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황화광물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청양중석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 및 황화광물의 산화작용 연구

  • 이평구;강민주;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2
    • /
    • 2003
  • 폐광된 금속광산의 폐광석 적치장, 선광시설, 광미장 등에는 폐광석과 황화광물의 분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풍화작용에 기인된 황화광물의 산화과정에서 용해된 유해 중금속의 이동과 확산이 심각한 중금속 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유해 중금속의 물리$\cdot$화학적인 거동, 오염물질의 확산 등을 규제하고 있는 지구화학적 메카니즘 규명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며, 폐광석 및 광미에 대한 복원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결정적인 판단 자료가 될 수 있다 (강민주, 2003). (중략)

  • PDF

Sulfide Mineralization in the Huronian Sediments in the Cobalt Area, Ontario, Canada (캐나다 온타리오주 코발트 지역의 휴로니안 퇴적암에 발달한 황화물 광화작용에 관한 연구)

  • Kim, Won-Sa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3 s.49
    • /
    • pp.139-151
    • /
    • 2006
  • Base metal sulfides occur in the Huronian sedimentary rocks that cover the Archean volcanic rocks in the Cobalt area, Ontario, Canada. They a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basal conglomerate which was formed in the pre-Huronian basin structure. Sulfide occurrence can be grouped as massive sulfide clasts in the basal and Coleman conglomerate, disseminated sulfides throughout the sediments, and disseminated sulfides near Ag-Co-Ni-As carbonate veins. Detrital mechanism can explain features such as angularity of sulfide fragments and graded bedding of dissemnated sulfides. Sulfides concentrated near carbonate veins are probably of hydrothermal origin. Nearby strata-bound type massive sulfide ore deposits and mineralized interflow units are the most probable sources for syngenetic sulfides. This is supported by the angularity of sulfide fragments, presence of massive sulfide boulders which are identical in mineralogy and texture to the strata-bound type sulfide deposits in the Archean basement, and a similar composition of sphalerite in the Archean volcanic rocks and Huronian sedimentary rocks. Some sulfide grains, especially in sandstones and argillites, were undergone recrystallization during the intrusion of the Nipissing diabase.

청양광산 폐광석의 산화작용 연구를 이용한 자연 고정화 가능성 평가

  • 이평구;강민주;박성원;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2-136
    • /
    • 2003
  • 폐광된 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광물이 분해되어 다른 광물에 흡착되거나, 산화환경에 안정한 형태의 2차 광물로 침전 혹은 공침 되는가에 대한 연구는 광산복 원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청양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을 대상으로 XRD, SEM/EDS연구를 이용하여 산화작용으로 인한 황화광물 주변에 침전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물학적 연구 결과, 산화환경에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용출된 중금속 이온과 철과 망간 이온들은 침전(Fe, Mn, Pb), 공침 (Fe, Mn, As, Pb) 및 흡착(As, Cu, Pb, Zn)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다시 고정화됨으로서, 현장에서 자연적으로 정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Gravity Separation Characteristic for the Gold.Silver Ores on the Philippine Mankayan District (필리핀 만카얀 지역 금.은 광석의 비중선별 특성)

  • Kim, Hyung-Seok;Chae, Soo-Chun;Kim, Jeong-Yun;Sohn, Jeong-Soo;Kim, Sang-B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83-395
    • /
    • 2008
  • To enhance the grade and recovery rate of the gold/silver ores which yield at Philippine Mankayan mine,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geologic and mineralogical features of gold and silver ore, the liberation by crushing and grinding, the separation by sieving and shaking table. Gold/silver ore is composed of the sulfide minerals like pyrite, sphalerite, galena; and the gangue minerals which is quartz, clay. Gold/silver element are mainly contained in a sulfide minerals like pyrite, sphalerite and galena. To increase the liberation rate of sulfide minerals containing gold/silver element, the gold/silver ore has to be grounded under $100{\mu}m$ very finely because the crystal size of sulfide minerals is distributed from $1{\mu}m$ to $100{\mu}m$. The liberation rate of gold/silver ore increases to 92% when the particle size ($d_{90}$) of ore is grounded below $100{\mu}m$ by jaw crusher $\to$ cone crusher $\to$ rod mill by steps. The grade and recovery of sulfide minerals could not be enhanced by sieving separation because those crystal size is distributed homogeneously below $100{\mu}m$. But, when we separated the sieved ore using shaking table, the gold and silver grade increased to 40 ppm and 140 ppm, respectively. Then the recovery rate of gold reach almost 100% but that of silver is no more that 50%.

