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물운송업종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Value of Time in Intercity Freight Transportation (지역간 화물운송의 시간가치 추정)

  • 최창호;임강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43-55
    • /
    • 1999
  • The value of time in freight transportation describes the importance of goods during transport and shows the direction of efficient logistic management having inventory cost in transporting The value of time differs from class to class in freight transportation. It is due to the differences of shipper's willingness to Pay for time saving. In this research the value of time in intercity freight transportation of manufacturers in Korea was estimated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factors which were the important criteria of shippers for choosing truck were sampled. second, the shipp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homogeneous classes. third, the value of time of each class was estimated by using multinominal logit mod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value of time in freight transportation was different from every class, that the shipper had to Pay 1,680 won for saving one hour Per each shipment, and that the inventory cost in transporting occupied 9.54% in the mean freight Price.

  • PDF

부록

  • The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28
    • /
    • pp.107-119
    • /
    • 2006
  • PDF

Productivity Evaluation and Factor Analysis in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 Industry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 평가 및 영향요인 분석)

  • Han, Sang-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5
    • /
    • pp.31-4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using quarterly actual data by individual truck drivers from January 2005 to September 2009.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various impact factors that influence production efficiency, including regulatory factors (e.g., entrust management system and multi-level transa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a truncated Tobit model. As a result,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general freight sector i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sectors. Also,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steel goods sector ranks the highest; meanwhile,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oil goods sector ranks the lowest. In particular, production efficiency indicators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fluctuate with time by a small margin, and have an upward tendency on the whole.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given to promot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소화물 일관 수송체계 비용 최소화 연구

  • 김병종;이영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529-529
    • /
    • 1998
  • 운송 서비스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규제완화는 운송 기업의 진입 및 퇴출을 자유롭게 하였고, 외국 기업의 국내에서의 영업 활동이 가능하게 했을 뿐 아니라, 업종간 분류를 무의미하게 하여 운송기업은 전방위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경쟁 환경하에서 운송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은 국가 물류비 절감 측면에서, 그리고 해당 기업의 사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소화물 일관 수송은 택배 또는 특송이라 불리우는 운송 서비스업의 일종으로, 화주 한명의 화물량이 차량 한 대 분량에 못 미치고, 고객이 원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운반해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소화물 일괄 수송은 지역을 순화하면서 화물을 접수하여 인근 터미널까지 운반하는 수집과정,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하는간선수송 과정, 터미널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배달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하는 간선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는 화물운송경로를 찾아주는 네트웍 최적화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화물운송 경로를 조정함으로써 적재율 20%이상 개선, 운송비용 10%이상 절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도로운송 중량화물 고정결박원칙 제정 절차 연구

  • Yun, Seok-Hwan;Park, Ji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04-206
    • /
    • 2016
  • 대한민국은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각종 플랜트 산업이 주력업종인 강국이다. 이러한 특성에 맞게 각 산업단지에서는 고중량 대형화물에 대한 운송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형화물의 운송량이 증가할수록 고정결박 불량에 의한 화물 낙하, 이탈로 인한 차량파손, 도로파손 등의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항상 내재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도로교통법에는 화물적재 및 고정에 대한 구체적 규정이 전무하여 화물운전자가 책임을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화물적재 규정을 살펴보고 적합한 고정결박 지침을 제정하고 관리하는 절차의 지정을 제안하였다.

  • PDF

A Survey on Using of Container in Korea (컨테이너 사용 실태)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36
    • /
    • pp.61-65
    • /
    • 2012
  • 본 조사의 대상은 회수용 및 일회용 운반 용기로서 사용되는 컨테이너이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하역 운송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위화물 구성 수단이다. 트레일러 운송에 사용하는 대형 화물 컨테이너는 본 실태 조사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 대상 업체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우리나라 산업 현장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는 모든 업체이다. 조사 대상인 업체의 범위를 기본적으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표준 산업분류코드(KSIC)에 근거하여 업종, 규모 및 지역 관점에서 분류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목재, 금속 및 종이 재질 컨테이너에 대한 조사는 다소 미흡한 수준이었으며,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다소 편중된 조사가 이루어 졌다.

