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수스펙트럼

검색결과 566건 처리시간 0.03초

몰리브덴의 피리딘계 착물합성과 그 성질 (제3보) 몰리브덴(V)의 피리딘 및 3,5-루티딘착물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bstituted Pyridine Complexes of Molybdenum (III). Pyridinium and 3,5-Lutidine Complexes of Oxomolybdenum(V))

  • 오상오;김창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80
    • /
    • 1982
  • 몰리브덴(V)의 피리딘 및 3,5-루티딘 착물을 합성하고 이들 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 전자 흡수스펙트럼, reflectance 스펙트럼 및 자화율을 측정하였다. 이들 착물의 분석과 물리적 측정결과를 기초로 이들 착물은 두 산소로 브리지된 이핵착물임을 확인하고 가능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 PDF

Spiropyran과 Spirooxazine 유도체의 열변색 현상 (Thermochromism of Spiropyran and Spirooxazine Derivatives)

  • 이윤상;김종규;허영덕;김명건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864-872
    • /
    • 1994
  • 열변색 현상을 나타내는 spiropyran과 spirooxazine 유도체의 흡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 흡수 스펙트럼의 용매효과를 관찰한 결과, 치환되지 않은 spiro 화합물은 merocyanine-like form이 quinoid type이며, 전자끄는기가 치환된 spiro 화합물은 merocyanine-like form이 zwitter-ion type임을 확인하였다. 닫힌형 구조와 merocyanine-like form 사이의 엔탈피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Spiro 화합물의 엔탈피 변화량은 용매의 극성이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Merocyanine-like form의 흡수 스펙트럼을 세 개의 Lorentzian-Gaussian 곱함수의 띠로 분해하였으며, 각 띠의 모양이 용매에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관찰하였다.

  • PDF

피페리딘 디티오카바메이트의 구리(II)의 착물합성과 분석적 응용 (Synthesis and Analytical Application of Piperidine Dithiocarbamate Complex of Copper(II))

  • 김찬우;김창수
    • 분석과학
    • /
    • 제12권1호
    • /
    • pp.1-6
    • /
    • 1999
  • 구리(II)이온과 피페리딘 디티오카바메이트(Pipdtc)의 반응에서[$Cu(Pipdtc)_2$]를 합성하였다. 이 착물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의 극성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원소분석, 몰전도도,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전자흡수스펙트럼 및 핵자기공명스펙트럼에서 부터 평면 사각형의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수용액에서 부터 사염화탄소에 의한 Cu(II)-Pipdtc착물의 추출은 pH가 6.0~10범위에서 이루어졌다. 구리(II)의 피페리딘 디티오카바메이트 용액은 pH 9.0에서 ${\sim}8.0{\times}10^{-5}M$까지 Beer의 법칙에 따랐다.

  • PDF

증기증착 공정 감시를 위한 반도체 레이저 흡수 분광학 (Semiconductor laser-based absorption spectroscopy for monitoring phys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 정의창;송규석;차형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64
    • /
    • 2004
  • 반도체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원자흡수분광 방법으로 금속증기의 증착 공정을 감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자빔 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gadolinium (Gd) 금속을 대량으로 증발시켰다. 파장 영역이 770-794 nm (중심파장 780 nm)인 반도체 레이저빔과 388-396 nm 영역의 제 2 고조파 빔을 진공용기에 입사시켜 증발되는 금속증기의 원자흡수 스펙트럼을 실시간으로 기록하였다.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증기의 원자밀도를 구했다. 전자빔 출력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한 원자밀도를 수정 결정 모니터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증착률과 비교하였다.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Ti 등의 증착 공정 감시에 이 실험에서 구현한 레이저 분광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1550 nm 영역에서 아세틸렌 분자의 포화흡수분광 (Saturated absorption spectroscopy of 13C2H2 in the 1550 nm region)

  • 문한섭;이원규;서호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7-182
    • /
    • 2004
  • 우리는 외부공진분광법을 이용하여 $^{13}$C$_2$H$_2$ 분자의 회전-진동전이의 V$_1$+V$_3$ 밴드 P(16)전이선의 포화흡수신호를 관측하고, 이 포화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1550 nm 영역에서 반도체 레이저 주파수 안정화를 수행하였다. 측정된 포화흡수 스펙트럼의 크기는 선형 흡수에 대해서 약 7%이고, 선폭은 약 1.8 MHz로 측정되었다. 반도체 레이저 주파수를 $^{13}$C$_2$H$_2$ 분자P(16) 전이선에 안정화했을 때 안정화된 레이저의 상대주파수 흔들림은 게이트 시간 0.1 s에서 약 $\pm$20 KHz로 측정되었다.

