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확산반사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Higher Order Form Factors on the Prediction of Room Acoustics by Extended Radiosity Method (확장 라디오시티법에 의한 실내음향 예측에 있어 고차형태계수의 영향)

  • Lee Heewon;Goh Ildu;Oh Yangki;Doo Sejin;Jeong Dae-up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19-522
    • /
    • 2002
  • 컴퓨터에 의한 실내음향 예측에 있어 확산반사의 고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간주된다. 지난 수년 동안 음선추적법을 이용하여 실내음향을 예측하는 경우에 확산 반사를 고려하기 위한 방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경면반사를 근본으로 하는 영상법에서는 확산 반사를 고려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제안된 확장 라디오 시티법을 적용하여 영상법에서 확산반사를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분적으로 확산성을 갖는 반사면에서의 음향에너지 반사는 확산반사와 경면반사의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반사의 횟수를 거듭함에 따라 확산-확산, 확산-경면, 경면-확산, 경면-경면의 형태로 반사에너지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 형태계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이 네가지 형태의 반사음전달과정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벽면을 부분적 확산반사의 특성을 갖는 반사면으로 모델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라디오시티법의 개념과 이에 따른 고차형태계수의 근사 계산법을 제시하고 고차형태계수가 실내음향 씨뮬레이션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특정기초 연구 (과제번호 1999-1-310-004-3)의 지원에 의한 연구결과의 일부임]

  • PDF

Effect of Higher Order Form Factors on the Prediction of Room Acoustics by Extended Radiosity Method (확장 라디오시티법에 의한 실내음향 예측에 있어 고차 형태 계수의 영향)

  • 이희원;고일두;오양기;두세진;정대업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1
    • /
    • pp.7-13
    • /
    • 2003
  • Numerous investigations have demonstrated that diffused ref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room acoustics by computer simulation.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several computational algorithms in order to account for diffused reflections in the ray tracing or beam tracing method. In this study, a computational algorithm for the calculation of diffuse sound reflections in the image method is suggested and a computer simulation system is developed based on the suggested algorithm. The methodology adopted in our computer simulation system is similar to the extended radiosity method, which is developed for the computer graphics. In a real room, sound energy is reflected in a partially diffused manner which results in four reflection combinations: diffuse-diffuse, specular-specular, diffuse-specular and specular-diffuse. In this study, higher order form factor is introduced to handle the four types of reflection combinations so that the partially diffused reflection could be modeled.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extended radiosity method is described and the approximate method of calculating higher order form factor is suggested. Finally, the effect of higher order form factors on the simulation of reverberation time is investigated.

Interdiffusion effects in optical multilayer thinfilms (광 다층박막의 층간확산 효과)

  • 이영재;김영식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5
    • /
    • pp.300-306
    • /
    • 1998
  • We have studied the optical effects in dielectric multilayer due to the interdiffusion formed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We suggest a numerical method to calcul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periodical multilayer thin-films with gradient-index profiles. Using this method the spectral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were obtained for Fabry-Perot type filters, broad-band total reflectors and antireflection filters with interdiffusion layers. Interdiffusion reduced the spectral band width of high reflectance in total reflectors, and deteriorat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 AR-coatings leading to a large variation of reflectance if the number of the layers is large.

  • PDF

Analysis of Reflectivity for Interfacial Roughness of Depth-Graded W/Si Multilayer Mirror (두께 변화 W/Si 다층박막거울의 계면 거칠기에 대한 반사율 분석)

  • Chon, Kwon 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2 no.1
    • /
    • pp.101-106
    • /
    • 2018
  • Multilayer mirrors have widely been used for monochromatization of X-ray with high reflection efficiency. The reflected X-ray energy or wavelength is determined by the d-spacing of a multilayer mirror and the incidence angle. The reflectivity critically depends on the number of bilayers and surface roughness on each interface. The multilayer mirror has a structure of alternative deposition of high and low Z-elements on the substrate. Each interfa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reflectivity.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degradation of reflectivity by the inter-diffusion combined with surface roughness on each interface for a W/Si multilayer mirror. In the depth-graded W/Si multilayer mirror, the FWHMs for angle and energy were larger than them of the uniform multilayer mirror. Inter-diffusion considerable gave rise to the degradation of reflectivity. To obtain measured reflectivity closed to the expected reflectivity, the inter-diffusion on W-Si and Si-W interfaces should be considered.

ITO Dot과 알루미늄 반사판을 이용한 InGaN 기반 박막태양전지

  • Choe, Sang-Bae;Seo, Dong-Ju;Sim, Jae-Pil;Lee, D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40-441
    • /
    • 2013
  • 현재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하여 박막 태양전지 연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InGaN 기반의 박막태양전지는 태양 스펙트럼 전체를 흡수 할 수 있는 넓은 흡수 대역, 비교적 높은 흡수 계수 ($>{\sim}10^5cm^{-1}$) 및 전자의 이동도 등으로 인하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GaN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 ITO 층을 전류확산 층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평평한 박막의 형태를 갖는다. 이 평면 ITO 층에 dot을 형성하게 되면 상대적인 굴절률의 차이를 감소시켜 반사되는 빛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태양전지가 흡수할 수 있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파장대의 빛의 경우 투과도가 높아 태양전지의 흡수 층을 투과할 가능성을 인하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판을 사용하게 되면 빛의 광학적 경로를 증가시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의 경우 InGaN 태양전지의 흡수대역에서 반사도가 90% 이상으로 알려져 있어 반사판으로 사용되기에 적절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DTD 툴을 이용하여 ITO dot과 알루미늄 반사판을 이용하여 효율이 향상된 InGaN 박막태양전지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ITO dot이 존재하는 전류 확산층과 알루미늄 반사판의 투과도 및 반사율을 먼저 계산한 후 태양전지 구조에 적용하여 전류-전압 특성, 외부 양자효율 특성을 예측하였다. Fig. 1은 시뮬레이션된 InGaN 박막태양전지의 구조이다.