  • PDF

화물자동차운송산업(貨物自動車運送産業)에 대한 정부규제(政府規制)의 개선방안(改善方案)

  • Kim, Jong-S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1 no.1
    • /
    • pp.125-143
    • /
    • 1989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우리나라 화물자동차운송산업(貨物自動車運送産業)에 대한 각종 정부규제(政府規制)의 문제점(問題點)과 개선방안(改善方案)을 제시하였다. 주요 개선방안으로서는 사업구성제한(事業區城制限)의 폐지(廢止), 사업공탁금제도(事業供託金制度)의 도입(導入)을 통한 면허제도(免許制度)의 개선(改善), 톤급에 의한 업종구분(業種區分)의 폐지(廢止) 등을 제시하였다.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때, 현재의 업계관항(業界慣行)은 이미 높은 경쟁상태에 도달하여 있으며, 정부의 비현실적인 규제가 오히려 건전한 경쟁질서(競爭秩序)의 확립에 장애(障碍)가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규제(政府規制)가 현실의 시장상황(市場狀況)과 사업자들의 합리적(合理的) 사업욕구(事業欲求)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화물자동차운송산업(貨物自動車運送産業)에 있어서의 정부규제개선(政府規制改善)이란 정부규제(政府規制)의 현실화(現實化)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입제(持?制)의 억제(抑制), 직관기업화(直管企業化)의 추진(推進)등의 정책목표(政策目標)의 타당성(妥當性)과 정책수단(政策手段)의 실효성(實效性)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의 내륙운송 효율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 모델 구축

  • 황제호;조동현;김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3-125
    • /
    • 2023
  •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에 따라 해운 항만 산업 분야 또한 정보적 측면에서 빅 데이터에 대한 업종별 통합과 공유를 통해 연계 산업 간 산업활동 효율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물류 분야에 다양한 플랫폼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대부분 화물운송업 또는 창고 중개업 분야에 편중되어 있다. 항만산업의 경우 코로나 펜데믹 이후 발생한 컨테이너 반입 제한 및 장치율 증가 등에 따라 운송사와 컨테이너터미널 간 갈등이 지속적으로 유발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플랫폼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과 운송사 간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상호 기업 간 연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산업 관계자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운송사, 포워더 업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기반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EFA를 통해 추출된 14가지 요인으로 IPA 분석을 수행한 결과 1사분면(사용 용이성, 보안성, 정보 정확성, 정보 적시성, 차량 반출/반입정보, 공컨테이너 반입/반출 정보, 풀컨테이너 반입/반출정보)으로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수행되어야 하며 2사분면(APP 시스템 품질)에 대한 고려가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플랫폼 개발의 주체와 이용자의 참여 유도가 필요하며 상호 이해관계자 간 효율적인 연계와 효율화를 위한 인식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향후 컨테이너터미널과 내륙운송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A Survey on Using of Pallet in Korea (파렛트 사용 실태)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36
    • /
    • pp.48-54
    • /
    • 2012
  • 본 조사의 대상은 화물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하역 운송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렛트이다. 조사 대상 파렛트는 용도에 따라서 재사용 파렛트와 일회용 파렛트로 구분하되, 재사용 파렛트는 다시 구매 보유 물량과 임대 사용 물량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재질에 따라서 플라스틱, 목재, 금속으로 구분하하였다. 조사 대상 업체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우리나라 산업 현장에서 파렛트를 사용하고 있는 모든 업체이다. 조사 대상인 업체의 범위를 기본적으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표준산업분류코드(KSIC)에 근거하여 업종, 규모 및 지역 관점에서 분류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물류 업종에 대한 조사는 다소 미흡한 수준이었다.

  • PDF

Freight Transport Demand and Economic Benefit Analysis for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 Focused on GILC in Busan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 도입을 위한 화물운송수요 및 사업편익분석 - 부산 국제산업물류도시를 중심으로-)

  • SHIN, Seungjin;ROH, Hong-Seung;HUR, Sung Ho;KIM, Dongh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3 no.3
    • /
    • pp.17-34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reight transport demand and benefit for the introduction of an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 focusing on the Global Industry and Logistics City (GILC) in Busan. In pursuit of this aim, four alternatives were calculated - using the freight volume estimating methods and included, the number of businesses, the number of employees set up, future estimated cargo volume, and switched volume from other transport modes into the GILC. Economic benefits were analyzed against social benefits and costs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freight transport demand forecast found, the cargo volume of "Alternative 2-1" to be the most advantageous, applying the number of employee unit method and proportion of employees in Gangseo-gu, Busan.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analysis of direct benefit items (reduction of transport time, traffic accidents and environmental costs), this study also considered additional benefit items (congestion costs savings, and road maintenance costs in terms of opportunity cost). It also considered advanced value for money research in guidance on rail appraisal of U.K, Federal Transport Infrastructure Plan 2003 of Germany, and RailDec of the United States. The study aims to further contribute to estimating minimum cargo transport demands and asses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introduction of new intermodal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