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연남성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4초

건강행태 및 요검사 수치와 치주염과의 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urinalysis and Periodontitis)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17-124
    • /
    • 2018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1, 2, 3차 년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건강행태 및 요검사 수치와 치주염과의 융합적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구강검진 내용과 요당, 요케톤 등의 요검사 수치가 있는 중년층 만 40세 이상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SPSS(SPSS 18.0 for Windows, SPSS Inc, USA)를 사용하여 최종 11,036명을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요검사 수치와 치주염 유무 차이,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chi}^2-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요검사 수치와 치주염 유병 관련성에서는 요당 양성, 단백뇨의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차이가 있었다. 위험요인으로는 남성, 연령, 소득과 교육수준, 농촌, 흡연, 비만일 경우, 요당 양성일 경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건강행태의 개선과 전신질환 요인들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만성병인 치주염의 관리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일부 흡연 남성의 식사섭취와 대사증후군 위험도 (Nutrient Intake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Male Smokers)

  • 김명옥;이혜진;박은주;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83-795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MS) in healthy 92 male smokers (mean age: $44.4\;{\pm}\;7.8\;yrs$). We investigated the anthropometric assessment and dietary intake survey for 2 days by 24-recall method, also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were measured. The average numbers of cigarettes smoking a day were 21.3/d, smoking duration were 21.5 years. The proportion of fat energy was 24.9% and intakes of vitamin B2, folate, calcium, potassum and fiber were lower than KDRI. The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fat % were 24.8, 23.9% respectively. The systolic ($134.1\;{\pm}\;1.4\;mmHg$) and the diastolic blood ($87.9\;{\pm}\;1.1\;mmHg$) pressure were in borderline hypertension. Among biochemical parameters, TG ($173.6\;{\pm}\;9.4\;mg/dL$) and fasting blood glucose ($109.0\;{\pm}\;2.4\;mg/dL$) levels were out of normal values. The most occurred problem among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S was the borderline hypertension (63%) in subjects. Regarding the correlations of anthropometric data with biochemical factors, T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MI, body fat % and waist circumference. Smoking yea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moking habit has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risk factors of MS. Therefore, quitting is necessary to prevent MS, and nutrition education and dietary management program are required to prevent the degenerative disease.

공동형성 원발성 폐암의 다발성 공동형성 폐전이 1예 (A Case of Cavitary Pulmonary Metastases of Primary Cavitary Lung Cancer)

  • 정지헌;강홍모;김장하;이병호;소정은;이승준;최천웅;유지홍;성동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319-324
    • /
    • 2002
  • 저자들은 장기간의 흡연력이 있는 60세 남성흡연자에서, 방사선소견상 다발성의 공동을 지니는 병변을 보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큰 공동을 형성한 원발성 폐암의 다발성 공동 형성 전이로 확진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중고령 남성의 시간-소득자원 확보와 건강증진행동의 관련성: 가용이론의 적용 (Time, Mone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Aged Men: Looking Through the Lens of Capability Theory)

  • 차승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2호
    • /
    • pp.173-1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ime-income availabilit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physical practic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of older males (55-69).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health-behavior chang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ale retirement. The availability of time resources was examined by addressing the amount of weekly paid labor hours.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resources was calculated by using the debt-income ratio. The study sample comprised 1,372 (age range 55-69) male respondents of the 200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6 KLOSA wave 1). The results of CHAID (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analysis uncovered four distinctive combinations of resource types: time-money poor, time rich, money rich, time-money rich. According to logit results, these four groups had different socio-demographic profiles and different health-behavior risks. The time-money poor males were unlikely to perform physical activities needed to improve their health or to quit smoking or alcohol consumption. This group was also more likely to consume alcohol compared to the time-money resource types. In contrast, the time-money rich group was more likely to exercise longer and more frequently than the reference group (time and money poor). The time-rich types, those who have time-only resources and less money, were likely to be smokers and have problems with alcohol consumption.

  • PDF

궐련형 전자담배 YouTube 동영상 내용 분석: 제품 및 건강 유해성 정보, creator 특성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YouTube Vidoes Regarding Heated Tobacco Products: Focus on Product and Health Harm Information, and Creator Characteristics)

  • 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89-397
    • /
    • 2019
  • 전자담배 사용에 대한 관심과 건강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전자담배 업계의 소설 미디어를 통한 담배 마케팅 규제 논의가 활발하다. 전자담배 업계가 YouTube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적극적 마케팅 공세를 펼치고 있지만 전자담배 관련 YouTube 동영상이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지를 분석한 국내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 동영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제품 관련 정보와 건강 관련 정보 전달 여부, 그리고 동영상 creators의 특징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여성 creators의 수가 남성 creators의 수보다는 적었으나 실제 여성 흡연율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제품 관련 정보인 맛/타격감, 제품 디자인, 이용편이성 등은 절반 이상의 영상에서 언급된 반면 건강 유해성과 관련된 정보인 일반 담배 유해성, 전자담배 유해성 등의 언급은 적었다. 또한 이용편이성과 제품 디자인을 언급한 동영상일수록 전자담배가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경향이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건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전자담배 YouTube 마케팅 규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Industrial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 고대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63-1469
    • /
    • 2012
  •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산업체 재활센터를 이용하는 남성근로자 중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발적으로 조사에 응한 120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근로자와 과거 근골격계 증상 부위에 사고를 경험이 있는 근로자 18명을 제외한 102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 유무는 흡연, 육체적 부담정도, 자기효능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론으로부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을 예방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 발생원인의 다특성적인 측면을 이해하여야 하며, 심리적인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근골격계질환에 관여하는 사회심리적 요인이 다양한 수준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질환과 요인 간의 원인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장기적인 추적 연구와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남성 근로자의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Male Work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Classes)

