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산재난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conomic Loss Estimation of Mt. Baekdu Eruption Scenarios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 평가)

  • Yu, Soonyoung;Lee, Yun-Jung;Yoon, Seong-Min;Choi, Ki-H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3
    • /
    • pp.205-217
    • /
    • 2014
  • As Mt. Backdu is expected to erupt,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the eru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on the world become a research topic of interest. If the volcano erupts, South Korea can be directly impacted by volcanic ash, which will bring out secondary damages in various ways. Given that the direct damage is a basis to estimate indirect and secondary damages, this paper was to review a method to estimate direct damages, called catastrophe risk models, and estimate the direct damages of available eruption scenarios of Mt. Baekdu. Based on the results, the damages by volcanic ash will occur mostly around Gangwon province if the Mt. Backdu erupts. Thus the inventory lists and their damage functions of Gangwon provinces were collected. In particular agricultural and forestry products were surveyed based on the land use. Direct damages were estimated using volcanic ash distribution of eruption scenarios, inventory information and their damage functions. In result, a scenario in winter caused the damage of 299.8 billion KRW (20.4% of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in 2010) and 28.9 billion KRW (9.0% of total forestry production in 2010) in agriculture and forestry, respectively. The damages in agriculture was larger, and it is due to the damage functions which show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more vulnerable to volcanic ash than forestry products. Also the agricultural production (1,471.7 billion KRW in 2010) are more than 4.5 times the forestry production (322.3 billion KRW in 2010) in Gangwon province. Inje and Gangnung had the most damages in the scenario in winter. Inje had the most damage due to the thick ash deposit (8.5 mm in average) despite the low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Goseong had a low damage compared to the ash thickness larger than 20mm, owing to the low production. The direct damage estimat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sed to estimate indirect damages.

Distribution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for Noxious Gas Disaster in Korea (유독가스 발생 재난을 대비한 국내 고압산소기의 배치)

  • Wang, Soon-Joo;Kang, Poor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81-382
    • /
    • 2022
  • 국내에서 1980년대까지 연탄을 에너지로 많이 사용하면서 일산화탄소 중독이 빈번하여 고압산소치료가 활용되다가 이후 연탄 사용의 감소로 고압산소치료기가 대부분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후 세월호 사고에서의 잠수사들에 대한 고압산소치료 적용, 가스누출이나 번개탄을 활용한 자살시도가 빈번해지며 고압산소치료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 부족해 적절한 치료를 제 때 받지 못하여 고압산소치료기의 필요성이 되두되었다. 국내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한해 36,266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2020년에 365명이 화재로 사망하며, 화재로 인한 손상은 1,917건이었는데. 화재 시 여러 유독가스를 흡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압산소치료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규모 오염, 다양한 교통수단에서의 대형 사고, 건축물 붕괴 사고 및 대규모 지진, 화산폭발 같은 자연재해 시에도 가스 중독이 발생하며, 이는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재난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피해자에게 고압산소치료는 필수적이나 본 연구에 의하면 국내에는 고압산소치료챔버의 숫자와 동시에 고압산소치료로 수용할 수 있는 환자수에도 한계가 있고 그 분포의 불균형도 존재하고 있어 재난 시 인명 피해 감소의 기반 장비, 시설로서 고압산소챔버의 균형있는 확산,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다행히 최근 전국적으로 고압산소챔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그 현황과 배치 상황을 조사하여 이를 통하여 고압산소챔버가 필요한 유독가스 발행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

  • PDF

천문학적 재난 - 혜성ㆍ운석이 지구와 충돌하면 종말

  • Park, Sang-J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2 s.403
    • /
    • pp.86-87
    • /
    • 2002
  • 천체가 지구에 충돌하면 흙먼지들이 하늘을 뒤덮어 태양빛을 차단, 몇년 동안 겨울이 이어지면서 기온이 내려간다. 또 충돌때 충격으로 지진, 화산폭발, 해일 등이 육지를 휩쓸게 된다. 또 겨울이 끝나면 온실효과가 일어나 기온이 상승하고 극지의 얼음이 녹아 고도가 낮은 육지는 물에 잠겨버린다.

