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홉필드 신경망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amaged Traffic Sign Recognition using Hopfield Networks and Fuzzy Max-Min Neural Network (홉필드 네트워크와 퍼지 Max-Min 신경망을 이용한 손상된 교통 표지판 인식)

  • Kim, Kwang B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1
    • /
    • pp.1630-1636
    • /
    • 2022
  • The results of current method of traffic sign detection gets hinder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traffic sign's condition as well.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improving detection performance of damaged traffic signs by utilizing Hopfield Network and Fuzzy Max-Min Neural Network. In this proposed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damaged traffic signs are analyzed and those characteristics are configured as the training pattern to be used by Fuzzy Max-Min Neural Network to initially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ffic signs. The images with initial characteristics that has been classified are restored by using Hopfield Network. The images restored with Hopfield Network are classified by the Fuzzy Max-Min Neural Network onces again to finally classify and detect the damaged traffic signs. 8 traffic signs with varying degrees of damage a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hich resulted with an average of 38.76% improvement 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an the Fuzzy Max-Min Neural Network.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Determination of Coefficients by Energy Function Analysis in Hopfield Neural Networks (에너지 함수 분석에 의한 홉필드 신경망의 계수 결정 및 성능 개선)

  • Park, Ji-Y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2
    • /
    • pp.137-143
    • /
    • 2001
  • 홉필드 신경망은 병렬 연산 및 일반적 응용성을 가진 장점으로 인해 여러 분야의 조합형 최적화 문제에 도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성공적 적용 사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함수의 계수를 결정하는 실용적인 방법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실험에 의해 얻어진 값에 의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에 대한 해의 유효성을 만족하면서 모델이 최적에 근접할 수 있도록 에너지 수위를 직접 이용하여 계수를 결정하는 정형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기존의 계수 결정법과 함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제안한 접근방식이 유효함을 보여준다.

  • PDF

Adaptive Coefficients for Hopfield Neural Networks Solving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최적화를 위한 홉필드 신경망의 적응적 신경계수 결정)

  • Chiyeon Park;Kuinam J. K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1 no.45
    • /
    • pp.113-12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함수의 직접적인 평가에 기초해 홉필드 신경망을 진화시킴에 따라 적응적으로 에너지 계수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기법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계수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응용 모델인 TSP(Traveling Salesman Problem)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한 계수 값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에 필수적인 각 단계에서의 에너지 값의 평가를 위한 부가적인 연산을 줄이기 위해 단계적으로 증감분만을 계산하는 효율적인 연산법을 제시한다.

  • PDF

Gel Matching using Hopfield Neural Network (홉필드 신경망을 이용한 젤 매치)

  • Hwang Yo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13-516
    • /
    • 2004
  • 젤 영상에서 스팟을 탐지한 후, 스팟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새로운 단백질의 생성되었는지 없어진 단백질이 있는지 알아내게 된다. 젤 영상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같은 단백질이라도 스팟의 위치가 조금씩 다르게 된다. 스팟 사이의 관계는 비선형 변환에 해당하고, 각 스팟 사이의 매치는 NP 문제임이 증명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휴리스틱 방법이 보고되었다. 최적화에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홉필드 신경회로망을 젤 매치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홉필드 신경망의 각 뉴런은 뉴런이 대표하는 두 스팟이 일치할 때 활성화되고, 일치하지 않을 때 활성화되지 않도록 하였다. 각 뉴런의 상태를 전체 에너지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경하면 결국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이 때 각 뉴런은 가능한 매치를 표현하게 된다.

  • PDF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구조 최적화 기법

  • 양영순;문상훈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1
    • /
    • pp.39-42
    • /
    • 1994
  • 인공 신경망은 빠른 속도와 안정성 등의 많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 여러 분야 에서 그 응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인공 신경망의 한 모델인 홉필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바꾸며, 최소 에너지 상태에서 안정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흡필드 네트워크의 특징은 흡필드 네트워크를 최적화 문 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최적화 기법은 기본적으로 국부적인 탐색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역적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 초기점을 달리하여 여러번 계산을 수행하여 그 중 가장 좋은 결과를 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초 기점의 선택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설계 변수가 많고 제한 조건이 복잡할 경우 초기점 선택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흡필드 네트워크와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결 합하여 전역적 최적해를 찾는 기법으로서 뉴드-옵티마이저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PD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based on Item Dependency Map (전자상거래를 위한 Item Dependency Map 기반 개인화된 추천기법)

