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흐름모사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Comparison of FDDO and DSMC Methods in the Analysis of Expanding Rarefied Flows (팽창희박류의 분석에 있어서 FDDO와 직접모사법의 비교)

  • Chung C. H.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1 no.1
    • /
    • pp.142-149
    • /
    • 1996
  • 이차원 노즐을 통하여 저밀도 환경으로 팽창하는 희박류의 분석에 있어서 불연속좌표법과 결합된 유한차분법(finite-difference method coupled with the discrete-ordinate method, FDDO)과 직접모사법(direct-simulation Monte-Carlo method, DSMC)이 비교되었다. FDDO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충돌적분모델을 도입하여 간단해진 볼츠만식(Boltzmann equation)이 불연속좌표법을 이용하여 물리적 공간에서는 연속이나 분자속도 공간에서는 불연속좌표로 표시되는 편미분방정식군으로 변환되어 유한차분법에의하여 수치해석 되었다. 직접모사법에서는 분자모델로 가변강구모델(variable hard sphere model, VHS)이, 충돌샘플링모델로는 비시계수법(no time counter method, NTC)이 채택되었다. 전혀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한 노즐 내부에서의 유체흐름 해석결과는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노즐 외부의 plume 영역에서는 FDDO에 의한 해석결과가 직접모사법에 의한 해석결과에 비하여 약간 느린 팽창을 보였다.

  • PDF

Simulation of Short Fiber Orientationin Fountain Flow Field (분수유동장내에서의 단섬유 배향의 수치모사)

  • 윤재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1
    • /
    • pp.49-64
    • /
    • 1993
  • 사출성형충전공정에서 금형구조가 단섬유배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 치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한요소 /관찰 부피 방법에 복잡한 금형에서의 유동을 해 석하고 섬유와 섬유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섬유배향텐서 변화식을 이용하여 입자 추적법으 로 섬유배향분포를 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금형 옆벽면과 내부 방해체의 주위에 있는 섬 유들이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그들주위를 따라서 정렬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두 유동이 내부 방해체를 지나 접하면서 생성된 웰드라인을 따라서 단섬유들이 정렬되려는 경향을 나타내엇 다. 그리고 수축유동에서는 흐름방향으로 정렬되나 확장유동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 열되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위아래 벽에 의한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두 배향구조 를 보여주는 skin-core 구조를 두께방향의 속도구배를 고려한 수치모사를 통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skin구조에서는 섬유들이 흐름방향으로 정렬되고 core 구조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 으로 배향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상호계수값이 커질수록 임의 배향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Separation of Phenol from Waste Water (모사폐수로부터 페놀의 분리)

  • 한성록;유홍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83-286
    • /
    • 2002
  • 막-용매 추출을 이용하여 모사폐수로부터 페놀을 분리하였으며, 이때 미세기공 비친수성 중공사형 모듈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향류, 및 병류로 운영되었으며, 유기오염물은 tube 안쪽으로, 용매는 shell쪽으로 흐르게 하였다. MIBK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였으며, 페놀의 분리효율은 향류 흐름이 병류흐름보다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Numerical study on flux of cohesive sediment by asymmetric oscillatory flow (비대칭 진동흐름에 의한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 수치연구)

  • Son, Min-Woo;Jung, Tae-Hwa;Baek, Kyong-Oh;Ch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05-50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천해 환경에서의 파형이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상적인 진동흐름(Oscillatory Flow)을 가정하고 점착성 유사의 이동에 적합한 1DV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상적인 진동흐름을 가정할 때는 다양한 파형을 고려하기 위해 왜곡되거나 비대칭적인 조건을 적용하였다. 크기와 밀도가 변화하는 점착성 유사의 응집현상을 고려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응집현상 모형을 1DV 모형에 결합하였다. 2차 스토크스파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왜곡된 진동흐름, 톱니파를 모사하기 위해 비대칭 진동흐름 조건을 선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왜곡된 진동흐름 조건에서의 점착성 유사 이동량은 흐름의 왜곡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는 비점착성 유상의 경우는 왜곡도와 주목할 만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비대칭 진동흐름의 경우는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가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었다. 앞쪽으로 기운 비대칭 진동흐름 조건에서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이 뒤쪽 방향으로 발생하는 반면 비점착성 유사는 흐름이 기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사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Phase-lag 효과가 고려되었다. 유사의 침강속도와 농도 프로파일의 변화, 물의 유동 조건 등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Phase-lag 효과를 강화시키고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이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 PDF

Water Tunnel Test to Simulate Internal Flows of a Solid Rocket Motor (고체추진 내부유동 모사를 위한 수동시험)

