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의적 태도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인터넷 쇼핑몰에서 신뢰와 지각된 위험이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and Perceived Risk in Internet Shopping Mall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 장명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9-34
    • /
    • 2005
  • 본 연구는 불확실하고 덜 검증된 인터넷 쇼핑몰 환경에서 거래당사자간의 심장역할을 하는 신뢰의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신뢰와 지각된 위험, 태도,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똔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신뢰의 선행요인일 것으로 예상했던 이해타산 기반의 믿음, 구조적 보장, 상황적 규범, e-벤더에 대한 친숙함이라는 4가지 요인 중 구조적 보장, 상황적 규범, e-벤더에 대한 친숙함은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선행요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신뢰는 지각된 위험을 낮추고 낮아진 지각된 위험은 고객의 호의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신뢰가 지각된 위험은 낮추지만, 지각된 위험이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뢰와 지각된 위험은 부(-)의 관계가 확인되었고, 지각된 위험과 태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찾기가 힘이 들었다. 또한 신뢰는 호의적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호의적인 태도 역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가 태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뢰가 태도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도 확인되었다.

  • PDF

초등학생의 김치 인식이 호의적 태도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Elementary Schoolchild's Cognition about Kimchi on Favorable Attitude and Intake)

  • 최은옥;이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60-670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이 태도와 섭취 빈도 및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김치에 대한 인식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우수성', '정체성', '세계화' 인식으로 구성하였고, 각 인식별로 김치에 대한 선호와 비선호를 나타내는 '태도'와의 영향 관계와 '태도'가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김치의 '정체성'과 '세계화' 인식은 '호의적 태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수성' 인식은 '호의적 태도'에 유의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호의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정체성'과 '세계화'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김치에 대한 '호의적 태도'는 '김치 섭취 빈도'와 '김치 섭취량'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김치 섭취 증진을 위해서는 김치의 정체성과 세계화 인식을 자극하는 교육 콘텐츠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 그 기본이 되는 내용은 김치의 우수성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용과 충족이론에 기반한 인스타그램의 사진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hoto Sharing Intention on Instagram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 전중원;정철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1호
    • /
    • pp.1-13
    • /
    • 2020
  • 본 연구는 사진공유를 주 기능으로 하는 대표적인 SNS인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사진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과 충족이론 등 관련 선행문헌들에 대한 고찰 결과를 토대로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긍정적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동기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총 25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스타그램의 아카이브, 자기표현, 사회적 관계성은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스타그램의 자기표현, 사회적 관계성, 유희성은 호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인스타그램에 대해 사용자가 지각하는 유용성은 호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 및 호의적 태도는 모두 사진공유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긍정적인 인식과 사진공유의도 향상을 통한 서비스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TV광고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cluding Types of Creative Elements in TV Advertising)

  • 이희준;조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8-73
    • /
    • 2015
  • 본 연구는 TV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를 조작한 후 브랜드 친숙도, 성별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 측면에서 제품 및 비제품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 경우,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한 호의적 평가의 강도가 높았다. 셋째, 브랜드 친숙도가 낮을 경우, 남성 소비자는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하여 여성 소비자보다 높은 강도의 호의적 광고 태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이 광고에 포함되는 형태에 따라 소비자는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서, 이는 향후 광고 제작 시 광고 집행 상황에 따른 적절한 표현전략의 실질적 가이드라인이 되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용자 태도 및 교육.훈련과 정보시스템 실행 성과간의 관계

  • 이종구;이동만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
    • pp.471-487
    • /
    • 1997
  • 본 연구는 사용자 특성 중 조직에서 통제 가능한 요인의 사용자의 태도 및 교육· 훈련이 정보시스템이 실행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최근 신정보시스템으로 전환한 D사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용자 태도와 교육·훈련은 각각 독립적으로 정보시스템의 실행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 태도와 교육·훈련이 결합한 상 호작용 효과는 시스템 사용도에는 유의적인 효과를 미쳤지만, 사용자 만족도에는 유의적인 효과를 미쳤지만, 사용자 만족도에는 유의적인 효과를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조직에서 정보시스템의 실행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 태도를 호의적으로 변화시키고, 사용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많이 시켜야 하며, 특히 사용자 에 대한 교육·훈련은 차별화하여 실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 PDF

대학수학에서, 글쓰기를 통한 호의적인 태도변화 모색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411-422
    • /
    • 2001
  • 대학수학에서 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수학전반에 대한 학습진단, 느낌, 대책, 자기경험등 여러가지를 발표토록하여 바람직한 수학관을 갖고 수학학습태도를 기르도록 도움을 줄 기회를 갖게 하며, 수학이 중요하고 필요함을 깨우쳐 수학이 그들 인생의 동반자가 되도록 한다.

