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용능력

검색결과 5,653건 처리시간 0.038초

Kuhlthau의 ISP모델에 기반한 대학의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Model for Undergraduates Based on Kuhlthau's Information Search Process(ISP) Model)

  • 김지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1-122
    • /
    • 2011
  •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활용능력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다.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미국, 영국, 호주를 중심으로 정보활용능력 표준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시행을 위한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류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정보활용능력 표준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 정보활용능력 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요소와 Kuhlthau의 Information Search Process Model(이후 ISP 모델)을 접목시켜 대학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모델은 현장적용성을 고려하여 대학교육의 구조와 유사한 강의교안으로 표현되었으며, 6가지 정보활용능력 핵심요소를 주요 교육내용으로 설정하고, ISP 모델의 단계를 따라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 모델을 토대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확산과 발전을 위한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 김성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46
    • /
    • 2011
  • 개인의 정보활용능력은 단기적으로는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는 평생학습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개인의 경쟁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이 개인의 성과와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았다. 개인의 성과 지표로는 실험집단이 대학생인 점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인 평점평균을 채택하였다. 검증결과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에 대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과 학업성취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상관관계는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보활용능력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의 개설에 대한 당위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현황 분석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박명규;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3-144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경상북도학교도서관교육연구회에 속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화 면담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학교도서관 중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절반이 되지 않았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도 커리큘럼을 개발 중에 있었고, 대부분 그 내용도 기본적인 도서관 소개 프로그램 수준에 머물렀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시행에 있어 가장 큰 장애로는 교과교사들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정보활용능력 척도 개발 연구 (The Study on Undergraduates' Information Literacy Scale Development)

  • 이혜영;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03-532
    • /
    • 2008
  •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정보활용능력 표준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3개 표준과 2개 모형의 분석을 통해 핵심영역과 항목을 제시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 개발을 위한 항목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최종 척도 개발 항목 모형(안)은 6개 핵심영역과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시된 척도 개발 항목 모형(안)은 앞으로 연구가 진행될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다.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학습태도가 고등학생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Life-competence Thanks to the Learning Attitudes on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3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후 학습태도와 생애능력을 측정하여 두 변인 간에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학습태도와 생애능력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태도는 생애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활성화와 생애능력의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서 협동수업모형, 정보처리모형,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사(敎師)의 정보활용능력(情報活用能力)에 따른 직무(職務) 스트레스 대처방안 비교분석(比較分析) (Job Stress disposal plan comparative analysi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uter practical use capability)

  • 천현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6-172
    • /
    • 2008
  • 초등학교 교사들은 정보 활용 능력을 기르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교육현장은 이보다 더 많은 능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사들마다 정보 활용 능력이 다르고, 교사들의 스트레스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 활용 능력의 정도와 스트레스 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 PDF

문제중심학습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Information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조옥희;황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9-2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SIM-PBL이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한국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1명이었다. SIM-PBL은 4주 동안, 주 1회(150분) 제공하였고, 교육 전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교육 후에 정보활용능력의 하부영역 중 정보통합(${\acute{p}}=.030$), 정보표현(${\acute{p}}=.003$) 및 정보윤리(${\acute{p}}=.016$) 영역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효능감은 교육 후에 변화가 없었다. SIM-PBL은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신뢰성 높은 유용한 정보를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SIM-PBL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정보활용능력 교수효과 평가 및 교과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its Design Principle)

  • 김성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3-40
    • /
    • 2010
  • 급변하는 정보사회를 살고 있는 개인들의 독립적인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평생학습을 가능케 하는 주요한 자질로서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정보활용능력 기준을 제정하고 교과과정에 정보활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규 교과과정의 개설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 수강생들의 자기효능감(self-efficiency)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관련 교과의 교수효과를 확인하고, 교과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교과과정이 수강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증진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 평가를 기반으로 교과과정 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규 교과목 정보이용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최은주;박남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153-172
    • /
    • 2005
  • 본 연구는 정규 과목으로서 정보이용교육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컴퓨터활용능력과 도서관 관련 지식이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보이용교육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소재 7개 대학의 8개 수업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가설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정보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당국의 인식과 더불어 향후의 정보이용교육은 도서관자료를 이용한 학술정보활용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9-5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의 위상을 분석하고,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은 교육적 인간상 중 하나인 창의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지식 측면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적 지식이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학제 간 연계성을 갖는 사고 능력이다. 따라서 미디어 교육과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정보 활용 교육이 선택 과목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 활용 능력의 정의가 정보 탐색과 접근, 정보 분석과 해석, 정보 종합과 표현과 같이 구체적인 학습 기술로 명문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