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화재료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9초

분말 혼화재료를 이용한 습식 숏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Wet-mix Shotcrete using Powdered Amixture)

  • 최성용;서재엽;정범석;윤경구;김기헌;김용곤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517-518
    • /
    • 2009
  • 본 연구는 재료의 품질변동 요인을 줄이고 엄격한 품질관리를 확보하기 위해 분말형 혼화재료를 이용하여 프리믹스 형태의 숏크리트를 개발하고자 우선 분말형 혼화재료 변화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혼화재료가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mixtures in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Mortar for Concrete Repair)

  • 송형수;이진용;민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85-94
    • /
    • 2007
  • 재유화형 폴리머는 보수용 모르타르의 개질재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는 폴리머 이외에 각종 혼화재료가 첨가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멘트-폴리머 비가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주로 이루어졌으며, 혼화재료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은 보고 되어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화재료들(CSA계 팽창재, CSA계 속경재, 석고, 실리카 흄)의 배합비율에 따라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모르타르의 작업성, 응결시간, 건조수축, 압축강도, 휨 및 부착강도 등의 기초적 성질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구명하였다.

부순모래를 사용한 습식 숏크리트의 광물성 혼화재료 혼입에 따른 내구성 평가 (Durability Assessment for Crushed Sand Wet-mix Shotcrete Mixed with Mineral Admixtures)

  • 이겨레;한승연;남궁경;윤경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607-61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품질확보를 위하여 혼합골재 입도분포를 적용한 부순모래 숏크리트에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메타카올린, 실리카퓸을 종류 및 혼입률에 변동을 주어 혼입하여 숏크리트의 기초특성과 내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각 혼화재료의 주요 혼입률을 선정하고 실제 숏팅을 실시 하여 숏팅 전 후의 기초특성과 내구특성을 분석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광물성 혼화재료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경우 가장 우수한 강도 증진효과를 보였으며, 숏팅 후 압축강도 역시 코어링에 의한 강도감소 현상을 감안하여도 강도 발현이 우수한 혼화재료로 판단된다.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과 황산저항성 시험 결과 광물성 혼화재료 혼입은 염소이온과 황산에 대한 저항성이 증진되는 경향을 보인다. 화상분석을 통한 공극구조 분석 결과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아 소요의 간격계수와 비표면적을 얻는데 실패하였으며, 향후 공기연행제의 도입 후 실험이 진행될 필요성을 보이고 있다.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Experimental of Basic Property of Cement Mortars using the Metakaolin)

  • 최강석;손홍우;김명식;백동일;장희석;김충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893-896
    • /
    • 2008
  • 본 연구는 황산염 환경하에서 메타카올린을 사용하여 제작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물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최근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광물성 혼화재료를 첨가할 경우 콘크리트 내부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여 내구성을 좋게하는 방안이 있으며 현재에도 실리카흄, 플라이애쉬, 슬래그와 같은 기존의 광물질 혼화재료 이외에 새로운 혼화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열화에 대하여 아직 그 연구가 미비한 광물질 혼화재료인 메타카올린을 5%, 10%, 15%로 치환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로 시편을 제작하였고, 이를 28일 표준양생을 시켜 담수, 해수, 10% 황산나트륨용액, 10% 황산마그네슘 용액에서 28일, 60일, 90일, 180일, 270일, 365일 동안 촉진양생 시켜 다양한 시편의 기초물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광물질 혼화재료인 실리카흄과 플라이애쉬를 가지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한 후 메타카올린을 치환한 시편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메타카올린의 내구적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혼화재 종류 및 활성황토 대체율별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by the Kinds of Admixture and the Replacement Ratios of Activated Hwangtoh)

  • 최희용;김무한;김문한;황혜주;최성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23-12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천연재료인 황토의 활용성을 넓히기 위해, 황토를 혼화재로 사용한 경우 혼화재 종류 및 황토 대체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물성을 비교.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황토를 사용할 경우 유동성은 다소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화재를 대체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해 공기량도 다소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성능 감수제의 선택성 및 AE제의 사용에 의한 공기량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황토와 시멘트간의 포졸란반응에 의한 강도발현성상을 검토한 결과, 황토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열에 의한 활성화공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성황토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할 경우 활발한 포졸란반응에 의해 압축 강도 발현이 플레인콘크리트보다 높게 나타나, 건설 신재료로서의 황토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황토의 대체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은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강도발현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대체율 30%의 경우 무혼입에 비해 강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나, 활성황토의 적정 대체율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의 범위에서 활성황토의 적정 대체율의 범위는 10~20%내외에 존재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부산물의 혼화재료로써 사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ossibility as Mineral Admixture of Agriculture by-product)

  • 정의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8-17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s mineral admixture of agriculture by-product. XRD and XRF analysis were performed on rice straw ashes at various combustion temperatures to identify chemical compositions. Also to evaluate properties of pozzolanic reaction, pH change method was tested.

  • PDF

동절기 콘크리트 초기 강도저하 및 품질 개선을 위한 조강형 혼화재료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 Early Strength Admixture Material for Improving on Reduced Initial Strength and Quality of Concrete in Cold Weather)

  • 김세종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2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serious disasters in cold weather by presenting an optimal blending design for securing high early strength when placing concrete by analyzing the propertie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ormulations using high early strength admixture materials.

  • PDF

시멘트 모르타르 내 실란-실록산 고정을 위한 다공성 혼화재료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tilization of Porous Admixtures for Fixing Silane-Siloxane in Cement Mortar)

  • 윤창복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7-68
    • /
    • 2023
  • After mixing the pozzolan-based powder and water repellent with porosity into the cement mortar, micro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water repellent contact angle confirmed that the NZS specimen using natural zeolite had the highest contact angle.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increased due to the porosity of natural zeolite, so the adhesion of silane-siloxane is relatively better than that of FA, and it is judged to have a uniform distribution inside the mortar.

  • PDF

광물질 혼화재료를 사용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배합 및 품질평가 방안 검토 (Quality Evaluation and Mix Proportion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

  • 박용규;김현우;윤기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679-6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광물질 혼화재료를 사용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물성을 만족하면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배합적 접근과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시험에 있어 실무와 차이가 있는 사항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광물질 혼화재료를 사용하는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최적 단위수량 및 수중불분리성 혼화제의 사용량은 190 kg, 0.9%/W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목표강도의 W/B에서 5% 정도로 낮춘 W/B로 배합설계를 통해 단위수량 및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사용량을 줄여 W/B 조절에 따른 재료분리저항성, 압축강도 등의 품질 확보 및 경제성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탁도계를 이용한 혼탁물질량의 측정을 위해서는 탁도계 검침부 삽입 후 1분 경과 시점에서 안정적인 값을 나타냈으나,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혼탁물질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무에서 사용되는 탁도계와 KCI -AD102 표준방법과의 상관성에 대한 부분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중 공시체 제작방법에 따른 압축강도의 발현성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