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환경보전의식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itizens' Perception on and Attitudes toward Use and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국립공원 이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시민 인식)

  • Lee, Seonghun;Koo, Kyung Ah;Im, Changmin;Yoon, Tae Ky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2
    • /
    • pp.89-104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blic opinion on the use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national park, to manage the growing demand of national park visit and to support the policy direction of national park. So far, various surveys and big data analysis on the use and perception of national park have been conducted, bu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such as lack of survey questions on issues in park management and use.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limited to the national park visitors; therefore, this study expanded the object of survey from national park visitors to ordinary citizens. Unlike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ly on national park visitors, ordinary citizens relatively prefered bottom areas rather than high-altitude ones. A policy to limit the visit to high-ridge area of mountain is being currently driven; however, the survey results of ordinary citizens suggested to maintain current policies or to increase visitor reservations system within narrow limits.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citizens who have used the visitor-reservation system was very small. We discuss the difference between national park visitors and ordinary citizens and the policy condi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park management principles and public attitudes toward national parks.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small constructed wetland for urban and roadside areas (도시 및 도로 조경공간을 활용한 소규모 인공습지 조성 기술)

  • Kang, Chang-Guk;Maniquiz, Marla C.;Son, Young-Gyu;Cho, Hye-Ji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231-242
    • /
    • 2011
  • Recently, the green spaces in the urban areas were greatly reduced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urban structures such as roads and buildings are built, the amount of impervious area within a watershed increases. High impervious surfaces are the common causes of high runoff volumes as the soil infiltration capacity decreases and the volume and rate of runoff increase thereby decreasing the groundwater recharge. These effects are causing many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climate change, heat island phenomenon, drying streams, etc. Most cities attempted to reduce sewer overflows by separating combined sewers, expanding treatment capacity or storage within the sewer system, or by replacing broken or decaying pipes. However, these practices can be enormously expensive than combined sewer overflow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practices, alternative methods should be undertaken. A new approach termed as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is currently applied in develop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ively manage runoff by adopting the LID techniques. Small Constructed Wetland(Horizontal Subsurface Flow, HSSF) Pilot-scale reactors were made in which monitoring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in removing pollutants from runoff.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plant experiments, TSS, $COD_{Cr}$, TN, TP, Total Pb removal efficiency were 95, 82, 35, 91 and 57%, respectively. Most of the pollutants were reduced after passing the settling tank and the vertical filter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aquatic ecosystems and restoration of natural water cycle in the urban areas.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III) -Flora of Several Islands Off the South & East Seashore, Korea -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I) - 남, 동해 몇몇 도서의 관속식물상 -)

  • 김용식;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61-83
    • /
    • 1997
  • The flor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regions in the islands off the south & east seashore was undertaken three times between August to October, 1995.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surveyed in the studied areas were summarized as 434 taxa; 105 families 297 genera 380 species 49 varieties 1 subspecies and 4 formas. The vascular plants were classified as 56 taxa 32 families 53 genera 50 species 6 varieties in Mokdo, 92 taxa 47 families 80 genera 81 species 9 varieties and 2 forms in Mijo-ri, 68 taxa 47 families 65 genera 58 species 9 varieties and 1 forms in Mijodo, 57 taxa 39 families 52 genera 53 species 4 varieties in Kkamakseom, 124 taxa 59 families 105 genera 112 species 11 varieties 1 subspecies in Aedo, 90 taxa 46 families 75 genera 83 species 7 varieties in Sayangdo, 135 taxa 63 families 111 genera 147 species 13 varieties in Kumodo, 78 taxa 40 families 67 genera 69 species 9 varieties in Chudo, 142 taxa 67 families 113 genera 120 species 20 varieties and 2 forms in Mira-ri, 184 taxa 73 families 150 genera 160 species 24 varieties 1 subspecies in Maengseon-ni, and 196 taxa 79 families 156 genera 172 species 24 varieties 1 subspecies and 1 forms in Yesong-ni. Conservation measur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areas, at both the habitat and species levels, are urgently needed to mitigate against destructive human activities, such as unreasonable management and trampling.