$As_2S_3$ 유리와 $GeS_{2.1}$ 유리의 Multiphonon 영역에서의 흡수 (MULTIPHONON ABSORPTION IN $As_2S_3$ AND $GeS_{2.1}$ GLASSES)

  • 마동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8-62
    • /
    • 1985
  • 2.5~40$mu extrm{m}$ 영역에서 $As_2S_3$$GeS_{2.1}$ 유리의 적외선흡수에 관하여 연구했다. Lucovsky와 그의 연구팀이 제창훈 분자 모델에 의하면 8-20$\mu\textrm{m}$ 영역에서 위의 유리물질의 multiphonon 흡수대는 고립된 각 분자의 기본진동대의 overtone 및 combination과 같다. Lucovsky와 Galeener는 이이론에 입각하여 network 구조를 갖는 유리가 적외선 및 라만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multiphonon combination 과 overtone 진동수를 예언하는 실험적 선택룰을 제안했다 우리가 얻은 As2S3 및 GeS2.1 유리의 적외선 스펙트럼은 이 유리에 대해 적용한 위의 실험법칙과 잘 일치한다.

  • PDF

타이탄 2.0 - 2.1 micron 스펙트럼에 나타난 미확인 분광선 연구

  • 심채경;김상준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88.2-88.2
    • /
    • 2010
  • 2006년 2월 7일, Gemini North Observatory의 Near-Infrared Integral Field Spectrometer (NIFS)를 사용해 타이탄의 K-band 분광영상을 얻었다. NIFS의 파장분해능은 R~5,000이었고, 타이탄 disk의 적도부분은 약 16 pixel로 분해되었다. 2.0 - 2.1 micron 영역에서 미지의 분광선이 관측됐는데, 그 분광 구조는 전형적인 slightly asymmetric-top molecule의 rotational-vibrational 밴드 구조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N2-N2 Collision-Induced Absorption (CIA)과 H2-N2 dimer에 의한 흡수와 메탄(CH4)가스 흡수를 포함한 분광모델을 만들어 비교한 결과 이 파장영역에는 이러한 흡수선들의 영향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해당 영역의 저분산 (R~2,000 - 3,400) 스펙트럼을 토대로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탄화수소가 타이탄에 존재한다고 보는 최근 발표된 주장들은 (e.g., Brown et al. 2008, Nature, v. 454, p. 607; Adamkovics et al. 2009, Planetary and Space Science, v. 57, p. 1586) 보다 신중히 고려돼야 한다.

  • PDF

$\textrm{Cd}_{x}\textrm{Ni}_{1-x}\textrm{Fe}_{2}\textrm{O}_{4}$의 Mossbauer 스펙트럼 (Mossbauer Spectra of the $\textrm{Cd}_{x}\textrm{Ni}_{1-x}\textrm{Fe}_{2}\textrm{O}_{4}$)

  • 백승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7호
    • /
    • pp.618-622
    • /
    • 1997
  • 상온에서 측정한 Cd$_{x}$Ni$_{1-x}$Fe$_{2}$O$_{4}$의 Mossbauer 스펙트럼은 조성비에 따라 x값이 0.4이하인 시료에서는 준강자성에 의한 여섯개의 공명 흡수선, x값이 0.5인 시료에서는 이완된 형태의 공명흡수선, 그리고 x값이 0.6시료인 상자성에 의한 두개의 공명 흡수선이 나타났다. Cd$_{x}$Ni$_{1-x}$Fe$_{2}$O$_{4}$의 x값이 0.4이하인 시료의 초미세 자기장(H$_{hf}$)과 x값이 0.6 이상인 시료의 사중극자 분열치 (Q.S.)는 Cd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시료의자기적 성질에 따른 이성질체 이동치(I.S.)의 차이는 있으나, Ni와 Cd이온의 농도에 따른 뚜렷한 의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다.