  • PDF

optical Simulation on EUV Reflectivity of Mo/Si Multilayer Structure (Mo/Si 다층박막의 극자외선 반사도에 대한 전산모사)

  • 이영태;강인용;정용재;이승윤;허성민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8 no.2
    • /
    • pp.19-24
    • /
    • 2001
  • The effect of thickness variation and inter-diffusion layer on the reflectivity of Mo/Si multilayer has been investigated. The reflectivity of the imperfect Mo/Si multilayer with thickness variation of 28% was found to be lowered by 10.8% compared to that of ideal Mo/Si multilayers with 40-periods. When the inter-diffusion layer is taken into account, the reflectivity is decreased by 4.7% additionally. We also fecund that the reflectivity continued to increase until the 25th-layer but it showed irregular tendencies about increment and decrement from the 26th-layer of Mo/Si multilayer structures.

  • PDF

Advanced Pre-Integrated BRDF for Realistic Transmission Light Color in Skin Rendering based on Unity3D (Unity3D기반 피부 투과광의 사실적 색표현을 위한 개선된 사전정의 BRDF)

  • Kim, Seong-Hoon;Moon, Yoon-Young;Choi, Jin-Woo;Yang, Young-Kyu;Han, G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40-843
    • /
    • 2014
  • 사실적 피부 렌더링은 피부 표면에서 일어나는 확산반사(Diffusion) 및 경면반사(Specular) 뿐 만 아니라 피부층 내에서 산란되어 나오는 산란광과 얇은 피부층을 통과하는 투과광 등을 고려하여 렌더링 되어야 한다. 이를 물리적인 개념들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표현하는 것은 많은 계산량과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확산 반사 및 경면 반사 등을 미리 계산하여 텍스쳐로 저장하고 재사용하는 사전정의 BRDF 방법으로 근사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사전정의 BRDF를 통해 생성된 피부 투과광색상 텍스쳐 맵은 그 색상이 고정되어있어 조명의 색상이 바뀌어도 피부를 투과하는 빛의 색상이 변하지 않아 부자연스러움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체와 조명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빛의 감쇠비율을 구하고 조명의 색상 값과 감쇠비율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광 색상 텍스쳐 맵의 RGB채널 수정을 통해 피부 렌더링에서의 자연스러운 투과광 표현이 가능함을 보였다.

공초점 자가 간섭 현미경을 이용한 분해능 향상

  • Gang, Dong-Gyun;Gwon, Dae-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6.10a
    • /
    • pp.1-4
    • /
    • 2006
  • 공초점 자가 간섭 현미경은 측정 광학계에 복굴절 물질을 사용하여 반사된 빛에 대해 간섭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간섭을 자가 간섭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시편의 한 점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이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공초점 자가 간섭 현미경의 점 확산 함수는 종래의 공초점 현미경의 점 확산 함수와 자가 간섭의 곱으로 나타나며, 자가 간섭의 주기가 종래의 공초점 현미경의 점 확산 함수의 중심폭보다 작은 경우 점 확산 함수의 중심폭이 작아져서 수평 방향으로의 분해능이 향상되게 된다. 이러한 분해능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름이 100nm 인 금으로 된 비드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전산모사한 결과와 잘 일치하며 공초점 자가 간섭 현미경에서 2배의 분해능 향상을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of Thermal Properties on the Roof Waterproof with Insulation System using the Diffused Reflection Material (확산반사를 이용한 경질시트 옥상 단열방수공법의 열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Koo, Jae-Oh
    • KIEAE Journal
    • /
    • v.7 no.1
    • /
    • pp.73-80
    • /
    • 2007
  •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diffused reflection material in order to reduce the solar absorption coefficient, and to compare the thermal properties with the different roof structure system; one is using the diffused reflection material applied the upper side of the rigid sheet waterproof system and the other is using the conventional up-side down waterproof system on the roof.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al test boxes were made of same iso-panel wall and floor with different roof system.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se process;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exposed solar radiation of the variation of the reflection materials(cement paste, silica, galvanized steel and titanium dioxide(TiO2)), measure and analyze the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each roof system and indoor air in order to evaluate the therm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roof system. The result shows clearly that using the titanium dioxide(TiO2) might be more effective to reduce the solar insolation.

Efficiency variation of the luminaires as reflectance and lamp diameter change (반사율 및 램프크기에 따른 조명기구 효율 변화)

  • Hwang, Jae-San;Yoon, Mi-Rim;Jin, Sang-Gyu;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1a
    • /
    • pp.85-90
    • /
    • 1999
  • 일반적으로 반사판의 반사율이 변화하거나, 사용하는 램프의 크기가 변화하면, 동일형상의 조명기구에서도 기구 효율이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기구 효율변화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내기 위하여, 형광등 기구의 확산 반사판과 경면 반사판의 반사율 변화와, 직관형 형광램프의 직경 변화에 따른 기구효율 변화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하여 보았다. 계산 결과 반사판의 반사율이 상승함에 따라, 그리고 램프 관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기구 효율이 상승하며, 이를 이용하여 큰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