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휘발성 입자 생성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8초

제주 고산에서 측정한 $PM_{2.5}$ 에어로졸의 원소성분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Elemental Composition of $PM_{2.5}$ Aerosols Measured at Gosan, Jeju)

  • 류성윤;김정은;정현록;김영준;한진석;문광주;공부주;안준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4
    • /
    • 2003
  •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 물질은 보통 입경에 따라 2.5$\mu\textrm{m}$ 이하의 미세입자와 2.5$\mu\textrm{m}$ 이상의 조대입자로 나눌 수 있다. 조대입자는 토양 및 해염, 꽃가루, 화산재 및 토양 먼지와 같이 자연발생원에서 주로 생성되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미세입자는 화석연료의 연소,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화학물질의 제조공정 등의 인위적 발생원에서 주로 방출되며, 또한 이들 1차 생성분진과는 달리 대기중에서 황산가스나 휘발성 유기화합물 둥이 응축과정을 거쳐 가스상에서 입자상으로 변환되어 생성된 2차 입자도 환경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략)

  • PDF

여름과 겨울철 산성오염 물질 농도 특성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Acidic Air Pollutants in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 이학성;강병욱;정용승;이지영;김재섭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9
    • /
    • 2000
  • 산성오염물질과 미세입자($PM_{2.5}$)는 인체 및 생태계에 많은 악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미세입자와 미세입자의 주성분인 ${SO_4}^{2-}$, ${NO_3}^{-}$, ${NH_4}^{+}$, 원소탄소(EC), 유기탄소(OC)는 호흡기 계통의 질병 및 시정장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Pope et al., 1995; Reichhardt, 1995; Chow et al., 1993; Conner et al., 1991; Spongier et al., 1990). 미세입자는 연소과정에서 직접 배출되거나 대기 중에서 응집, 휘발성 물질의 응축, 가스에서 입자로의 전환 등에 의하여 이차 입자상 물질로 생성된다(Seinfeld, 1986). (중략)

  • PDF

실내 스모그 챔버 연구 II: 광도가 대기 에어로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door Smog Chamber Study: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Formation of Atmospheric Aerosols)

  • 김민철;박주연;배귀남;김용표;문길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02
  • 스모그는 대기오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염 현상이다. 스모그는 시정을 감소시키고, 눈ㆍ코ㆍ호흡기 등을 자극하여 인체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스모그 현상은 주로 바람이 약하고 지표부근의 기온이 역전하는 특정한 기상상태에서 대기 중 가스와 입자간의 반응에 의해 여러 경로론 거쳐 생성된 에어로졸이 증가하여 나타난다. 최근 자동차 수의 급속한 증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사용으로 인하여 서울 지역에서 스모그가 발생하는 빈도가 많아지고 있다. (중략)

  • PDF

KAERI 소각시설의 실용화를 위한 방사학적 안전성 분석

  • 양희철;김정국;김창회;박원만;김봉환;김준형;오원진;박현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409-414
    • /
    • 1998
  • 5 년간의 기술실증 및 안전성 검토를 거쳐 한국원자력연구소내 실증소각시설을 자체발생 가연성 $\beta$/${\gamma}$폐기물을 소각하는 시설로 인허가를 얻었다. 동위원소포함 모의폐기물 및 원전발생 가연성폐기물 실증소각 결과에 기준을 두고 연간 배출오염원 및 가상 사고시의 방사학적 위해성을 평가하여 저준위 폐기물을 부지내에서 소각처리할 때 그 위해성은 무시할 수 있을 것으로 미미함 을 확인하였다. 실증시험으로 주된 배출 방사선원은 고온의 소각로에서 휘발성이 크고 저준위 폐기물내 농도가 큰 반휘발성 Cs-137 및 Cs-134로, 발전소 가연성폐기물과 같은 핵종조성을 가진 0.109 mCi/kg 의 소각시 Cs-137 및 Cs-134의 배출농도가 공기중허용농도의 10%를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방사성 CsCI을 이용한 시험소각을 통하여 사용되는 저온배기체처리계통 에서의 휘발된 Cs의 배기체 냉각시 입자화 및 제거특성을 고찰한 결과 휘발된 기체상 Cs성분은 건식배기체 냉각공정을 거치면서 대부분 마이크론 크기이하의 입자로 생성되지만 5% 미만이 전이영역 크기에 분포하여 주여과장치인 여과포집진기에서 제거효율이 99.9% 이상이었다.

  • PDF

회전형 휘발성 산화장치 이용 다공성 우라늄산화물 그래뉼 제조 연구 (Study on the Fabrication of Porous Uranium Oxide Granule Using a Rotary Voloxidizer)

  • 이재원;윤여완;신진명;이정원;박근일;박장진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642-647
    • /
    • 2011
  • 회전형 휘발성 산화장치(voloxidizer)와 200 g $U_3O_8$ 분말을 사용하여 초기 미세 입자층의 운동형태, 열처리 온도 및 시간, voloxidizer의 회전속도에 따른 다공성 그래뉼의 회수율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기 미세 입자층의 운동형태에 따른 1 mm 이상의 그래뉼의 회수율은 rolling 운동 때보다 slumping 운동일 경우에 보다 높았다. 초기 미세 입자층이 rolling 운동형태인 경우에는 미세입자로부터 그래뉼이 생성됨에 따라서 slumping 운동형태로 변하며 slumping 빈도가 매우 높았다. 열처리 온도의 증가 및 10 h까지는 시간의 증가에 따라서 그래뉼의 회수율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Slumping 운동형태를 보이는 초기 미세 입자층의 경우에 voloxidizer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그래뉼의 회수율 은 81.5에서 88.7%로 증가하였으나, 그래뉼 특성 측면에서 보면 회전속도가 2 rpm인 경우에 밀도, 파쇄강도, 구형도가 가장 높았다.

