(性狀), 지방 조성, 아미노산 조성, 특수 미량성분 및 oxalate 의 함량 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탈피(脫皮)참깨 및 그 박(粕)은 탈피(脫皮)하지 않은 전(全)참깨 및 박(粕)보다 조섬유, 조회분, 산불용성회분의 함량이 더 적었다. 2) 탈피(脫皮)참깨기름은 전(全)참기름 보다 비중, 굴절률, 옥소가, 비검화물, 불용성잡물의 함량이 더 컸었다. 3) 탈피(脫皮)참기름과 전(全)참기름의 지방상 조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전자는 후자보다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적었다. 4) 탈피(脫皮)참깨박(粕)은 전(全)참깨박(粕)보다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아미노산 조성은 서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들의 박(粕)은 모두 methionine, Cystine, tryptophan 은 풍부하나 lysine 의 함량이 적었다. 5) 탈피(脫皮)참깨기름과 전(全)참깨기름중의 sesamol, sesamolin 및 sesamin 의 함량은 서로 차이점이 없었다. 6) 탈피(脫皮)참깨 및 그박(粕)은 전(全)참깨 및 그박(粕)보다 oxalate 및 calcium 의 함량이 적었다.

  • PDF

Correlation of Lignan Contents with Protein and Oil Contents in the Seeds of Sesamum indicum L.

  • Lee, Jin-Hwan;Baek, In-Youl;Ko, Jong-Min;Shim, Kang-Bo;Kang, Nam-Suk;Kim, Hyun-Tae;Kang, Churl-Hwan;Park, Keum-Yong;Park, Ki-Hun;Ha, Tae-J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20-27
    • /
    • 2008
  • The contents of lignan, protein, and oil of nine Sesamum indicum cultivar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lignan contents, sesamin 1 and sesamolin 2 were isolated from the ethylacetate extracts of the Suwon cultivar, and the structures were fully characterized by spectral and physical methods. The seeds of nine cultivars were screened for two lignans, which were determined by HPLC using a $C_{18}$ reversed phase column coupled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Suwon cultivar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1: $6.24{\pm}0.04$ and 2: $3.58{\pm}0.01\;mg/g$), whereas Soonheuk displayed the lowest (1: $0.91{\pm}0.01$ and 2: $0.73{\pm}0.01\;mg/g$). The average content ratio of sesamin 1 (3.64 mg/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samolin 2 (2.57 mg/g). The protein content ranged from $21.52{\pm}0.35$ to $31.22{\pm}0.25%$, Suwon containing the highest level and Soonheuk had the lowest. Kwangbaek showed the highest oil level ($49.84{\pm}0.40%$), while Soonheuk exhibited the lowest ($42.52{\pm}0.05%$). Sesamin 1 exhibited a strong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the ABTS ($IC_{50}:\;63.2{\pm}2.4\;{\mu}M$) than its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C_{50}>200\;{\mu}M$).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lignan content is affected by protein and oil contents. Concentra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the cultivars could be a key factor in the selection process of a high quality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