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휴게 공간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2초

어린이환자의 공간사용 행태에 관한 연구 - 놀이 및 휴게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Use and Behavior of Child Patients - Focus on the Rest and Play Activities -)

  • 최인영;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204-21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ild patients' space use and behavior with its focus on the rest and play activities. The structural observation method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adapted to find out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of play activities among the age groups. Children's development and types of play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were reviewed through the related studies. Preliminary research on spatial composition and facilities and the observation of child patients' play behavior and space use was carried out as a main research. A total of 148 cases were studied and PASW 18, a statistics analysi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obby was important space as a play and rest area. (2) The subjects mainly played physical play and social-cognitive play.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designing children's hospitals that can contribute to the treatment and health improvement of child patients.

노인전문요양시설 거주층의 복도 및 휴게홀 이용행태 (Using Behavior of Corridor and Lounge at the Residence Floor in Skilled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민아;유옥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31-4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planning to reduce elderly isolation and to improve their rehabilitation ability. Four re%archers observed the using behavior of the elderly residents in the corridor and lounge of 5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using rate of the lounge wis higher than that of the corridor since most of the elderly were controlled by the staffs at the lounge. The facility could decrease the crowd of the lounge by arranging the sofa at the corridor-especially surrounding the atrium. The use rate in the lounge was very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because its use was influenced mainly by daily schedule, and this resoled in it being largely inactive most of the time. A counter plan is needed to encourage natural interaction among the elderly. Individual or small group activitie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regular programs. Since the furniture arrangements_(sofas and tables) at the corridor could induce elderly isolation and inactivity, various equipments should be arranged for the self-controlled activities. The indirect participation in the regular activities, which are usually conducted in the lounge,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orridor so that the elderly could observe them at any places.

교과교실제 운영에 따른 교과교실 공간배치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organizing Department Classroom in accordance with Managing Department System)

  • 윤희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3호
    • /
    • pp.1-8
    • /
    • 2011
  •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2009 to 2014, try to establish the setting of Department System in the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y selected 45 Schools in 2009 and 61 Schools in 2010 for the Advanced Department System. I studied 2 High schools in 2009 and 3 High schools in 2010 of them, which located in GyeongGi-Do. I studied the Location of Department Classrooms, Teachers' Labs, Homebases and Resting Spaces of them. The conclusions are follows. 1) Most of them take Horizontal Zoning System in the Department Classrooms. 2) The Number of Teachers' Labs were increased in most of floors. On the other hand, most of Labs' Area were decreased. Every department Classroom Zone has one Teachers' Lab. 3) Every schools took much more spaces of Homebases and Resting Spaces than before. And various Resting Spaces using Corridors and Outdoors are prepared for students, those who moves every changing class time by the Department System.

기 개발 아파트단지의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적용 방안 (A Plan for the Application of CPTED to the Developed Apartment Complex)

  • 김남정;문효곤;강명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71-279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CPTED기법의 대부분이 새로이 개발되는 아파트단지에 적용되고 있고, 기 개발 아파트단지는 상대적으로 범죄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인식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CPTED기법 적용시 발생되는 비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거주민의 범죄예방 선호 공간 및 시설을 조사하였으며, 다음으로 기존의 물리적 환경의 변화 없이 신규 도입이 가능한 CPTED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기 개발 아파트단지의 CPTED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CPTED 적용의 1순위 공간은 아파트 단지입구, 지하주차장, 공원 및 휴게시설, 엘리베이터, 건물내 계단 및 복도이며, 2순위는 보행로, 담장, 1층 중앙현관, 3순위는 단지내 상가와 공동시설, 지상주차장이다.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을 위한 S.I.(Space identity)개발연구: 제천중앙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S.I.(Space Identity) for Culturre and Tourism Market Development: Based on Jecheon Central Market)

  • 박진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97-2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천 최고(古)의 시장이자 최대의 시장인 제천중앙시장의 공간적인 장소성과 문화적인 특수성을 고려한 S.I.(Space Identity)를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관광형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제천중앙시장의 현황을 조사 분석한 후 공간별 스토리텔링에 입각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공간디자인의 컨셉은 공존으로 공간, 시간, 사람, 문화로 나누어 상인과 상품, 상가는 하나의 공간에서 시간성을 공유하고 공존함을 세부내용으로 하였다. 따라서 각 층별 시설물은 각 층별로 게이트, 안내판, 조명, 휴게공간, 디자인 벤치시설, 안내센터, 영업 준수선, 바닥사인물, 게이트 바닥사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제천중앙시장 상가의 새로운 수요창출 및 매출이 증대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단계별 추진전략을 구축하여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User Recognition of Library Complex Culture Space)

  • 노영희;김윤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3-50
    • /
    • 2019
  • 최근 도서관들은 도서관의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도 지역주민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할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의 조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이 역할확대방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함으로써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인식도, 복합문화공간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간 선호도에서 정보공간, 교육공간, 휴게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커뮤니티공간과 체험공간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복합문화공간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전시프로그램, 공연프로그램을 선호하지만 체험프로그램과 커뮤니티프로그램은 선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보 교육의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시 및 공연공간을 마련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은 정보 교육의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와 힐링, 체험, 소통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임을 홍보하고 이용자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초등학교 외부공간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to Establish the Management Direction of Outdoor Space in an Elementary School)