  • 이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75-382
    • /
    • 2015
  • 본 연구는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사무직 391명, 생산직 707명, 서비스직 309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Rao-Scott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8점 이상을 문제음주군, 8점 미만은 정상음주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문제음주율은 사무직이 45.1%, 생산직 39.1%, 서비스직 42.3%로 나타났으나 직종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제음주 관련 요인은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사무직은 흡연만이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흡연자의 문제음주 위험이 4.44배 높았다. 생산직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문제음주 위험이 0.46배 낮고 흡연자는 4.07배 높았다. 서비스직은 20대에 비해 60대 이상의 문제음주 위험이 0.02배 낮은 반면 흡연자는 11.17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본 결과가 음주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건강검진자료에 의한 일반 성인의 생활습관과 비민지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and Obesity Indices in Adults Using Data from Health Examination)

  • 임영아;이광성;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43-3256
    • /
    • 2015
  • 본 연구는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은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습관과 비만관련지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일상생활습관 인자들이 비만관련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의 기간에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C대학교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성인 남녀 4,112명으로 하였다. 조사는 C대학교병원 연구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검진 시에 수검자들에게 배포하여 기입하도록 한 문진표와 건강검진 결과표로부터 성별, 연령, 일상생활습관 요인 및 비만지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비만지표는 연령증가와 함께 음주, 흡연, 규칙적인 운동, 과식 및 육류섭취 등의 일상생활습관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지표에 대한 일상생활습관의 영향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나타나기 쉬웠으며, 비만지표에는 운동인자가 남녀 모두에서 주요 위험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흡연과 음주가 남성 암 사망에 미치는 영향: 강화 코호트 연구 (Cigarette Smoking, Alcohol and Cancer Mortality in Men: The Kangwha Cohort Study)

  • 이상규;남정모;이상욱;오희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2호
    • /
    • pp.123-128
    • /
    • 2002
  • Objective :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alcohol and cancer mortality in men in the Kangwha cohort after 12 years and 10 months of follow up.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681 men in the Kangwha cohort aged over 55 in 1985. Number of deaths and the time to death front all cancers and other cause were measured and the data for the smoking and drinking habits were obtained from the baseline survey data in 1985. All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smoking habits: non-smokers, ex-smokers, mode(ate-smokers (1-19 cigarettes per day), heavy-smokers ($\geq$20 cigarettes per day). In addition, they were also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drinking habits: non-drinkers, light-drinkers ($\leq$1 drink per week), moderate-drinkers (<3 drinks per day), heavy-drinkers ($\geq$3 drinks per day). The cancer specific death rat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ir smoking and drinking status. The adjusted risk ratio for all cancer deaths according to their smoking and drinking status were estimated using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Results : Using nonsmokers as the reference category, the adjusted risk ratio for all cancer deaths were 1.573(95% CI=1.003-2.468) for heavy-smokers. For lung cancer deaths, the adjusted risk ratios were 3.540(95% CI=1.251-10.018) for moderate-smoker and 4.114(95% CI=1.275-13.271) for heavy-smokers. Compared to non-drinkers, the adjusted risk ratio for stomach cancer was 2.204(95% CI=1.114-4.361) for light-drinkers. Conclusion : Smoking i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cancer deaths particularly lung cancer.

성인남성 흡연자의 흡연행태 변화와 관련 요인 (Changes in Smoking Status among Current Male Smoker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Success)

  • 이진석;김양중;김원년;황승식;김용익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39-345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a) investigated the rate of smoking cessation sucess for current male smokers, and (b)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smoking cessation succ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follow-up surveys of 700 current male smokers. The follow-up period was from December 2004 to June 2005.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was defined as "maintaining a smoking cessation status for six months".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included age, the household income level and, occupation. The smoking behavioral factors were composed of the amount of smoking, the duration of smoking, the age of initiating smoking, the willingness to quit, the frequency of trying to quit smoking and the smoker's attitude toward the anti-smoking policies. Results: The proportion of quitters increased from 6.6% to 11.0%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majority of quitters answered that the increase of tobacco price acted as cue to achieve smoking cessation. The age-standardized experience and success rate of smoking cessation were 16.0% (95% C.I.=13.0% to, 19.0%) and 4.5% (95% C.I.=3.0% to, 6.0%), respectively.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success for smoking cess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willingness to quit smoking, low prior tobacco consumption, and agreement on the tobacco price increas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cent anti-smoking polici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quit smo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evidence for further anti-smoking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