2001년 6월 서울 KIST에서의 NMHC 오염원 추정 (Source Estimation of NMHC at KIST in Seoul in June 2001)

  • 임은정;김영성;김봉만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03
  • NMHC (non-methane hydrocarbons)는 $C_2$- $C_{l2}$의 탄화수소로 구성되며 NOx와 함께 오존을 생성시킨다. NMHC에 카보닐 화합물과, 카본수가 증가하여 휘발성이 떨어지더라도 광화학 반응성이 있는 탄화수소가 추가되면 우리에게 보다 익숙한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가 된다 (Watson et al., 2001). NMHC는 자동차, 가스 및 석유 정제시설, 주유소, 세탁공업, 산업공정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NMHC는 오존 등 광화학 산화제 뿐 아니라 미세입자 생성에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여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중략)략)

  • PDF

고농도 입자성 유기폐수의 고효율 혐기성 소화 공정 (Efficient Anaerobic Digestion for Highly Concentrated Particulate Organic Wastewater)

  • 이성범;신규철;김희주;김현주;최창규;김문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3-29
    • /
    • 2008
  • 고농도 입자성 유기 폐수를 대상으로 기존 혐기성 공정인 CSTR과 UASB공정으로 처리 시 불량한 상징수질, 불안정한 운전 특성과 같은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개념의 ADEPT(Anaerobic Digestion Elutriated Phased Treatment) 공정을 주정폐수에 적용하여 처리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STR과 ADEPT의 성능 비교 결과 ADEPT공정에서 gas 발생량은 약 2배였으며, 유기물 제거 효율과 고형물 제거 효율 역시 더 높은 효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ADPET는 비교적 짧은 HRT에서도 휘발성 지방산 생성으로 인한 pH 저하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안정적으로 pH를 유지하였다. ADEPT의 recycle ratio를 6Qin과 2Qin으로 변화를 주어 운전 시 6Qin의 운전 기간 동안 높은 처리 효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ADEPT는 짧은 HRT로 인한 경제성 향상과 메탄 발생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 또한 산 생성조에서 생성되는 유기산을 최대로 생산, BNR 공정의 유기 탄소원으로 활용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디젤 극미세입자 개수 농도 측정시 Volatile Particle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희석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Dilution Methods for Preventing Volatile Particle Generation during Measurement of Diesel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 임태호;김홍석;조형문;이진욱;정용일;전흥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67-73
    • /
    • 2009
  • Recently, Europe decided to start the regulation of diesel engine nanoparticles because of its well known adverse health effects. The diesel nanoparticles can be classified as solid carbon particles and volatile particles. The volatile particles generates during dilution process by condensation of gas phase volatile compounds such as hydrocarbon. The new nanoparticle regulation considers only solid particles because of difficulty of measurement of volatile particl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per dilution method that prevent the volatile particle generati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1^{st}$ dilution air temperature should be above $120^{\circ}C$ in order to prevent volatile particle generation effectively. It is also found that the volatile particles can be removed effectively in the evaporation tube by the increase of evaporation tube temperature. But when exhaust gas is hot enough (>$190^{\circ}C$, in this study) and it is diluted in the first diluter with high temperature air (>$120^{\circ}C$), removal phenomenon of volatile particles by increasing of evaporation tube temperature can not be seen. It means that there are no volatile particles in the diluted exhaust gas. Additionally, dilution ratio is not an important factor for volatile particle generation compared with dilution air temperature or evaporation tube temperature.

Metatitanic Acid를 광전극으로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 표세영;정승규;신현호;정현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71.1-471.1
    • /
    • 2014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는 다양한 태양전지 중, 가장 환경친화적이고, 생산단가도 낮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과 투광성을 확보할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기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높은 휘발성과 열 팽창 수축에 따른 전해질 누액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 염료보다 높은 흡광계수와 넓은 흡수스펙트럼을 지닌 페로브스카이트가 개발되어 현재 많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제조상의 중간생성물인 Metatitanic acid (MTA)를 이용하여 광전극을 형성하고 열처리 온도에 따른 나노입자의 소성거동평가을 평가하였고 시차열중량 분석, 결정상 확인을 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하였다. MTA 나노입자를 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Barrett-Joyner-Halenda (BJH pore size distribution)과 Brunauer-Emmet-Teller (BET) 분석을 통해 소성거동을 평가하고, Thermogravimetry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를 통해 열중량 측정을 하였으며, X-ray Diffraction (XRD) 분석을 통해 결정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를 통해 MTA 나노입자의 표면분석을 하였다. 형성된 MTA 광전극을 페로브스카이트 염료에 적용하여 5%의 효율을 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