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장품 사용

검색결과 1,050건 처리시간 0.035초

신소재 자원을 활용한 기능성화장품의 신기술 개발전략 (The New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Cosmeceuticals with Use Advanced Materials Resources)

  • 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7-438
    • /
    • 2004
  • 기능성화장품이란 이전의 단순한 피부 보습, 피부 보호의 차원에서 벗어나 피부의 주름개선, 피부의 미백에 도움, 피부를 곱게 태우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피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 피부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피부의 이상 및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을 말한다. 그러나 기능성화장품은 의약품과 달리 일정기간 특정한 부위에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인체 전체를 대상으로 사용하는 물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이런 기능성화장품이 200l년 500품목에서 2003년에는 230여 품목으로 증가되었다. 기능성화장품의 개발과 기능성화장품의 범위확대를 위해서는 화장품의 개념이 피부의 손질개념에서 피부노화 방지와 세포부활이라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피부의 생리적 기능, 생체현상 연구, 각종 자극에 대한 피부반응연구 등의 피부기초연구와 관련기술의 극대화를 통하여 고부가가치 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피부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나노 신소재, 피부 안전성과 효능물질의 제어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전달체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PVBC계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UV Screening agent using PVBC)

  • 김효중;박혜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0-83
    • /
    • 1996
  •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품 원료 중 주요 자극원의 하나이다. 그러나 자오선 차단제를 고분자로 만들 경우 피부에 도포 되었을 때 경피흡수가 불가능 하여 피부 자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VBC와 alkylhydroxycinnamate를 반응시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합성하였다, PVBC는 benzylic chloride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로서 이 작용기는 친핵성 치환반응이 용이하므로 side chain modification이 가능하다. PVBC와 alkyl hydroxycinnamate의 반응에서 반응성은 alkyl hydroxycinnamate의 크기와 반응에 첨가된 촉매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효율이 낮은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alkyl hydroxycinnamate의 크기가 작을수록 반응수율이 높았으며, 높은 효율을 갖는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alkyl hydroxycinnamate의 종류에 관계없이 반응수율은 100%였다. 실험에 사용한 PVBC는 평균 분자량이 55,000이었으며, 고분자의 구조와 분자량은 NMR과 GPC로 확인하였다.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흡수 능력은 OMC에 비해 65 - 94% 였으며, caprylic/capric triglyceride에 좋은 용해도를 보여주었다.

  • PDF

화장품 구매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급자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urchas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in Cosmetics Shopping : A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Media Activities of Supplier and Consumer)

  • 정종윤;현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49-257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을 판매하는 공급자와 화장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구매자의 화장품 관련 소셜미디어를 접한 고객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소셜미디어 활동이 화장품 제품 속성과 구매자들의 구매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를 접한 후 화장품을 구입한 구매자 321명이 참여했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해 자료를 수집했다. 데이터 분석에는 기술통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SEM)이 적용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의 구매특성은 직접적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구매의 특성은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공급자의 소셜미디어활동 영향력이 다소 더 크게 확인되었다. 셋째, 화장품 구매 속성과 구매 만족도 사이에서 공급자와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구매자들의 소셜미디어 활동의 영향력이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구매자가 최종 화장품을 구매할 때는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보다는 구매자의 실제 사용 후기나 그 제품을 쓰는 모습들과 같은 오프라인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을 화면이나 후기로 보았을 때 더욱 고객들이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향이 강함을 알게 되었으며, 소셜미디어 활동은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보다는 실제 구매자의 사용 후기의 공헌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찔레꽃(Rosa multiflora) 추출물과 Ascorbic Acid 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Through the Synergistic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and Ascorbic Acid)

  • 범석현;권현지;현진아;강은빈;박하은;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3-340
    • /
    • 2021
  • 본 연구에서 찔레꽃을 추출, 농축 및 동결 등을 통하여 시료화 하였다.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복합물과 단일 ascorbic acid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효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실험은 전자공여능,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환원력, FRAP,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자공여능 실험과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복합물이 대조군(ascor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실험의 경우, 100 ㎍/mL의 농도에서 RMW+A (272.1 mg QE/g), RME+A (90.6 mg QE/g), RMW+A (79.4 mg QE/g)이 대조군(19.0 mg QE/g)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따라서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 복합물은 단독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따라서 이 복합물은 항산화 화장품에 사용할 경우 제품의 안정화 및 피부노화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20대 여대생의 맞춤형화장품 체험소비 및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stomized cosmetics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Preliminary Study-)