  • 정나라;정현정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3호
    • /
    • pp.38-47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 외부공간 관리를 위한 방향설정을 위하여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학교 외부공간의 나무와 꽃의 식재 만족도와 옥외 휴게공간의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근무년수가 길수록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에 학교 외부공간 관리의 문제점으로 인력, 예산, 관심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학교 외부공간은 안전한 놀이공간 확보, 식물교육공간 확보, 수업실습공간 확보, 휴식공간 제공을 위해 관리되어야 한다. 학습 지원하는 장소이자 놀이공간 및 휴식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를 위해 벤치, 퍼골라, 야외교실, 생태연못, 텃밭, 화단 등의 시설이 포함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식물과 계절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늘을 제공하는 식물유형을 식재하며 식물 표찰을 설치하여 식물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교사는 외부공간의 관리가 학생들에게 교육적, 정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교 공간 혁신에 대응하여 실내 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교육적, 정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예산과 인력의 확보 및 이를 지원할 정책의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식물정화조를 이용한 공업용 폐수의 정화 및 재활용 사례 (The Case of Industrial Factory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ing by Using of Constructed Wetland)

  • 김혜주;이옥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9-187
    • /
    • 2002
  • 유기물이 함유된 공업용 폐수(2차처리수)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 2000년 7~10월에 친환경적인 방법인 식물정화조를 조성하여 하천의 수질 및 지하수를 보전하고 공업단지내에서 생물서식공간과 휴게공간을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식물정화조의 크기는 10m$\times$6m(상부면)로 1일 처리용량은 2.5㎥였다. 폐수는 1일 4회, 6시간 간격으로 0.625㎥씩 나누어 처리하였다.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흐름방식을 채택하였고, 배수층은 모래와 자갈을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깊이 1.0m로 조성하였다. 식물정화조 내에는 갈대, 부들, 골풀, 노랑꽃창포 등의 다년생 정수식물을 20본/㎥ 식재하였다. 처리수 재활용 차원에서 생물종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자연형 연못을 조성하였으며, 이를 환경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찰데크, 안내해설판 등을 도입하였다. 실험결과 BOD$_{5}$, COD, T-N, T-P 등의 제거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 생물서식공간(비오톱)으로서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더텐션 시스템을 이용한 장스팬 구조의 처짐 거동 해석 (Deflection Analysis of Long Span Structures Using Under-Tension System)

  • 박덕근;이진;함수윤;안남식;이기학;이재홍
    • 한국공간구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6-69
    • /
    • 2008
  • 본 연구는 도로 상부에 휴식과 통행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하여 녹지 및 휴게 공간을 확보하고 각 구역간의 연결성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장 스팬 구조의 처짐의 거동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장 스팬 구조의 경우, 부재의 크기를 결정할 때 도심 미관과 하부의 차량소통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 결과 부재의 크기가 세장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이는 구조물의 과다 처짐을 유발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는 부재의 크기 제한과 구조물의 과다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하부에 언더텐션을 적용한 후, 그 효과와 처짐 거동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언더텐션이란 상부에서의 하중을 하부 케이블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그 하중을 양 단부로 전달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케이블의 크기와 개수, 포스트의 개수와 크기 및 간격에 따라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의 크기와 개수, 포스트의 개수와 크기 및 간격을 변수로 하여 장 스팬 구조의 처짐 거동을 비교하였다. 하중은 활하중과 고정하중이 평면에 재하되는 것을 기본으로 가정하였으며, 해석결과는 상용 프로그램인 마이더스(MIDAS)를 이용하여 언더텐션의 효과를 처짐에 맞추어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교실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학교공간 혁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room Space Planning through User Participation Design -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Incheon -)

  • 손석의;김승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1-17
    • /
    • 2021
  •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a situation where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s in progress. 2 schools that were the targets of the Incheo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2019 were selected for this, and features such a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at classroom, classroom usage plan, and the stepwise outcome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were contemplated. Especially the workshop outcome was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actual master plan and zoning plan, in order to identify the feature that opinions of various users are reflected on the actual pla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reach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bout the user preferential space influences the classroom usage plan of that classroom. Vague expressions about the whole space held a large majority of the objects for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preferential space. The expression mode as limited as the expression of the actions that users want to carry out in the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age purpose of the classroom was defin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furniture·facility is relatively high.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zoning for each function, it seems that the stereotype, which i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halkboard at the front of existing classrooms, was applied in the case of the learning zone. However, in cases of other functions, a tendency was identified that the user carries out an image description that reflects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space. Sufficient preparation will need to preced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and the acceptance of various opinions. It seems that especially the classroom usage plan, number of workshops, consultation of each step, and the education about the space expression mode affect the master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