  • PDF

A Study on Inhabitants Consciousness of Urban Residential Area Scenic Sites -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of Seongragwon(Scenic Sites no.35) Area - (도심지 내 명승 주변지역 거주민의 의식 연구 - 명승 제35호 성락원(城樂園) 주변 역사문화환경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

  • Yeon, Ung;Lee, Won-Ho;Lee, Se-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38-47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serve and protect the scenic sit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s located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fter classifying the type of area surrounding parcels of Seongbuk-dong is located in Seongragwon, Satisfaction Survey, scenic sites designated areas for residents living near the analyzed. Research methods, Cadastral research, literature survey, field surve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Cultural heritage awareness about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of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cultural heritages around satisfaction, satisfaction analysis by parcel area, parcel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specific differences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ull-on relationship satisfaction, one-way ANOVA was conducted for each. Overall Cultural awareness analysis results, the residence is located close to the Seoul Seonjamdanji, Seongragwon, Simujang, Sanghoe Lee Tae-Joon's houses, Seoul Hanyang castle showed that cultural heritage were know unfulfilled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cultural heritage visit was to break/walks. Preservation was usually level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caused as a cultural heritage. Regulatory intensity level was usually level and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the impact of cultural heritage in Seongbuk-dong image mostly. cultural heritag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age of the town. but access to cultural heritage is not easy and doesn't affect the life is expected. Overall satisfaction for cultural heritages in the surrounding space, the larger the size of the lot, and higher satisfaction. Seongbuk-dong most of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higher. Small lots of residents showed low satisfaction for safety when walking at night, heritage value rise, private ownership of heritage use,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Building exterior, non-physical uniqueness like culture art mental. It can be interpreted that small lo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is low compared to the large lots, influx of residents in other regions due to the redevelopment of one of Seongbuk-dong, private ownership of heritage use. And generally lower satisfaction on the harmonization of the facility(street lights, signs, etc.). Therefore cultural heritage signs for facility expansion, 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needed to maintain the uniqueness village when scenic sites in the city center around the area of management strategy.

A Study on the Attraction Factors of Eco-city using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 The Case of Suncheon City - (중요도-만족도(ISA) 분석을 활용한 생태도시 매력요인에 관한 연구 - 전남 순천시를 대상으로 -)

  • Lee, Jeong;Kim, Sa-R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2
    • /
    • pp.52-64
    • /
    • 2014
  • I the recent years, Seoul, Daejeon, Changwon, and Suncheon have started to strengthen P.R. efforts on eco-brands produced by the city and to publicize as a specialized tourist city in an attempt to change their identity and image. However, there is actually a question whether the efforts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any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urban living environments and the attractions of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residents and visitors about the attractions of Suncheon City as an eco-city and to discuss the planning criteria for the eco-city brand building and its management.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in Suncheon City and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idents and the visitors investigated were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this city and regarded it as an eco-city.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y they viewed the city as an eco-city, many of the residents cited diverse green tracts of land as the reason, whereas the visitors replie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tate of marshy areas preserved by the city. The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eco-city by the residents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cultural factor', 'urban infrastructure factor', 'ecological factor' and 'scenery factor'. The visitors were composed of five factors, 'cultural factor', 'urban infrastructure factor', 'ecological factor', 'scenery factor' and 'amenity factor'. Out of the factors, the cultural factor and the urban infrastructure factor were found to exert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visitors. The ISA(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was made, the residents and the visitors gave top priority to 'diversity of natural attractions', 'pleasant season and weather', 'beautiful scenery', 'diversity of rare animals and plants', 'diversity of parks', 'green areas and streets', 'broad ecological area' and 'the preservation of marshy areas' among the attractions of the eco-city. They placed importance on the activation of green traffic and walking environments as well, but they weren't satisfied with the state of the two in the city. Therefore there was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hat regard.