  • 이하연;주현영;김규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95-606
    • /
    • 2020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맞춤형화장품 체험소비 및 발전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0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S시의 뷰티·화장품 전공자를 대상으로 확률 표본 추출법(Probability Samplin)과 총 3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여 체험소비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구매 전 설문조사 결과로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라 선호하는 사용 종류'는 기초화장품 3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구매 전 설문조사 결과로 '맞춤형 화장품 체험 경험 유형'은 기초화장 품 11명, 색조화장품 1명, 방향용제품(향수디퓨저등) 2명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 후 설문조사 결과로 '추천 의향 여부'는 있다 29명, 없다 1명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 후 설문조사 결과로 '체험 특징'은 '피부타입에 맞게 성분 선택'을 한 점 24명, '1:1 상담대비 가격이 저렴'한 점 9명, '화장품 브랜드를 중시하기보다 내 기호(피부)에 맞는 화장품 선택'을 한 점 18명, '퍼스널 케어를 받은 것처럼 자존감이 높아졌다'라로 말한 내용이 3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맞춤형화장품은 개인 맞춤형 화장품의 장점과 동시에 개인 자존감과 심리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휴먼터치'와 '피부 유전자 분석' 등을 융복합으로 발전함과 동시에, 20대 여대생에게 맞는 맞춤형화장품 체험소비 방법 등을 더욱 새롭게 개발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에스테틱과 화장심리학 (Esthetic & Rsychology of Cosmetics)

  • 김봉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4
    • /
    • 1996
  • 오늘날 화장품 산업은 역동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화장품은 한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욕구, 가치관 및 생할양식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는 국가의 정치적 기후나 경제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즉, 화장품 과학은 예방의학, 건강과학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미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상품개발이 진행되어갈 것이다. 지금 우리는 21세기를 향하여 1990년대의 중반기에 들어섰다. 80년대는 물질 문명의 중심으로 생활의 질의 풍요로움을 추구하였으나 90년대는 소비자 우선의 풍요로움을 향수하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여성이 사회진출,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 고 학력화, 개인의 가치관 존중 및 많은 생활패턴의 변화가 마음의 풍요로움을 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물질적 의존도로 부터의 탈피가 크게 강조되고 있다. 이에 마음의 풍요로움을 창조하여 연출하는 화장품산업의 역할이 고기능성에 의한 부가가치를 높이고 마음의 풍요로움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가고 있다. 화장품을 여성들의 치장이라고 하는 주체적 행위에 도움을 주는 하드웨어라고 한다면 소비자의 마음은 소프트웨어로써 소비자 입장에서 만족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하는 아이디어가 있어야 하는데 그에 상응하는 대책으로 스킨케어를 들 수 있다. 스킨케어란 병든 피부를 제외한 여러 가지 유형의 피부를 화장품과 미용기기를 이용하여 그에 맞게 예방관리 하여 건강하고 아름답게 보호 유지하는 전문 분야이다. 즉, 스킨케어는 화장품 이용을 통하여 미래의 소비자들의 다양한 비용 욕구 및 소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킨케어는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접촉을 통하여 안위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단순한 피부손질이라는 문제에 그치지 않고 접촉을 통해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꾀하는 생명현상의 심층과 연관되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스킨케어는 불어로 Soin Esthetique 라고 하는데 어원을 보면 손질, 처치, 보살핌 그리고 배려를 의미한다. 지금으로부터 200년전 독일의 미학자인 Baumgarten이 미는 인간에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대상이며 미는 보는 사람의 마음에 있다라는 감성의 미학에서 Esthetique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다시 말하면 Soim Esthetique는 인간의 마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배려 있는 조치로써 여성이 화장을 함으로써 외모의 조화에서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꾀하는 생명현상의 심층과 연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에스테틱과 화장의 심리는 매우 땔래야 땔 수 없는 불과분의 밀접한 관계라 볼 수 있다.

