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환경행동 실천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8초

환경소양 요인별 수준에 따른 환경행동 실천 경험의 차이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Behavior Practi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Factors)

  • 김윤경;강지훈;이동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3-165
    • /
    • 2023
  •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환경 소양을 조사하여 환경 소양의 요인별로 그 결과를 분류한 후, 요인별 분류에 따른 학생들의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대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실행은 P 광역시에 위치한 D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7명의 학생들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환경소양 검사지와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관한 설문지를 주요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들은 환경소양 요인에 따라 세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고 환경소양군, 저 환경소양군, 저기능정서군으로 명명하였다. 각 군집별로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대한 기술 내용을 활용하여 언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중심도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화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고환경소양군은 1) 환경행동 실천 주체를 개인과 가족으로 인식하고, 2) 환경행동 실천 경험을 환경소양의 모든 요소와 연관지어서 기술하였으며, 3) 기후변화에 대해 비교적 비관론적 관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 환경소양군과 저기능정서군은 1)환경행동 실천 주체를 비교적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2)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대한 기술이 비교적 편향되어 있으며, 특히 저기능정서군은 지식 요소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3)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낙관론적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관점에서 시사점을 주는 제언을 하였다.

생활환경 여건이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 (Influence of Living Characteristics as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 Case of the Gimhae City, Gyongsangnam-do, Korea -)

  • 홍석환;이창호;김지석;피재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9-336
    • /
    • 2017
  •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유효응답자수 56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행동을 생활환경 여건과 비교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행동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법률 또를 조례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환경보전의식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실천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에 의한 환경관련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주거형태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실천의식이 높았다. 나이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환경보전 실천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실천 강도가 낮았다. 다만 교육수준과 관련해서는 학생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련 의식과 실천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제도적인 대응보다는 환경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환경관련 행동을 위한 정책은 일반화 보다는 성별, 거주유형, 교육수준 등 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임 경찰공무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간의 관계 (The Correlation of Safety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Safety Behavior in A New Police Officer)

  • 이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00-409
    • /
    • 2017
  • 본 연구는 신임 경찰공무원으로서 교육기간 중인 신임 경찰공무원 81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으며, 90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8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안전의식은 4.29점으로 높은데 반해 안전행동 실천은 48.71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화재안전의식은 나이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재난안전행동 실천은 성별과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의식은 안전행동 실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담당하는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파악해 보았으므로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기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의 지원과 더불어 이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관련 교육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전지식, 안전인식, 안전효능감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to the Safety Practices of in-home Child-care Providers: Focusing on Safety Knowledg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efficacy)

  • 문하람;어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36-546
    • /
    • 2020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안전지식, 안전인식,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북도 소재 2개 시에서 아이돌보미 양성교육 과정을 이수하여 아이돌보미 자격을 갖춘 아이돌보미 19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이돌보미의 안전지식은 0.64(±0.09)점이었으며, 안전인식은 1.92(±0.37)점, 안전효능감은 4.18(±0.51)점, 안전행동실천은 2.55(±0.36)점이었다. 안전행동 실천은 안전지식(r=.14, p=.042), 안전효능감(r=.43, p<.001)과 안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r=.32, p<.001), 주위사람 도움(r=.40, p<.001), 주위환경 조절(r=.3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실천 영향요인으로 안전효능감의 하부요인인 주위사람 도움(β=.24, p=.009)과 주위환경 조절(β=.19, p=.039)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안전행동 실천 설명력은 20.0%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유아를 위한 환경교육 웹기반 3D애니메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Animation for Young children Environment Education based Web)

  • 이근왕;조경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194-1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환경문화를 중심으로 구체적이며 적절한 환경보전 교육활동 자료를 개발하고, 유아들이 환경보호를 위한 지식을 습득하여 환경보호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구현 하고 환경교육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환경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환경교육용 웹기반 3D애니메이션 구현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 PDF

유아대상의 환경교육용 3D 콘텐츠 구현 (Implementation of 3D contents for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 이근왕;조경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17-21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아의 인지적 발달 능력을 고려하여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3D 콘텐츠를 제작하여 유아들이 환경보호를 위한 지식을 습득하여 환경보호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본 콘텐츠는 환경교육의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환경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환경교육용 3D콘텐츠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lass Using EBS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l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지현;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4-233
    • /
    • 2023
  • 본 연구는 P광역시 S초등학교 6학년 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학교라는 공간적 제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지구시민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다는 점을 알려준다는 점과, EBS 교육방송 환경 콘텐츠에서 제안하는 환경 문제를학습자가 자신의 문제로 삼아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기대감이라는 정서적인 측면을 기르고, 더 나아가 일상생활, 학교생활에서 환경 문제를 찾아보고 친환경 행동에 참여, 실천하면서 환경감수성이 길러졌다고 생각된다. 둘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책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지식전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환경과 관련된 시민적 행동, 교육적 행동, 경제적 행동, 신체적 행동, 설득적 행동으로 연결되는 학습을 제안한다는 점과 실천에 참여한 학생들이 서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나눠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환경에 대한 책임감이 길러졌다고 판단된다. 셋째,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를 분석한 결과 연구집단 20명의 학생들 중 80%의 학생들이 만족했으며, 90%의 학생들이 수업이 흥미로웠다고 답했다. 또한 수업의 참여도를 묻는 질문에도 85%의 학생들이 열심히 참여했다고 답했다. 학생들이 지식으로만 환경문제를 접하고 끝내는 수업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행동에 변화를 주면서 환경문제에 자신이 직접 참여하고 있음을 알게 하였기에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호텔에서 그린 실천에 대한 이론적 접근: 가치-태도-행동을 중심으로 (Conceptual Approach of Green Practices in Context of Hotels: Value - Attitude - Behavior)

  • 진내현;이상묵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9-12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가치와 그들의 태도가 그린 실천이나 환경에 대한 걱정, 그린 호텔의 방문 행동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고찰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들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그린호텔을 방문하는 고객들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학술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다른 의의가 있다. 각 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그린 호텔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치는 자기초월과 자기고양으로 분류되었고, 태도는 환경에 대한 걱정과 그린 호텔에 대한 심리적 태도의 관계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행동은 방문의도, 구전효과, 그리고 추가지불의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그린 호텔 마케터나 정책관련 담당자들은 소비자들의 심도 있는 관점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보다 현실적인 학문적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석유업계의 지구환경보전 자주행동계획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1호통권203호
    • /
    • pp.56-63
    • /
    • 1998
  • 이 자료는 일본경제단체연합회가 '97년 12월1일 교토에서 열린 지구온난화방지 회의에 앞서 마련한 산업별 자발적 환경실천계획중 석유부문을 옮긴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보호지역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국민 환경의식 및 실천 행동수준 분석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Protection Behavior to Establish Protected Area Management - Focused on Hebei Spirit Oil Spill -)

  • 심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59-265
    • /
    • 2012
  • 본 연구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이후 일반 국민의 환경의식과 환경보호를 위한 실천행동수준 분석을 통해 보호지역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5대 광역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서 일반 국민 987명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유류유출사고로 인한 피해복구지역으로 인지하거나, 자원봉사활동, 환경보호 및 보존 단체 및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 등과 같은 환경적 관심이 있을수록 환경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생물학적 보전과 이용의 균형을 고려한 보호지역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