The Landscape Value of Asan Oeam-ri's Folk Village as Cultural Heritage (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

  • Shin, Sang Sup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4 no.1
    • /
    • pp.30-51
    • /
    • 2011
  •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many rural villages in Korea have experienced degeneration and breakdown, losing sustainability. However, Oeam village in Asan City, South Chungcheong Provinc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mportant Folk Material No. 236)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nique folk village, which evolves with sustainability, pursuing the revival of Neo-traditionalism. Oeam village is a tribal village of the Yis from the Yean region and has maintain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soundness for over five centuries. Thus, the village has sustained itself well enough to be a cultural asset wit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erms of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The village maintains its own identity, filled with a variety of traditional and scenic cultural assets that symbolize a gentry village. Those assets include Confucian sceneries (head family houses, ancestral shrines, tombs, gravestones, commemorative monuments, and pavilions), various assets of folk religion (totem poles, protective trees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shrines for mountain spirits, village forest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daily lives (vigorous family activities, rigorous ancestral rituals, family rituals, collective agriculture and protection of ecosystem), which have all been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In particular, this village is an example of a well-being community with a well-preserved folksy atmosphere, which is based on environmentally sound settlements (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 in a village established according to geomancy, East Asia's unique principle of environmental design. In addition, the village has kept the sustainability and authenticity for more than 500 years, combining restraint towards the environment and the view of the environment which respects the natural order and cultural values (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Oeam folk village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folksy and scenic Korean community which falls into the category of IV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ype of building, architectural or technological ensemble, or landscape which illustrates significant stages in human history) and V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raditional human settlement, land-use, or sea-use which is representative of cultures, or hum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especially when it has become vulnerable under the impact of irreversible change) of Unesco's World Cultural Heritage.

어류 초기 자어의 로티퍼 최초 섭이 일령과 포식수 분석을 위한 새로운 관찰 및 계수법

  • 정민민;민광식;지영주;위종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22
    • /
    • 2003
  • 로티퍼는 해산어와 담수어뿐만 아니라 식용어와 관상어에 이르기까지 모든 어류의 인공 종묘 생산 과정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동물 플랑크톤이다. 그리고 로티퍼를 초기 자어의 첫 먹이로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알테미아, 코페포다 또는 초미립자 사료 등을 사용하는 어류 인공종묘 생산 과정에서의 먹이계열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사육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초기 자어기에서 로티퍼를 섭이하는 시기와 사육 일령별 자어의 로티퍼 포식수를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지금까지는 자어의 로티퍼 최초 포식 일령 및 로티퍼 포식수를 개개의 연구자들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관찰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자어가 로티퍼를 포식하였는지의 여부 및 포식수는 자어 소화기내에 존재하는 소화가 진행되기 전의 로티퍼 몸체의 수를 계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로티퍼의 체내에는 섬모환으로 모은 수중의 먹이 현탁액을 소화기계로 이동시키기 전에 먹이를 잘게 다지고 부수는 기능을 하는 저작기 (trophi)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저작기는 로티퍼의 종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어가 섭이한 로티퍼는 어류의 소화기내에서 소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로티퍼의 체 구조 중 저작기가 쉽게 소화되기 어렵고 소화기관의 연동 운동에 의해서도 쉽게 그 모양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저작기의 수를 계수하므로서 로티퍼의 최초 섭이 일령 및 일령별 로티퍼 포식수를 계수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소화기내의 잔존 로티퍼 몸체만으로 계수 관찰하던 기존 방법에 비교하여 로티퍼의 저작기를 계수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보다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제적 가치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자국의 대두 생산자들이 생산해 낸 대두를 판매하면서 조성한 자조금을 모아 대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과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쓰고 있다. 이런 자조 노력은 비단 미국의 대두 농민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의 수산업과 해산어 양식산업의 발전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수협과 같은 어민 조합 및 연근해 수산업 종사자들이 출연한 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난 8월 북해도의 양식산업을 시찰했을 때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소득 1만불 시대를 넘어 2만불 시대를 열기 위한 청사진을 그릴 만큼 모든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고도화되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성숙된 산업사회에 걸맞는 각 산업 주체들의 의식이다. 한국의 양식산업도 자조 정신을 갖추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양식기술의 개발, 환경 보전을 고려한 양식장 관리 및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유통시스템의 선진화에 스스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치가 완전히 익은 15일 후에는 무첨가 김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젖산균 수는 5.4X107 cfu/g, 3.3X107 cfu/g, 8.6X106 cfu/g 및 2.6X106 cfu/g로 나타났다. 5. 발효가 진행 중에 대장균 군 수가 시간과 더불어 대장균군 수가 모든 구에 있어서 6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후부터는 대장균 군 수가 감소하였다. 즉, 발효초기에는 모든 구가 2.0X104∼4.0X105 cfu/g이었고, 6일 경에는 8.9X104∼4.5X105 cfu/g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15일후에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가 2.0X

