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이미지

Search Result 2,09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evelopment of photo simulation for camouflage pattern evaluation (위장무늬 성능 평가를 위한 포토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Kim, Un-Yong;Yun, Jeong-Rok;Kim, Hoe-Min;Chun, Su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23-424
    • /
    • 2020
  • 다양한 환경 변화에 따라 적용 가능한 최적의 위장무늬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위장무늬 성능 평가를 위한 포토시뮬레이션 기술 또한 주목받고 있으나 포토시뮬레이션 저작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작전환경 이미지 상 위장무늬 이미지의 배치 및 기 배치된 위장무늬의 탐지 시간을 측정하는 소프트웨어인 포토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에 대해 서술한다. 개발된 포토시뮬레이션은 작전환경 및 위장무늬 이미지 로드, 사용자 입력도구를 통한 대상 작전환경 이미지 상 위장무늬 이미지의 배치 및 저작, 저작 된 작전 환경 이미지 상 위장무늬 이미지를 모니터에 출력, 사용자 입력도구를 통한 작전환경 이미지 상 위장무늬 이미지의 탐지 및 탐지 시간 측정 기술을 포함한다. 결과에서는 개발 포토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한 위장무늬 이미지 배치 및 저작, 그리고 위장무늬 이미지의 평균 시간 측정 결과 예시를 보여준다.

  • PDF

Color Image Design for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ituation: The Realization of Color Image in line with Social Situations (심리적 환경에 맞는 색채 이미지 디자인 : Color로 표현되는 상황에 맞는 이미지의 구현)

  • 황상민;김경인;정주원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15-121
    • /
    • 1999
  • 특정 환경이 제시하는 이미지는 색으로 나타내어진다. 그러면, 특징 사회적 환경에 대해 사람들은 특정한 색채 반응을 만들어내는가\ulcorner 특정 사회적 상황에 대해 사람들이 어떤 색채이미지를 만들어 내며, 이런 색채이미지가 사회적 상황을 일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사회적 상황에 맞는 색채 코디네이션과 이미지를 찾고자 할 때, 대표적인 경우가 화장이다. 여성의 화장에서 나타나는 색채 이미지는 사용자의 취향과 같은 성격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것은 또한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황을 캐주얼, 비즈니스, 지적분위기, 이브닝(섹스어필)의 4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이것에 따른 색채 감성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각각의 상황은 일관적인 색채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색채이미지로 표현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특정 환경에 관한 개대는 특징적인 색채 이미지로 반영되며, 이런 결과들은 환경색채의 디자인과 구체적인 상황과 맞는 제품의 색조 디자인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age Processing in Deciphering the Letter Written in Rocks by Experiment of Sample Texts (영상신호처리에 의한 금석문 음각문자 판독 - 샘플시료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 Hwang,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c
    • /
    • pp.765-768
    • /
    • 2003
  • 금속이나 암석에 음각(陰角)으로 각인된 문자나 그림들은 날씨나 주변 빛 환경에 따라 시각으로 입력되는 정보에 큰 차이를 보인다. 이를 이미지검출장치를 통해 읽어드려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만들고자 할 때는 더욱 그 정도가 심하여 대상체가 위치하는 빛 환경이나 검출기 특성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한다. 자연광이나 전구 그리고 기후나 날씨에 의해 조성되는 빛 환경은 조도(照度), 조사각도(照射角度), 그림자 및 대상체 표면 상태 등이 중요한 결정 인자들이다. 빛 환경이 디지털 이미지 질(質)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험실 차원의 빛환경조정실을 구축하였다. 외부 유입 광선을 모두 차단하고 지향성이 있는 조명에 의해서만 대상체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고 디지털 카메라로 대상체의 이미지를 담았다. 음각 문자를 새긴 샘플석문(石文)을 제작하고 실험실 안의 정량화된 빛환경 하에서 석문의 이미지를 취득하였다. 전처리 과정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미지의 질을 향상시켰다. 처리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문자영역과 바탕영역의 신호패턴을 추출한 다음 룩업 테이블, 조도 레벨 슬라이징, 중첩의 원리 및 Morphology 등의 기법을 알고리즘화하여 2진 형태의 음각문자를 판독 및 복원하는데 성공하였다.

  • PDF

Comparison of Changes Over Time between In and Outside the Regional Resident's Cognition for Image of Daegu City - Focused on Representative Image and Environmental Image - (대구광역시 도시이미지에 대한 지역 내외 주민 의식의 경시적 변화 비교 - 대표 이미지와 환경 이미지를 중심으로 -)

  • Eom, Boong-Hoon;Kim, Geum-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2-21
    • /
    • 2013
  • This paper deals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cognition of city image of Daegu City, focusing on image of representativ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wo-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hange of image cognition between the last decades. Major results are: Firstly, the most frequent representative images of Daegu City were hot weather, Palgong Mountain, textile industry, etc. and representative places were Palgong Mountain, Dongsung-ro Street, E world(Woobang Land), etc. Compared to the results of year 2000, the frequency of apple, and textile industry were remarkably decreased. Secondly, mean scores of image rating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high in human environment such as women, and kindness. By individual variables, accessibility to Daegu City, women, living environment such as shopping, showed higher mean scores. Generally, mean scores of 2011 survey were higher than that of 2000. Thirdly, major factors affecting city image were human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trategies to improve higher brand image of Daegu City.