  • PDF

기업 연상이 기업신뢰와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Corporate Association on Corporate Trust and Attitude: Focusing on Comparison of Corporate Type)

  • 신범식;방광수;김유경;박종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7-101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 연상이 기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신뢰의 매개역할을 고찰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자들은 신뢰의 차원을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로 구분하고, 이러한 두 가지 신뢰가 감정적 신뢰를 매개로 기업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기업 능력 연상은 전문성 신뢰에, 사회적 책임 연상은 호의성 신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 모두에서 '기업 능력 연상 ${\rightarrow}$ 전문성 신뢰', '사회적 책임 연상 ${\rightarrow}$ 호의성 신뢰' 두 경로 간에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는 감정적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유형별 추가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문성 신뢰는 기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을 하였으나, 이러한 경로결과는 해외기업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기업의 유형에 관계없이, 기업에 대한 감정적 신뢰가 형성되면, 해당 기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기업에 대해 연상을 하고 이러한 연상으로 인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두 가지 신뢰는 해당 기업에 대한 감정적 신뢰를 유발하고, 나아가 기업태도로까지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EO 위기책임성과 SNS 상호작용성이 위기 대응 전략 인식에 미치는 영향 (Interaction Effects of Crisis Responsibility and SNS Interactivity on Acceptances of Crisis Response Strategies in the case of CEO in Crisis)

  • 유로;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9-72
    • /
    • 2020
  • 선행 위기관리 연구의 초점은 주로 기업의 위기책임성에 맞추어져 있었으나 CEO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CEO 위기 발생시, 위기책임성과 위기 대응 전략이 CEO 태도, 기업 태도,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 CEO의 평소 SNS 상호작용이 위기책임감과 위기 대응 전략의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탐색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중국인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2(위기책임성: 고 vs. 저) X 2(위기 대응 전략: 방어 vs. 사과) X 2(SNS 상호작용성: 고 vs. 저) 설계 실험을 실시하였다. CEO 위기책임성 수준에 따른 대응 전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위기책임성과 상관없이 사과 전략이 방어 전략보다 더 호의적인 CEO 태도, 기업 태도, 제품 구매의도를 나타냈다. 평상시 CEO의 SNS 상호작용이 미치는 조절 역할을 검증한 결과 CEO의 책임성이 높은 위기 경우에는 평상시 SNS 상호작용성이 높으면서 사과 전략을 구사할 때 가장 호의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그러나 CEO의 책임성이 낮은 위기 경우에는 SNS 상호작용성에 상관없이 사과 전략이 방어 전략보다 더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

커피전문점의 광고실행 유형이 고객의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Custo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mation Process by Advertising Execution Types - A Korean Coffee Shop Case)

  • 정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66-876
    • /
    • 2013
  • 관광 서비스 업체들은 광고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하여 고객들의 태도를 자사 상품에 호의적으로 변화 또는 유지 시키려 노력한다. 그리고 효과적인 설득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광고실행 방법에 변화를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감성적 광고실행과 인지적 광고실행 유형이 고객들의 광고태도, 상표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광고실행의 유형에 따라 영향력의 정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감성적 광고실행 방법을 적용한 광고의 경우 광고태도는 상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구매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인지적 광고실행의 방법의 광고의 경우는 광고태도가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크지 않으나 두 변수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기술준비도와 상황적 영향이 셀프서비스기술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chnology Readiness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Self-Service Technology)

  • 문천수;신용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93-100
    • /
    • 2016
  • 본 연구는 셀프서비스기술 도입에 있어 개인의 기술 수용 성향과 주변 상황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셀프서비스기술 관련 연구는 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에 대한 성향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상황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기술 수용 성향을 기술준비도의 네 가지 구성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상황적 영향은 위치 편의성과 서비스 직원의 존재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셀프서비스기술을 이용한 적 있는 20대를 연구의 표본으로 하였으며 은행 ATM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에 대해 호의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일수록 셀프서비스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셀프서비스기술을 고객에게 유리하게 배치하고 서비스 직원을 통한 방법보다는 셀프서비스기술에 대한 지식을 사전에 전달하는 전략이 호의적인 태도 형성과 사용 의도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