  • PDF

한방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수도권 거주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Oriental Herbal Cosmetics Purchase Behaviors in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 엄정녀;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3-102
    • /
    • 2004
  • 최근 고기능성과 식물성이라는 세계적인 화장품 트렌드 속에서 우리의 옛것을 받아들여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한방(韓方) 화장품’이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다. 바야흐로 한방 전성시대를 맞고 있으며 한방 화장품 브랜드의 활발한 출시와 함께 유통 다각화도 두드러져 한방 화장품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신브랜드의 출시로 급성장하고 있는 국내 한방 화장품 시장을 점검해 보고, 여성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행동을 통해 한방 화장품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육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인가를 조사했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60세 이하의 성인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4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해 그중 350부를 분석에 이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했으며, 여성들의 한방 화장품 사용실태, 한방 화장품에 대한 만족도, 한방 화상품의 개선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alpha$ 신뢰도 검증, $\chi$$^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를 실시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방 화장품의 시장 현황과 사용실태에 대한 기초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의 요구를 보다 직접적으로 파악, 한방 화장품 시장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시 기초 자료가 될 것으포 사료된다.있음을 시사하고 있다.trex를 적절히 혼합하여 항균력을 향상시키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혼합비(Manuka oil : Citrex)를 구하였는데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75 : 25이었고 Staphylococcusureus에 대해서는 25 : 75 이었다.asogastic tuhe를 삽입하였으며 (83.3%), 삽입하지 않은 16명 (16.7%)은 늦게 내원이 10명, 삽입 실패 4명, 기타 2명이었다. 6) 기관절개술이 요구된 경우는 호흡기장애가 있었던 17명 (17.7%)이었으며 분비물의 축적이 6명 (35.3%), 상기도폐쇄가 11명 (64.7%)이었다. 7) 조기 식도경 검사를 시행한 11명 (11.5%)중 48시간이내가 6명 (54.5%)으로 가장 많았다. 조기 식도경검사 결과 ; 점막에 중증도의 궤양이 8명 (72.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점막의 종창과 부식 정도가 비교적 경하였던 6명 (54.5%)은 입원 가료가 필요하지 않아서 곧 경구 음식 투여를 시작하였으나 입원 가료가 필요했던 중(重)증의 경우 그 입원 일수는 평균 4주간 이었다. 8) 본 병원에 처음 내원하여 치료를 받은 22명중 Nasogastric tube를 넣은 기간은 평균 11.6일 이었으나 최근에는 tube를 삽입하여둔 기간은 대체로 입원기간과 일치하며 이는 조기 식도경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정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9) 대부분의 경우에서 Steroid를 투여하였으며 투여하지 않거나 투여가 지연된 경우는 47명 (48.9%)으로서 내용별 분류를 보면 (1) 약물의 종류로 인한 경우(산성, 미상) 12명, (2) 경(輕)하다고 인정된 경우 9명,

화장품 사용감과 레올로지 물성치 및 물리적인 특성 값들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Skin Feeling with Rheological Parameters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 Lee, Young-Jin;Baik, Seung-Jae;Lee, Hye-Won;Nam, Yoon-Sung;Kim, Su-Jung;Han, Sang-Hoon;Kang, Hak-Hee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1-145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 사용감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시도로써 계면활성제, 왁스, 고분자 점증제, 폴리올, 오일류 들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사용감(흡수속도, 끈적임, 잔여감의 가중치 환산 값)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며 이들의 점탄성적인 특성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계면활성제, 왁스, 고분자 점증제의 경우 사용감과 점탄성 물성치인 phase angle 값의 변화에 대하여 각각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폴리오, 오일의 경우에는 사용감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점탄성 물성치와는 뚜렷한 경향성은 나타나지 못하였다. 이는 사용이 특정 기기적인 측정값으로 완전하게 대응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내며, 여러 물성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로 측정하고 있는 물성값(마찰력, 휘발도, 등등)을 이용하면, 더 좋은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복합적 인식 및 만족도 (Customers' Convergen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Cosmeceuticals)

  • 박수하;권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59-464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20-50대 성인 남녀 161명을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인지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소비자들을 위한 개선 사항을 분석하여 향 후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코스메슈티컬이라는 생소한 용어 때문에 40대 이 후 연령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지지만 병원에서 사용되는 전문성, 의사의 권유, 과학적인 이미지로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49.85%의 사용자 중 94.41%가 재 구매의사를 밟혀 매우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50.15%의 비사용자 중 향 후 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72.22%에 해당하였다.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미적 실천율이 높았으며, 제품을 선택 할 때는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비사용자는 브랜드 인지도(r=.222, p<.05)와 성분(r=.245, p<.005)을 많이 고려함을 알 수 있었고 사용자는 피부지식도가 높을수록 사용의 용이성(r=.162, p<.05)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직은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에 대한 전체 소비자들의 인지가 높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홍보와 재 구매 요인 강화 및 일반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가치 인식, 환경적 동기 및 지각된 장벽의 영향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Perception, Environmental Motives, and Perceived Barri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 이은희;배승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43-1054
    • /
    • 2023
  • 비건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소비자의 환경 및 윤리적 가치 지향이 강화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환경 동기, 그리고 지각된 장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00명의 비건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PLS-SEM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금전적 가치, 사회적 가치, 브랜드 가치, 감정적 가치, 품질 가치, 그리고 환경 지식이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이미지 장벽과 가치 장벽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성능 지도 분석을 통해, 감정적 가치가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를 강화하는 전략적 결정에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소비 태도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기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