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시료분석

Search Result 1,87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Validation of Suitable Zooplankton Enumeration Method for Species Diversity Study Using Rarefaction Curve and Extrapolation (종 다양성 평가를 위한 호소 생태계 동물플랑크톤 조사 방법 연구: 희박화 분석(rarefaction analysis)을 이용한 적정 시료 농축 정도 및 부차 시료 추출량의 검증)

  • Hye-Ji Oh;Yerim Choi;Hyunjoon Kim;Geun-Hyeok Hong;Young-Seuk Park;Yong-Jae Kim;Kwang-Hyeon Cha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4
    • /
    • pp.274-284
    • /
    • 2022
  • Through sample-size-based rarefaction analyses, we tri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degree of sample concentration and sub-sample extraction, as a way to estimate more accurate zooplankton species diversity when assessing biodiversity. When we collected zooplankton from three reservoirs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estimated species richness (S) and Shannon's H' values showed different chang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b-sample extracted from the whole sample by reservoir. However, consequently, their zooplankton diversity indices were estimated the highest values when analyzed by extracting the largest amount of sub-sample. As a result of rarefaction analysis about sample coverage, in the case of deep eutrophic reservoir (Juam) with high zooplankton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s, it was analyzed that 99.8% of the whole samples were represented by only 1 mL of sub-sample based on 100 mL of concentrated samples. On the other hand, in Soyang reservoir, which showed very small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s, a relatively low representation at 97% when 10 mL of sub-sample was extracted from the same amount of concentrated sample. As such, the representation of sub-sample for the whole zooplankton sample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ensity in the sample collected from the field. If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samples and the amount of sub-sample extraction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dividual density, it is believed that errors that occur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indices among different water bodies can be minimized.

Ion Chromatograph를 이용한 작업환경 시료중 개미산의 분석법

  • Kim, Eun-Seon;Kim, Gang-Yun;Choe, Ho-Chun
    • 월간산업보건
    • /
    • s.123
    • /
    • pp.32-37
    • /
    • 1998
  • 본 분석기법을 소개하고자 하는 목적은 유해인자별 작업환경 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시료 분석에 맞는구체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산업보건관련 유관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 입니다.

  • PDF

Ion Chromatograph를 이용한 작업환경 시료중 이산화황의 분석법

  • Ha, Cheol-Ju;Kim, Gang-Yun;Kim, Seok-Won
    • 월간산업보건
    • /
    • s.131
    • /
    • pp.30-34
    • /
    • 1999
  • 본 분석기법을 소개하고자 하는 목적은 유해인자별 작업환경 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시료 분석에 맞는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산업보건관련 유관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 입니다.

  • PDF

Ion Chromatograph를 이용한 작업환경 시료중 산류의 동시분석

  • Lee, Hye-Eun;Kim, Gang-Yun;Choe, Ho-Chun
    • 월간산업보건
    • /
    • s.115
    • /
    • pp.32-41
    • /
    • 1997
  • 본 분석기법을 소개하고자 하는 목적은 유해인자별 작업환경 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시료 분석에 맞는구체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산업보건관련 유관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 입니다.

  • PDF

Preparation and assessment of airborne fibrous reference sample for a proficiency test (국내 공기 중 섬유상 분진 숙련도 시험용 표준시료 제조 및 평가)

  • Lim, Hoju;Ryu, Jaihyuk;Choi, Sungho;Choi, Arum;Jung, Hyunsung;Ryu, Jungmin;Kim, Hyunwook;Jang, Seongki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5
    • /
    • pp.369-375
    • /
    • 2009
  • We evaluated the homogeneity and accuracy of low level airborne fibrous standard, and accomplished the proper proficiency test. We had found that the correlation of concentration of standard solution and asbestos density was 0.9863~0.9968, and concluded that the proper guideline of the analysis result was ${\mid}Z{\mid}{\leq}2$ interval of Z-score.

A Study on The Change of NIR(Near-Infrared Reflectance) value of The Natural Sample by Landform Division (주변 자연 지형에 따른 자연시료의 NIR 반사율값 비교)