  • PDF

A Study on Institutional Foundation on the Korea Counter-Terrorism System (한국 테러대응 시스템의 제도적 구축방안)

  • Kwon, Jeong-Hoo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25
    • /
    • pp.27-61
    • /
    • 2010
  • This study looks at plans for the efficient functions of the current terror response system in Korea. The results are derived from by comparing and analyzing American, British, German, Japanese, and Korean terror response systems. It focuses especially on addressing some problems with Korea's terror response system and how to operate it effectively. The study will systematically compare and analyze each nation's terror countermeasure studying organizational, functional, and legal aspects as standard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t an exclusive terror response center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nations such as America,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Also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ive and vigorous operations due to weak cooperation across the relevant organizations. The presidential directive of the state's anti-terrorism action guidelines is legally ineffective. This means that on legal grounds, it is difficult to take actions to prevent the terrorism. Therefore, keys to counteracting terrorism deriv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In the first place, an integrated terror response system should be set up for expansion of information sharing which leads to emergence effect. In the second place, the superior legislative systems should be made for the cleardefinition and extent of what the terror is, rigid enforcement of investigation, immigration, and keeping an eye on the funds raised by terrorists and tracking down the terrorists, the plan for eco-terrorism. In the third place, to augment security of vital facilities and peoples' awareness of terrorism safety should be emphasized and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civil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need to be built. In the fourth place, system for crisis management must be provided in an effort to maximize management system of terrorism and unify a decentralized emergency countermeasures effectively.

  • PDF

Spatial problems of Korea -A delphi survey- (國土管理의 方向定立을 위한 國土診斷 -專門家 集團의 問題意識을 中心으로-)

  • Kim, Inn;Yu, Woo-Ik;Huh, Woo-Kung;Park, Young-Han;Park, Sam-Ock;Yu, Keun-bae;Choi, Byung-S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9 no.1
    • /
    • pp.16-38
    • /
    • 1994
  • The spatial structure of Korea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during the second half of this century. The events such as the Korean War and the resultant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into two Koreas,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re the major causes among others for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 The changes in turn have spawned a number of spatial problems. It is time, we argue, to diagnose how much the nation is now ill-structured, and to discuss of which directions the long-term spatial management be reoriente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early 1993 to fulfill such research nee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geographers, planners, and high governmental officials throughout the nation. These 'experts of spatial problems' were requested to evaluate the past spatial policies and strategies, and to identify spat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local levels.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with regard to the spatial problems in North Korea too. A complementary literature survey in the fields of spatial sciences was accomplished as well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research interests and issues with regard to the nations's spatial structure. The delphi survey results indicatee that the present spatial structure: in relation to consumption, housing and economic activities is satisfactory in overall, while rather poor in terms of education, leisure and community activities. Most of the experts consider infrastructural improvements are urgent in the areas of roads, waste disposal facilitles, railroads, harbors,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s. The over-concentration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fun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s perceived to be the most serious spatial problem in Korea. The long-term solutions suggested are strategies toward a mor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well as toward a cleaner environment. The concensus among the experts for the short-term solution is the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industrie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o the intermediate and small cities. The land use policies and concurrent large-scale infrastructural projects are evaluated largely pertinent and desirable in general. It is, however, suggested that development projects be conducted in a more harmonious way with environment. The survey respondents suggest that the present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ies should be reexamined critically. With regard to regional and local problems, transportation and pollutions are thought to be most seriou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hil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education and health care services are most deprived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The majority of the experts consider a city size of 250, 000-500, 000 population is desirable to live within. Respondents beileve that North Korea's physical environment is still not aggravated much whereas its infrastructural provisions are largely pool. The co-authors of this research figure a "environmentaly sound and spatially balanced Korean Penninsular" as the ideal type of spatial structure in Korea. The basic guidelines toward this ideal prototype are suggested: the recovery of spetial integrity, progressive restructuring of the nation, land uses geared to public welfare rather than private interests, and eco-humanistic approach in spatial poli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