  • PDF

VTE법에 의한 nearly stoichiometric $LiNbO_3$의 성장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early stoichiometric $LiNbO_3$ crystals by VTE method)

  • 김상수;유동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17
    • /
    • 1997
  • Czochralski법으로 용융상태에서의 조성이 congruent(48.6 mol%$Li_2O$), stoichiomet-ric(50.0 mol%$Li_2O$), Li-rich(54.6 mol%$Li_2O$, 58 mol%$Li_2O$), 한 결정과 congruent한 조성에 $K_2$O를 6wt.% 첨가한 결정을 c-축 방향으로 성장시켰다. 성장된 결정들은 분말 X-선 회절 실험에 의해 확인하고 편광 현미경과 투과 X-선 Laue법에 의해 축을 결정한 후 절단하여 65 mol%$Li_2O$의 Li-rich 2-phase powder에서 VTE 처리한다. VTE 처리한 시료는 상온에서 결정내 $Fe^{3+}$ 이온에 대한 EPR 스펙트럼과 UV-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 온도에서의 IR-스펙트럼은 $OH^-$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증기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후 측정한다. 측정 결과를 as grown 상태의 결정에 대한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상온에서의 결정내 $Fe^{3+}$ 이온에 대한 EPR 실험 결과 VTE 처리한 시료들의 EPR 스펙트럼은 허용되지 않은 천이에 의한 스펙트럼이 사라지고 허용된 천이에 의한 스펙트럼은 세기가 증가하며 lineshape가 거의 대칭적으로 되고 선폭도 훨씬 줄어든다. 상온에서의 각 시료에 대한 UV-스펙트럼의 흡수단은 VTE 처리하면 단파장쪽으로 이동하며 VTE 처리한 모든 시료의 흡수단이 거의 동일하다. $OH^-$이온에 의한 IR-흡수 스펙트럼은 VTE 처리한 시료의 경우 $3465\textrm{cm}^{-1}$ 성분 스펙트럼이 현저하게 중가한다. 이 결과에 의하면 본 실험과 같은 조건에서 VTE 처리한 시료들은 결정내 [Li]/[Nb] 비가 거의 1인 stoichiometric한 결정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Sr_{1-x}}{Ca_x}{TiO_3}$$_3$:$Pr^{3+}$,$Ga^{3+}$ 형광체의 발광메커니즘 (The Luminescence Mechanism of ${Sr_{1-x}}{Ca_x}{TiO_3}$$_3$:$Pr^{3+}$,$Ga^{3+}$ Phosphor)

  • 장보윤;이용제;이현덕;변재동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7-111
    • /
    • 2001
  • Sr$_{(1-x)}$Ca$_{x}$TiO$_3$: Pr$^{3+}$ , Ga$^{3+}$ (0$\leq$x$\leq$1) 형광체의 여기 및 발광 스펙트럼과 분광 반사율을 조사하여 발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발광 스펙트럼에서는 611~614nm 사이에서 peak을 가지는 하나의 적색 발광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조성에 따라 발광밴드의 모양이 달랐다. 이는 조성에 따른 모체의 결정 구조 변화 때문으로 생각된다. 여기 스펙트럼 끝단과 분광 반사율 스펙트럼의 흡수단은 서로 일치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모체에 흡수된 에너지가 Pr$^{3+}$ 에 전달되어 적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주된 메커니즘으로 생각된다. 한편 120$0^{\circ}C$에서 4시간동안 열처리하여 합성한 Sr$_{0.4}$Ca$_{0.6}$TiO$_3$:(0.1 mol%)Pr$^{3+}$ , (0.2 mol%)Ga$^{3+}$ 는 우수한 색순도와 휘도를 나타내었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