  • Lee, Hae-Jung;Kim, Mi-Ri;Ko, Jae-Hoon;Park, Y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0-90
    • /
    • 2011
  • 스텔스 기능성 섬유의 위장은 주간의 경우, 육안 및 망원경 관측에 의해 결정되며 주변자연환경 color matching과 패턴이 핵심 스텔스 요인으로 구성되고, 가시광선 영역 스텔스로 표현할 수 있으며, 군 위장 체계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술 분야로 모든 군 위장제품에 활용되는 필수적인 기술 분야이다. 따라서 가시영역의 위장은 다양한 색상의 위장포와 포의 펀칭 등에 의한 파형특성을 부여하고 주위환경과 특성 조화를 이룸으로써 대상을 위장한다. 주요인자는 색상별 색도, 색차이다. 야간 위장은 근적외선 관측 장비의 탐지에 의해 결정되며 주변자연환경 NIR 반사율과 위장제품의 NIR 반사율 저하/제어기술이 핵심 스텔스 요인으로 구성되고, 근적외선(NIR) 영역 스텔스로 표시할 수 있으며, NIR 스텔스는 대개의 경우 기본적으로 섬유제품이 NIR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므로 NIR 반사율 저하/제어기술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적외선 영역(600~1250nm)의 적외선 반사특성을 산림지역의 반사특성과 조화시켜 위장효과를 부여한다. 위장포에서는 적외선 흡수 색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반사특성을 나타나게 해야 한다. 위장용섬유가 detector의 탐지에서 벗어나려면 현재 700~1250nm의 근적외선파장영역에서 주변환경과 유사한 반사율을 지녀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숲 연구소" 및 서울대학교 "지반공학연구실"의 자문을 받아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자연환경시료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료의 근적외선영역에서의 반사율을 분석하였다. 자연시료는 산간, 해안, 평야지형으로 각각 구분하여 주변 자연지형에 따른 자연시료의 근적외선영역의 반사율값을 비교하였다. 북한산에서 산간지형의 시료를 채취하였고, 해안지형의 시료는 강화도 동막해수욕장 부근, 평야지형의 시료는 인천 강화도 평야지역에서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지형별 자연시료의 근적외선 반사율값의 데이터베이스구축을 통하여 기존의 위장복과의 비교 적용 및 차후 개선사항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Elemental Distribu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with Particle Size(Fine and Coarse) of Air Particles in Daejeon Region($\mid$$\mid$$\mid$) (대전지역 대기분진의 입경별 원소분포와 통계적 오염원 분류($\mid$$\mid$$\mid$))

  • 문종화;김선하;임종명;정용삼;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9-410
    • /
    • 2003
  •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규제가 증가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물, 토양, 생물 등과 같은 여러가지 환경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원을 규명하여 환경관리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여러 가지 환경시료중 대기분진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발생원에 따라 다양한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지표시료로 이용되고 있다. 오염원의 규명을 위한 소량의 휠터상 분진시료로부터 원소의 정확한 분석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선행작업이며 적합한 측정분석법의 이용이 요구된다. (중략)

  • PDF

Determination of benzo(a)pyrene in Soil, Sediment and Water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의한 토양, 저질 및 수질시료 중 benzo(a)pyrene의 분석)

  • Jeon Ree Kyung;Choi Rae Yeon;Ryu Jae-Ch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1
    • /
    • pp.47-55
    • /
    • 2005
  • 본 연구는 GC/MS를 이용하여 수질, 토양 및 저질 시료 중의 benzo(a)pyrene(BaP)을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BaP은 수질 시료(100mL)에서 n-hexane으로 추출하였으며, 토양 및 저질 시료(l0g) 에서는 먼저 메탄올로 추출한 후 hexane으로 다시 추출하여 농축시켜 분석하였다. 수질 시료 중의 BaP 회수율은 94.8% 이상이었으며 토양에서의 회수율은 약 93%를 보였고 재현성은 10.49% 이하였다. 검정 곡선은 상관계수(R²)값이 수질과 토양 모두에서 0.996 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토양 시료의 경우 35지역 중 6지역의 토양에서 0.5~223.5㎍/kg의 농도 범위로 BaP가 검출되었으며 수질과 저질 시료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이 분석방법은 환경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BaP의 분석과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지하수의 채취 및 전처리 방법에 따른 TOC 농도변화

  • 조수영;윤윤열;이길용;김용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13-416
    • /
    • 2004
  • TOC(total organic carbon)분석은 폐수 및 강수의 오염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TOC 측정시간은 10분 정도로 BOD(5~6일), COD(2~3시간)에 비해 아주 짧은 시간에 측정할 수가 있으며, 전처리과정이 단순하고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하수의 잠재오염성을 밝혀내기 위한 도구로 TOC를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분석 값을 얻기 위해서 시료의 채취, 보관, 측정까지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시료 채취 후 일정 경과 시간에 따른 TOC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료채취 용기, 채취 후 산성화, 보관방법 및 기간에 대한 실험 결과, 대상 변수에 따라서 TOC의 농도변화에 커다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TOC 농도가 낮은 지하수시료의 측정에서는 빛을 차단시킨 불투명 유리병을 사용해야만 하고 채취 즉시 산도를 높여(pH<2)주며 4$^{\circ}C$ 이하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지하수중 TOC 측정시료는 가능한 보관 기간에 있어서 채수 후 24시간 이내에 측정하는 것이 좋으나 1) 본 연구에서는 채취현장과의 거리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기간에 따른 TOC 변화를 30일까지 측정, 조사하였다.

  • PDF

Distribu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Fine and Coarse Air Particles in Daejeon region (대전지역 대기분진의 입경별 원소분포와 통계적 오염원 분류)

  • 문종화;김선하;박광원;임종명;정용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88-289
    • /
    • 2002
  •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규제가 증가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 물, 토양, 생물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환경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원을 규명하여 환경관리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여러 가지 환경시료 중 대기분진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발생원에 따라 다양한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관측시료로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