  • 염선희;조동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75-477
    • /
    • 2001
  • 본 논문은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찾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고 있는 item dependency map은 구매된 상품간의 관계를 수식화 하여 행렬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Item dependency map의 값은 사용자가 A라는 상품을 구매한 후 B 상품을 살 확률이다. 이런 정보를 가지고 있는 item dependency map은 홉필드 네트웍(Hopfield network)에서 연상을 위한 패턴 값으로 적용된다. 홉필드 네트웍은 각 노드사이의 연결가중치에 기억하고자 하는 것들을 연상시킨 뒤 어떤 입력을 통해서 전체 네트워크가 어떤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신경망 중의 하나이다. 홉필드 네트웍의 특징 중의 하나는 부분 정보로부터 전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구매패턴을 일부 정보만 가지고 예측할 수 있다. Item dependency map은 홉필드 네트웍에서 사용자들의 그룹별 패턴을 학습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item dependency map이 얼마나 사용자 구매패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결정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정확한 item dependency map을 계산해 내는 알고리즘을 주로 논의하겠다.

  • PDF

A Shortest Path Routing Algorithm using a Modified Hopfield Neural Network (수정된 홉필드 신경망을 이용한 최단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

  • Ahn, Chang-Wook;Ramakrishna, R.S.;Choi, In-Chan;Kang, Chung-Gu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9 no.4
    • /
    • pp.386-396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neural network-based near-optimal routing algorithm. It employs a modified Hopfield Neural Network (MHNN) as a means to solve the shortest path problem. It uses every piece of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at the peripheral neurons in addition to the highly correlated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at the local neuron. Consequently, every neuron converges speedily and optimally to a stable state. The convergence is faster than what is usually found in algorithms that employ conventional Hopfield neural networks. Computer simulations support the indicated claims. The results are relatively independent of network topology for almost all source-destination pairs, which nay be useful for implementing the routing algorithms appropriate to multi -hop packet radio networks with time-varying network topology.

A Study on the Hopfield Network for automatic weapon assignment (자동무장할당을 위한 홉필드망 설계연구)

  • 이양원;강민구;이봉기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 no.2
    • /
    • pp.183-191
    • /
    • 1997
  • A neural network-based algorithm for the static weapon-target assignment (WTA) probl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An optimal WTA is one which allocates targets to weapon systems such that the total expected leakage value of targets surviving the defense is minimized.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a Hopfield and Tank's neural network model, and uses K x M processing elements called binary neuron, where M is the number of weapon platforms and K is the number of targets. From the software simulation results of example battle scenario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in convergence speed than other method when the optimal initial values are used.

  • PDF

Gel Image Matching Using Hopfield Neural Network (홉필드 신경망을 이용한 젤 영상 정합)

  • Ankhbayar Yukhuu;Hwang Suk-Hyung;Hwang Young-Sup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3 s.106
    • /
    • pp.323-328
    • /
    • 2006
  • Proteins in a cell appear as spots in a two dimensional gel image which is used in protein analysis. The spots from the same protein are in near position when comparing two gel images. Finding out the different proteins between a normal tissue and a cancer one is important information in drug development. Automatic matching of gel images is difficult because they are made from biological experimental processes. This matching problem is known to be NP-hard. Neural networks are usually used to solve such NP-hard problems. Hopfield neural network is selected since it is appropriate to solve the gel matching. An energy function with location and distance parameters is defined. The two spots which make the energy function minimum are matching spots and they came from the same protein. The energy function is designed to reflect the topology of spots by examining not only the given spot but also neighborhood spots.

Personalized Recommendation based on Item Dependency Map (Item Dependency Map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추천기법)

  • Youm, Sun-Hee;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d
    • /
    • pp.2789-2791
    • /
    • 2001
  •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우리는 숨겨진 지식, 예상되지 않았던 경향 그리고 새로운 법칙들을 방대한 데이터에서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사용자의 구매 패턴을 발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미리 예측하여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하고 있는 item dependency map은 구매된 상품간의 관계를 수식화 하여 행렬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Item dependency map의 값은 사용자가 A라는 상품을 구매한 후 B상품을 살 확률이다. 이런 정보를 가지고 있는 item dependency map은 홉필드 네트윅(Hopfield network)에서 연상을 위한 패턴 값으로 적용된다. 홉필드 네트웍은 각 노드사이의 연결가중치에 기억하고자 하는 것들을 연상시킨 뒤 어떤 입력을 통해서 전체 네트워크가 어떤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신경망 중의 하나이다. 홉필드 네트웍의 특징 중의 하나는 부분 정보로부터 전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구매패턴을 일부 정보만 가지고 예측할 수 있다. Item dependency map은 홉필드 네트윅에서 사용자들의 그룹별 패턴을 학습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item dependency map이 얼마나 사용자 구매패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결정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정확한 item dependency map을 계산해 내는 알고리즘을 주로 논의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