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vity Evaluation and Factor Analysis in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 Industry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 평가 및 영향요인 분석

  • 한상용 (한국교통연구원 녹색성장실천연구본부)
  • Received : 2010.06.20
  • Accepted : 2010.09.04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using quarterly actual data by individual truck drivers from January 2005 to September 2009.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various impact factors that influence production efficiency, including regulatory factors (e.g., entrust management system and multi-level transa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a truncated Tobit model. As a result,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general freight sector i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sectors. Also,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steel goods sector ranks the highest; meanwhile,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oil goods sector ranks the lowest. In particular, production efficiency indicators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fluctuate with time by a small margin, and have an upward tendency on the whole.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given to promot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본 논문에서는 2005년 1사분기부터 2009년 3사분기까지 개별 화물자동차 운전자들의 실제 화물운송 실적자료를 이용하여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업종 및 품목별 생산 효율성을 평가하고, 위탁관리제 및 다단계거래 등 규제적 요인을 포함하여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 평가를 위해 자료포락분석법을 적용하였고, 개별 화물자동차 운전자들의 생산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토빗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개별화물과 용달화물보다는 일반화물 업종의 생산 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품목별로는 철강화물의 생산 효율성이 가장 높고, 유류화물의 생산 효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은 소폭 증감을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승기(1999), "구역화물 운송업과 노선화물 운송업의 효율성 특징 비교", 로지스틱스연구, 제7권 제2호, 한국로지스틱스학회, pp.5-25.
  2. 박만희(2008),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주).
  3. 박명섭․안영효(2003), "DEA-AR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도로화물운송업체의 효율성 분석", 한국SCM학회지, 제3권 제2호, 한국SCM학회, pp.61-68.
  4. 서상범(2003), "성과측정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신동선(2002), "화물자동차운송산업의 규제완화효과와 정책방향", 규제연구, 제11권 제2호, 한국규제학회․한국경제연구원, pp.59-86.
  6. 신동선(1995), "화물자동차운송사업자와 운전자간의 위탁관리(지입)계약의 효율성 분석", 교통개발연구, 제2권 제3호, 한국교통연구원, pp.51-63.
  7. 임재경(2007), "한국 화물자동차 운송산업의 효율성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정승주.권혁구.임동민.허진수(2007), 화물자동차운송시장실태조사를 활용한 시장평가지표 개발방향, 한국교통연구원.
  9. 하헌구.최아영(2007),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효율성 분석: DEA-ANP(Data Envelopment Analysis-Analytic Network Process)의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55-63.
  10. 하헌구.김용진(2003), 물류부문의 온라인 중개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11. Cantos, P., J.M. Pastor, Serrano, L.(2000), "Efficiency measures and output specification: the case of European railways", Journal of Transportation and Statistics, 3(3), pp.61-68.
  12. Chiou, Y.C. and Y.H. Chen(2006), "Route-based performance evaluation of Taiwanese domestic airlin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42(2), pp.116- 127. https://doi.org/10.1016/j.tre.2005.09.005
  13. Cooper, W.W., L.M. Seiford, and K. Tone(1999), Data Envelopment Analysis: A Comprehensive Text with Models, Application, Reference and DEA-Solver Softwar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Cowie, J.(2002), "Acquisition, efficiency and scale economics: an analysis of the British bus industry", Transport Reviews, 22, pp.147-157. https://doi.org/10.1080/014416400110076267
  15. Cullinane, K., Wang, T.F., Song, D.W., and Ji, P.(2006), "The technical efficiency of container ports: compar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0, pp.354-374.
  16. Greene, W.H.(2000), Econometric Analysis,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17. Hjalmarsson, L. and J. Odeck(1996), "Efficiency of trucks in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 evaluation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23(4), pp.393-404. https://doi.org/10.1016/0305-0548(95)0004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