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improvement study of street furniture using the KOREA image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김도경 (한국폴리텍VII 울산대학 산업디자인과)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For a long time, we have been good at the static image, 'the country of calm morning' as reminding Korea. But, it became a chance that we were recognized newly and actively through the success of the Olympic games in 1988 and World cup games in 2002 all over the world. And foreigners' interest and expectation for Korea becomes much higher by these reasons. Moreover, the importance of our cultural industry, recognition for new cultural improvement have been changing step by step by the oriental trend in Asia in these days. So, this study intends to realize the Korean symbol with showing Korean Identity and its image's applying to the street furniture design through the making of special street which expresses well the Korean Image. There is a purpose of this study not to use as just street furniture but to make characterized Korean culture through showing examples which are based on Korean culture. The way of the improvement for the street furniture design using Korean image are these we analyze the character of Korean international image with the previous data for the change of Korean Image. We understand the symbol of changed Korean international Image, and extract the design elements. We analogize the shape, material and color image of the street furniture which is joined with both the Korean national image and formative traditional elements. At last, we formalize its symbolic image by applying to the street furniture according to the design improvement process with the analogized image. The formal study using Korean image makes more cleary the Korean Identity, and it doesn't influence only the actual change but also Korean cultural value equipment.

오랜 동안 우리는 한국의 이미지를 연상할 때'고요한 아침의나라'라는 정적인 이미지에 익숙해 왔다. 하지만 88서울올림픽과 2002 한 일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로 국제사회에 비추어진 우리의 모습은 매우 역동적이었으며 우리나라를 새롭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로부터 한국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향상되고 있다. 또 최근 아시아 지역에 한류열풍이 불어 닥치면서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중요성과 새로운 문화 개발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 변화에 따른 한국의 정체성을 제고하고, 역동적인 코리아 이미지의 상징성을 환경시설물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서, 한국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특성 있는 거리로 새롭게 인식될 수 있는 가로를 조성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국가의 상징성을 인식시키고자한다. 그리고 한국의 조형요소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이 단지 환경시설물로서의 쓰임새가 아닌, 한국 정체성의 의미언어로서 새로운 역할을 하고, 특성화된 국가문화와 국가이미지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의 방법으로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변화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외적 국가이미지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의 변화된 국가이미지의 상징성을 파악하고 디자인 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된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한국의 전통적 조형요소를 접목한 환경시설물의 형태, 재질, 색채 이미지를 유추한다. 유추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환경시설물에 적용하여 국가이미지의 상징적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형상화 연구는 한국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며,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요소에 의한 사용자의 행태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적 가치향상에도 많은 영향을 주리라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