  • PDF

Proposal of Improved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for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분야 위성영상 활용성 및 적용성에 관한 제언)

  • Cho, Myeong Heum;Park, Young Jin;Kim, Kye 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4-64
    • /
    • 201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구제역, 화산, 지진재해 등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재해 재난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듯 다양한 기술개발과 재난관리 적용성에 관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인공위성에 대한 가치와 활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로 신속한 재난대응 및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한 조기분석 등에 관한 다양한 지원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재해 재난에 대한 인공위성의 활용성 및 실무적 대안마련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고 있으며, 특히 재해시 영상의 확보 및 분석과 의사결정지원 등 재난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정부부처의 활용방안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난총괄기관인 소방방재청은 국립방재연구소에 방재영상분석팀을 신설하였다. 2010년 1월 HAITI 지진피해, 2010년 12월 삼척 산불모니터링, 2011년 1월 포항 폭설피해 등의 재해 재난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위성영상 분석기술은 국외기관과 비슷한 실정이나, 본질적으로는 영상촬영 및 수급문제 해소에 있다고 하겠다. 현재, 지구관측센터(KEOC)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이와 같은 수급체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은 재난관리업무 담당자로서 고무적이고 개선에 대한 희망이 밝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재난관리업무에 있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재난관리기법이 개발되고 방재분야의 위성영상활용의 위상이 높게 제고 되었으면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공위성들을 대상으로, 시 공간 해상도별 분포도를 작성하여 인공위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방방재청에서 2010년 10월에 가입한 국제재해관리를 위한 위성영상활용 협력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에서 재해 재난관련 위성영상 분석 및 현황을 조사하여 재난유형별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위성영상을 통한 재난관리 분야에 적합한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재해발생지역에 대한 신속한 위성영상의 확보와 정량적 피해규모 파악에 따른 응급 복구지원이 가능한 대응전략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Linkage Service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안전정보 연계 서비스 방안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 Yu, Eun-Ji;Shim, Hyoung Seop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1
    • /
    • pp.67-73
    • /
    • 2018
  • Researchers have increased their interest in effectively managing the disaster that appear in large scale and complex form. There are two types of disaster information, which are unstructured text data and structured data. Unstructured text data usually refers to text documents that have been referenced by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such as disaster manuals and related regulations, while structured data refers to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build in the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of constructing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enables joint use of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utual linkage system by utilizing both unstructured and structured form of disaster information. Especially, Based on the linkage information between structured earthquake information in earthquake related system and earthquake manual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earthquake disaster, we propose a service that provid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arthquake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task manager will perform effective earthquake state management by acquiring the integrated structured and unstructured earthquake information of the minist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 Study on the Sinkhole Occurrences of the Lava Beds Applied Spatial Information Systems (땅꺼짐(Sinkholes) 현상에 관한 용암지대의 공간정보시스템 활용연구)

  • Oh, Jong-Woo;Oh, S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29-231
    • /
    • 2016
  • 제주도에는 170여개의 확인된 동굴이 있으며 그 중에서 천연기념물 동굴이 10개로서 육지의 동굴보다 면적당 천연문화재적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용암동굴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는가 하면 세계지질공원으로서 세계적인 랜드 마크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화산분출에 의하여 형성된 용암동굴은 대부분이 지표 가까운 부분에 손등위의 혈맥과 같은 형상으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방사형 분포로 형성되어 있어, 장구한 기간 동안 거센 풍화와 지면 응고성 암석의 특성으로 인한 기포와 균열로 수많은 함몰과 붕괴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고 구현하기 위하여 공간정보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적용결과 땅꺼짐 현상 관련 분석 및 해결방안은 공간정보시스템의 공간정보의 분석기법과 uIT기법에 지질공학적 기법의 융합적 접근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Jeju Area Using Field Tests (현장시험을 이용한 제주지역의 지질특성에 관한 연구)

  • Byung Jo Yoon;Sung Yun Park;Seung Jun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4
    • /
    • pp.769-77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a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area and uses them as basic data such as construction method design in the future development project. Method: Based on the ground survey data of the construction conducted in Jeju, the depth, relative density, N value, function state, color tone, groundwater level,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analyzed and studied. Result: Studies show that Jeju has columnar joints consisting of ancient volcanic activity and rapid cooling by nearby seawater, thick sand layers found on the coast, and clinker layers and Seogwipo layers formed by Mercury volcanic activity. Conclusion: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data for selecting basic design and basic construction method by understanding the special ground form of Jeju area and reflecting its characteristics well when designing construction.