Color Image Design for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ituation: The Realization of Color Image in Line with Social Situation (심리적 환경에 맞는 색채 이미지 디자인: Color로 표현되는 상황에 맞는 이미지의 구현)

  • 황상민;김경인;정주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02-309
    • /
    • 1999
  • 특정 환경이 제시하는 이미지는 색으로 나타내어진다. 그러면, 특정 사회적 환경을 생각할 때 사람들은 특정한 색채 반응으로 그것에 맞추려고 하는가\ulcorner 본 연구에서는 특정 상황에 따라 사람들이 다르게 표현하는 색채이미지를 파악하여, 각각의 사회적 상황에 맞는 색채 코디네이션과 이미지에 맞는 색채 감성 제품을 디자인하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색채와 관련된 대표적인 제품이 화장품이다.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색감은 사용자의 취향과 같은 성격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것은 또한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황을 캐주얼, 비즈니스, 지적분위기, 이브닝(섹스어필)의 4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이것에 따른 색채 감성 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각각의 상황은 일관적인 색채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색채이미지로 표현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특정 환경에 관한 기대는 특징적인 색채이미지로 반영되며, 이런 결과들은 환경색채의 디자인과 구체적인 상황과 맞는 제품의 색조 디자인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improvement study of street furniture using the KOREA image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Kim Do-Kyu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4 s.66
    • /
    • pp.31-40
    • /
    • 2006
  • For a long time, we have been good at the static image, 'the country of calm morning' as reminding Korea. But, it became a chance that we were recognized newly and actively through the success of the Olympic games in 1988 and World cup games in 2002 all over the world. And foreigners' interest and expectation for Korea becomes much higher by these reasons. Moreover, the importance of our cultural industry, recognition for new cultural improvement have been changing step by step by the oriental trend in Asia in these days. So, this study intends to realize the Korean symbol with showing Korean Identity and its image's applying to the street furniture design through the making of special street which expresses well the Korean Image. There is a purpose of this study not to use as just street furniture but to make characterized Korean culture through showing examples which are based on Korean culture. The way of the improvement for the street furniture design using Korean image are these we analyze the character of Korean international image with the previous data for the change of Korean Image. We understand the symbol of changed Korean international Image, and extract the design elements. We analogize the shape, material and color image of the street furniture which is joined with both the Korean national image and formative traditional elements. At last, we formalize its symbolic image by applying to the street furniture according to the design improvement process with the analogized image. The formal study using Korean image makes more cleary the Korean Identity, and it doesn't influence only the actual change but also Korean cultural value equipment.

  • PDF

Adversarial Learning-Based Image Correction Methodology for Deep Learning Analysis of Heterogeneous Images (이질적 이미지의 딥러닝 분석을 위한 적대적 학습기반 이미지 보정 방법론)

  • Kim, Junwoo;Kim, Namgyu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0 no.11
    • /
    • pp.457-464
    • /
    • 2021
  • The advent of the big data era has enabled the rapid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hat learns rules by itself from data.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CNN algorithms has reached the level of self-adjusting the source data itself. However, the existing image processing method only deals with the image data itself, and does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heterogeneous environment in which the image is generated. Images generated in a heterogeneous environment may have the same information, but their features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This means that not only the differ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image but also the same information are represented by different features, which may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analysis model.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color constancy model based on Adversarial Learning that uses image data generated in a heterogeneous environment simultaneously. Specifically, the proposed methodology operates with the interaction of the 'Domain Discriminator' that predicts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mage was taken and the 'Illumination Estimator' that predicts the lighting value.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xperiment on 7,022 images taken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terms of Angular Error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Multi-Thread based Image Retrieval Agent in Distributed Environment (다중스레드를 이용한 분산 환경에서의 이미지 검색 에이전트)

  • Cha Sang-Hwan;Kim Sun-Chul;Cho Yong-Hyun;Hwang By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47-9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분산 환경에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검색하기 위해 다중스레드를 사용한 이미지 검색 에이전트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미지 검색 에이전트는 정보의 효과적인 검색을 위해 다중스레드를 사용함으로써 처리기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었고 웹상의 정보를 전달받는데 소요되는 대기시간과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이미지 검색을 위한 에이전트는 플랫폼에 독립적인 자바언어를 사용하여 분산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였고, 검색한 이미지 저장을 위해 JDBC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였다. 또한 이미지 자체는 분산된 에이전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미지의 인덱스만 인덱스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Vocabulary for Public Healthcare Facility (공공보건시설 환경색채이미지 어휘 특성)

  • Park, Heykyung;Oh, Jiyou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1
    • /
    • pp.171-1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image for establishing the color environment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public health in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and to utilize it as data of public health color plan and index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previous precedent studies were integrated and public health facilities were classified into medical facilities (general hospitals), health facilities (public health centers), and sub - healing facilities (elderly care facilities). We visited 18 public health facilities in total, measured the environmental color of with a spectroscopic, compared the results and the precedent studies results, and identified color image characteristics and future supplement poi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color image vocabulary of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it prefer comfortable, bright and positive image. Second, as a result of direct measurement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it is found that most of them use the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color of Y ser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vocabulary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of public health facilities, 'natural' imag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other images such as 'gentle' and 'decent' appeared.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image vocabularies of public health facilities. This study is a convergence study of color science and environmental design, and it extends the scope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design and it will be helpful in environmental planning on user's emotion.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nvironment of Coffee Shops, Brand Image and Revisit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 브랜드 이미지 및 재방문의도 간의 구조관계 연구 : 고객 감정반응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Young-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351-36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nvironment of coffee shops, brand image and revisit intention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physical environment, spatiality, cleanliness, comfortability and attractivenes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image. Second, physical environ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visit intention. Third, brand imag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visit intention. Fourth, emotional responses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 factor and brand image. Finally, the conclusion section suggested strategic implications to induce physical environment, brand image, revisit intention and emotional respons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