Characterization of Uranium Removal and Mineralization by Bacteria in Deep Underground,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심부 미생물에 의한 용존우라늄 제거 및 광물화 특성)

  • Oh, Jong-Min;Lee, Seung-Yeop;Baik, Min-Hoon;Roh, Yul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07-115
    • /
    • 2010
  • Removal and mineralization of dissolved uranium by bacteria in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was investigated. Two different bacteria, IRB (iron-reducing bacteria) and SRB (sulfate-reducing bacteria) was used, and minerals formed by these bacteria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Compared to uranyl ions, ferric ions were preferentially reduced by IRB, showing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duction and removal of uranium. However, uranium concentration considerably decreased by addition of Mn(II). Results show that a sulfide mineral such as mackinawite (FeS) is formed by SRB respiration through combination of Fe(II) and S without manganese sulfide formation. In the presence of Mn(II), however, uranium is removed eff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orption and incorporation of uranium could be affected by Mn(II) onto the sulide minerals.

삼산제일광산 폐광석의 풍화와 2차광물의 침전에 관한 광물학적 연구

  • 연규훈;이평구;최상훈;박성원;염승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96-399
    • /
    • 2004
  • 산화환경에 노출된 폐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광물은 산소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산화작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Fe, Mn, Pb, Zn, Cu 및 As등의 원소의 용해반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해된 금속이온은 pH등 환경의 변화에 따라 2차광물(산화광물 및 황산염광물)로 침전되거나 흡착되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 자연적으로 고정화 될 수 있다. 이처럼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광산복원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지구화학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삼산제일광산에 방치된 폐광석을 대상으로 XRD, SEM/EDS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침전과 공침, 흡착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현재 고정화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Gum-poong Mine Tailings (금풍광산(鑛山) 광물(鑛物)찌꺼기의 광물(鑛物)학적 특성(特性) 및 중금속(重金屬) 제거(除去))

  • Cha, Jongmun;Park, Jayhyun;Kang, Heon Chan
    • Resources Recycling
    • /
    • v.21 no.6
    • /
    • pp.51-5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moval of heavy metals of tailings from Gum-poong mine. From the result of mineralogical analysis, there are several sulphide minerals such as chalcocite, aresenopyrite, pyrite, sphalerite and galena. Cd and Zn have a good positive correlation from the statistical relation between Cd and other heavy metals(Cu, Pb, Zn). Residual heavy metals(As, Cd, Cu, Pb, Zn) from the Gum-poong tailings were removed under the warning criteria from the result of froth flotation with K.A.X.(Potassium Amyl Xanthate) and Aerofloat 211.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 존재형태 연구

  • 이평구;이인경;최상훈;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56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원소는 물리ㆍ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안정화 되어 자연적으로 정화가 진행되거나 혹은 재 용출될 수 있어 중요한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광석에 함유된 중금속이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는지, 광물형태(탄산염광물, 산화광물, 황산염광물 및 황화광물)로 존재하는지, 산화환경 혹은 환원환경에서 안정한 다른 광물의 결정 내에 치환된 형태로 존재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물리화학적 환경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흡착반응, 탈착반응, 용해반응, 침전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서보광산의 폐광석 내 2차 산화광물의 중금속 고정화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강민주;이평구;박성원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47
    • /
    • 2003
  • 산화환경에 노출된 폐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광물은 산소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한 산화작용을 받게 되고 주변 환경에 유해한 금속원소의 용출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용해된 금속이온은 침전(precipitation), 공침(coprecipitation), 흡착(adsorption)반응에 의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 자연적으로 고정화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서보광산의 폐광석 내 용해된 중금속원소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요인으로서 2차 산화광물의 침전 및 용해된 중금속 원소들의 흡착 가능성을 광물학적으로 연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