  • Kim, Hye-Ung;Kang,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1-184
    • /
    • 2009
  • In this study, flow visualization method to simulate internal flows of solid rocket motor in a water tunnel is introduced. The tunnel provides excellent visualization of vortex flows and has been used to propellant grain design of the solid rocket motor. A water tunnel is suggested for the research and the visualization test using dye, hydrogen bubble generator and PIV has been studied and discussed.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onverging Flow in a Coextrusion Die (Coextrusion Die에서 수축흐름의 수치모사)

  • R.K.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6 no.2
    • /
    • pp.119-128
    • /
    • 1994
  • 공압출되는 sheet die에서 뉴튼 유체의 수축흐름을 격자생성법을 이용한 유한차분법 을 사용하여 수치모사하였다. 계면조건의 처리방법을 개발하였고 점도 및 채널 모양이 압력 강하 및 신장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압력강하는 점도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신장속도는 점도비 및 채널 모양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여러 가지채널모양에서 신장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트럼펫 모양의 수축채널이 신장속도가 가장속도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 PDF

Numerical Prediction of Short Fiber Orientation in Injection Molding Processes (사출성형공정에서의 단섬유 배향예측에 관한 수치 해석)

  • 이기준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4 no.2
    • /
    • pp.138-147
    • /
    • 1992
  • 사출성형충전공정에서 금형구조가 단섬유배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 치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한요소 /관찰 부피 방법에 복잡한 금형에서의 유동을 해 석하고 섬유와 섬유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섬유배향텐서 변화식을 이용하여 입자 추적법으 로 섬유배향분포를 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금형 옆벽면과 내부 방해체의 주위에 있는 섬 유들이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그들주위를 따라서 정렬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두 유동이 내부 방해체를 지나 접하면서 생성된 웰드라인을 따라서 단섬유들이 정렬되려는 경향을 나타내엇 다. 그리고 수축유동에서는 흐름방향으로 정렬되나 확장유동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 열되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위아래 벽에 의한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두 배향구조 를 보여주는 skin-core 구조를 두께방향의 속도구배를 고려한 수치모사를 통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skin구조에서는 섬유들이 흐름방향으로 정렬되고 core 구조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 으로 배향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상호계수값이 커질수록 임의 배향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밀도차이에 따른 해안방조제 유출수량의 차이점 연구

  • 박유철;김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1-384
    • /
    • 2003
  • 해안방조제에서 해수가 강물에 유출되는 현상은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고 강물을 농업에 이용할 수 없게 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의 유출수량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해수와 강물 사이의 지하수 흐름은 염도에 따른 밀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담수와 염수의 혼합에 따른 물질의 이송 및 분산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염도에 의한 밀도 차이에 따른 지하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해안방조제에서의 해수가 강물로 유출되는 현상을 수치모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밀도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발견할 수 없었던 지하수의 흐름이 생겼고, 밀도 차이로 인하여 해수의 유출 수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해안방조제의 해수의 유출수량 연구에서는 반드시 밀도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 PDF

Simulation of Interim Spent Fuel Storage System with Discrete Event Model (이산 모형을 이용한 사용후 핵연료 중간 저장 시설의 전산기 모사)

  • Yoon, Wan-Ki;Song, Ki-Chan;Lee, Jae-Sol;Park, Hyun-S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3
    • /
    • pp.223-230
    • /
    • 1989
  • This paper describes dynamic simulation of the spent fuel storage system which is described by statistical discrete event models. It visualizes flow and queue of system over time, assesses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system acitivies and establishes the system components and streams. It gives information on syste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olicy with reference to the design. System was tested and analyzed over a number of critical parameters to establish the optimal system. Workforce schedule and resources with long processing time dominate process. A combination of two workforce shifts a day and two cooling pits gives the optimal solution of storage system. Discrete system simulation is an useful tool to get information on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the storage system.

  • PDF

Simulation Model of Dual-Species Biofilm Growth in Hydrodynamic Flow (유체 흐름 안에서 두 종의 생물막 성장 시뮬레이션 모델)

  • Jeon, Won-Ju;Lee,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1
    • /
    • pp.97-105
    • /
    • 2011
  • In rivers and streams, biofilms are thin layers of greenish-brown slime attached to rocks, plants, and other surfaces. Biofilms play key roles in primary production and cycling of nutrients, water quality remediation, suspended sediment removal, and energy flow to higher trophic levels.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 two-dimensional cellular automata model to simulate mixed biofilms of toxin-sensitive and toxin-producing species in hydrodynamic flow. The flow was generated by a stochastic process for uniform flow and by using the Navier-Stokes equation for non-uniform flow. Minimized local rules governing reproduction and mortality of the species were executed in the self-organizing processes to elucidate interactions between toxin-producing and toxin-sensitive species in competition over nutrients. We briefly discuss the morphology of the simulated biofilm under different flow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