Grounded electrical-source airborne transient electromagnetic (GREATEM) survey of Mount Bandai, north-eastern Japan (접지된 전기 송신원을 이용한 일본 북동부 만다이 산에서의 시간영역 항공 전자탐사)

  • Mogi, Toru;Kusunoki, Ken'ichirou;Kaieda, Hideshi;Ito, Hisatoshi;Jomori, Akira;Jomori, Nobuhide;Yuuki, Youichi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2 no.1
    • /
    • pp.1-7
    • /
    • 2009
  • Airborne electromagnetics (AEM) is a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volcanic structures because it can survey large and inaccessible areas. Disadvantages include lower accuracy and limited depth of investigation. The Grounded Electrical Source Airborne Transient Electromagnetic(GREATEM)survey system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depth of investigation possible using AEM. The method was tested in a survey at Mount Bandai in north-eastern Japan. Mount Bandai is an andesitic stratovolcano that rises 1819m above sea level. An eruption in July 1888 left a hoof-shaped collapsed wall in its northern crater and avalanche debris at its base. Previous surveys of Mount Bandai allow for comparisons of data on its structure and collapse mechanism as obtained by GREATEM and other geophysical methods. The results show resistive structures in recent volcanic cones and conductive structures in the collapsed-crater area. Conductive areas around the collapsed wall correspond to an alteration zone resulting from hydrothermal activity, supporting the contention that a major cause of the collapse associated with the 1888 eruption was hydrothermal alteration that structurally weakened the interior of the volcanic edifice.

Analysis of PM2.5 Impact and Human Exposure from Worst-Case of Mt. Baekdu Volcanic Eruption (백두산 분화 Worst-case로 인한 우리나라 초미세먼지(PM2.5) 영향분석 및 노출평가)

  • Park, Jae Eun;Kim, Hyerim;Sunwoo, Yo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4
    • /
    • pp.1267-1276
    • /
    • 2020
  •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impacts of large-scale volcanic eruptions of Mt. Baekdu on air quality and damag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 three-dimensional chemistry-transport modeling system (Weather Research & Forecasting - Sparse Matrix Operation Kernel Emission - Co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was adopted. A worst-case meteorology scenario was selected to estimate the direct impact on Korea. This study applied the typical worst-case scenarios that are likely to cause significant damage to Korea among worst-case volcanic eruptions of Mt. Baekdu in the past decade (2005~2014) and assumed a massive VEI 4 volcanic eruption on May 16, 2012,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PM2.5 caused by the volcanic eruption. The effects of air quality in each region-cities, counties, boroughs-were estimated, and vulnerable areas were derived by conducting an exposure assessment reflecting vulnerable groups. Moreover, the effects of cities, counties, and boroughs were analyzed with a high-resolution scale (9 km × 9 km) to derive vulnerable areas within the reg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ical worst-case volcanic eruptions of Mt. Baekdu, a discrepancy was shown in areas between high PM2.5 concentration, high population density, and where vulnerable groups are concentrated. From the result, PM2.5 peak concentration was about 24,547 ㎍/㎥, which is estimated to be a more serious situation than the eruption of Mt. St. Helensin 1980, which is known for 540 million tons of volcanic ash. Paju, Gimpo, Goyang, Ganghwa, Sancheong, Hadong showed to have a high PM2.5 concentration. Paju appeared to be the most vulnerable area from the exposure assessment. While areas estimat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are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lans and measures considering densely populated areas or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susceptible population or vulnerable groups. Also, establishing measures for each vulnerable area by selecting high concentration areas within cities, counties, and boroughs rather than establishing uniform measures for all regions is neede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standards for disaster declaration and preemptive response systems for volcanic eruptions.

단일 밴드 중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표면온도 추정 방법 연구

  • Park, Uk;Lee, Yun-Gyeong;Won, Jung-Seon;Lee, Seung-Geun;K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25-130
    • /
    • 2008
  • Mid-Infrared (MIR) 영상은 화산 활동 및 산불로 인한 재난관측, 지표물질 관측, 해수 온도 측정과 같은 분야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IR영역은 지표의 복사율과 대기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가 매우 심하고, 낮 영상의 경우 태양 복사량에 의한 영향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단일밴드인 MIR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영상이 취득된 시간과 장소에서 관측된 태양 복사량 및 여러 가지 대기 변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MIR 영상 연구가 다중밴드를 기반으로 한 것과 달리 단일 밴드의 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MODIS MIR 영상을 대상으로 MODTRAN을 사용하여 MIR 영역의 대기보정 기법을 적용 한 뒤 복사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의 복사량을 측정하였다. 획득된 지표온도 영상의 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의 온도 알고리즘인 split-window algorithm에 의해 얻어진 해수온도 영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오차 원인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 영상의 경우 -4.19${\pm}$1.19$^{\circ}C$ 정도의 온도 차가 났으며, 밤 영상의 경우 0.5$^{\pm}C$0.39$^{\circ}C$ 정도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낮 영상의 경우 지표의 복사율에 대한 온도의 민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높은 오차가 발생하지만, 밤 영상의 경우 태양빛에 의한 영향이 없으므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밴드 MIR영상을 이용한 지표온도 추정 시 대기에 의한 영향보다 지표 복사율에 의한 영향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