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15/KILA.2013.41.3.012

Comparison of Changes Over Time between In and Outside the Regional Resident's Cognition for Image of Daegu City - Focused on Representative Image and Environmental Image -  

Eom, Boo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im, Geum-Y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41, no.3, 2013 , pp. 12-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cognition of city image of Daegu City, focusing on image of representativ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wo-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change of image cognition between the last decades. Major results are: Firstly, the most frequent representative images of Daegu City were hot weather, Palgong Mountain, textile industry, etc. and representative places were Palgong Mountain, Dongsung-ro Street, E world(Woobang Land), etc. Compared to the results of year 2000, the frequency of apple, and textile industry were remarkably decreased. Secondly, mean scores of image rating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high in human environment such as women, and kindness. By individual variables, accessibility to Daegu City, women, living environment such as shopping, showed higher mean scores. Generally, mean scores of 2011 survey were higher than that of 2000. Thirdly, major factors affecting city image were human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trategies to improve higher brand image of Daegu City.
Keywords
Representative Image; Environmental Image; Changes of Cognition; Daegu-C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규원, 김영철(2010) 대구의 정체성 정립 및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120p.
2 김남정(2005)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과 박사학위논문. 139p.
3 김덕현, 서균석, 박동진(2009) 도시이미지의 구조모형과 도시 간 비교분석. 대한경역학회지 22(4): 1825-1844.
4 김선영(2009) 도시 브랜드 이미지 형성요소로 본 공공경관 디자인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지 10(3): 69-79.
5 김영환(2011) 도시민의 경관인식 및 도시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7): 143-150.   과학기술학회마을
6 김용수, 김수봉, 곽지영(2001) 대구시 대표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분석. 국토계획 36(3): 223-240.   과학기술학회마을
7 박경애(2004) 국가이미지를 응용한 도시이미지 연구: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96-109.   과학기술학회마을
8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29-40.   과학기술학회마을
9 박주옥, 박정아(2011) 대구광역시의 도시이미지와 생태이미지가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4): 119-127.
10 박현찬, 이성창, 정상혁, 이승지, 김승주, 박현정(2010) 서울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변화와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1(4): 33-49.
11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국토계획 42(3): 163-177.   과학기술학회마을
12 변재상(2008a)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4): 83-99.
13 변재상(2008b)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2): 80-98.   과학기술학회마을
14 변재상(2009) 국내 도시 이미지 전략 및 브랜드 슬로건의 경향 분석. 국토계획 42(3): 105-121.
15 변재상(2010) 도시이미지 인지와 선호등위선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8(3): 1-14.   과학기술학회마을
16 변재상, 김대수, 이정수(2010)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8(2): 53-63.
17 손은영, 김종하(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659-662.
18 신민식, 서진형(2011) 울산광역시의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29(1): 305-321.
19 안민호, 박천일(2006) 다차원 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미지 비교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7(4): 95-113.
20 예경록(2000) 도시이미지 확립을 위한 대구광역시의 경관형성계획에 관하여. 한국연구재단 국내 박사 후 연수과정 보고서 45p(미발행).
21 윤옥경(2011) 도시 브랜드 개발을 통한 도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메디시티 대구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6): 726-737.
22 윤호(2011)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도시이미지의 결정요인 연구. 부동산학보 44: 53-69.
23 이규목(1993) 경주시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39-53.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이진숙, 김한나(2010) 다변량 해석기법을 이용한 도시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8): 3-10.   과학기술학회마을
25 이훈(1999) 심지도를 이용한 도시환경의 이미지 인지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5(6): 3-14.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최승담, 박경렬(2005) 관광목적지로서 도시관광이미지 측정척도 개발. 서울도시연구 6(1): 93-106.
27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과학기술학회마을
28 전기수, 이창노(2011) 장소마케팅을 통한 도시이미지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1(1): 535-547.
29 정만모(2008) 신도시 도시이미지의 형성요소가 도시환경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1p.
30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미지 분석. 국토계획 39(2): 189-202.   과학기술학회마을
31 현대경제연구원(2009) 도시브랜드가 국가경쟁력이다-한국 도시브랜드 가치 평가. VIP REPORT 09-08(vol.390).
32 Allport, G. W.(1979)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Addison-Wesley. pp.105-106.
33 Boulding, Kenneth E(1956) The Image: Knowledge in Life and Society. Ann Arbor : The Uni. of Michigan Press.
34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IT Press.
35 Russel, J. A., L. M. Ward and F. Pratt(1981) Affective quality attributed to environments: A factor anlalytic study. Environment & Behavior 13(3): 259-288.   DOI   ScienceOn
36 김훈, 송윤환(2007) 도시이미지 결정요인과 도시규모별 이미지 결정요인 비교. 국제지역연구 11(1): 562-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