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학적 해석

Search Result 59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Channel Island in a Stream (하천 내 하중도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변화 연구)

  • Park, Sung-Chun;Roh, Kyong-Bum;Jin, Young-Hoon;Park, Han-Min;Kim, J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74-678
    • /
    • 2010
  • 하천 형상은 자연적인 흐름과 인간의 활동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며, 이러한 변화과정을 통해 안정된 형상을 갖추어간다. 이러한 변화는 흐름과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진전되며, 하천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흐름 또한 저수로 형태 및 수량적인 변화 등에 의해 다양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의 형태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인공적으로 변화되었을 경우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미국 버지니아 해양연구소 개발) 모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EFDC 모형은 크게 유동, 퇴적물 이송, 수질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동 모델은 수온과 염분이 고려된 3차원 천수방정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EFDC 모형의 적용을 위한 Case1은 일반적인 저수로 형태 갖는 하천이며, Case2에서는 하천 저수로 내 인공적으로 하중도가 설치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수리학적 특성을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수위변화는 하중도 유무에 따라 상하류 부분에서 전혀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유속분포는 Case1에 비하여 Case2의 경우 하중도 설치에 의해 하천의 상류부에서는 흐름의 정체부분이 나타났으며, 하류부에서는 급확대에 의한 유속의 감소가 나타났다. 그리고 하중도에 의해 저수로가 분기됨에 따라 저수로의 급축소부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유속이 급속히 증가되었다. 본 연구의 Case2와 같이 하천에 하중도를 설치할 경우 만곡부 외측 부분에서는 유속의 현저한 증가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하중도의 설치 위치, 하중도의 규모 등에 따라 하중도 부분의 급격한 수위 및 유속 변화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만곡부에 이와 같은 것을 설치할 경우 보다 정밀한 수리계산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하중도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ltimate Analysis of Prestressed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사장교의 극한해석)

  • Lee, Jae Seok;Kang, Young 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5
    • /
    • pp.85-98
    • /
    • 1993
  • A method of analysis for the material and geometric nonlinear analysis of planar prestressed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including the time-dependent effects due to load history, creep, shrinkage, aging of concrete and relaxation of prestress is described. Th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capable of predicting the response of these structures through elastic, cracking, inelastic and ultimate ranges. The nonlinear formulation for the description of motion is based on the updated Lagrangian approach. To account for the material nonlinearity, nonlinear stress-strain relationship and cracking of concrete, nonlinear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reinforcing steel, prestressing steel, and cable, including load reversal are given. Results from a numerical examples on ultimate analyses of cable-stayed bridge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analysis method.

  • PDF

Analytical Estimation of Thermoelastic Damping (열탄성 진동감쇠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이우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6
    • /
    • pp.801-809
    • /
    • 1985
  • 다음 세대의 우주 비행선(spacecraft) 및 우주 구조물 등은 매우 정밀한 수행 능력은 물론 발사 경비의 절감을 위해 자체 무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중 요한 요구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진동 제어의 한 방법으로써 재료 고유진동감쇠(material damping)의 효과적인 응용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기류(Thermal currents)에 의해 발생하는 열탄성 진동감쇠(thermoelastic damping)를 연관 열탄성학(coupled thermoelasticity)에 근거하여 해석적으로 추정하고 진동감쇠율에 구조적, 기하학적 형태가 미치는 영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단일 구조물의 형태, 경계조건 및 진동모우드 등이 진동감쇠에 미치는 영향을 새로운 계수로서 공식화 하였으며 아울러 최대 진동 감쇠율을 얻을 수 있는 최적조건을 고찰하였다.

Classification of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Arrhythmia by Kurtosis Analysis (첨도치 해석을 통한 심실조기수축 부정맥 검출)

  • Kim, Kyeong-Seop;Kim,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55-356
    • /
    • 2013
  • 심장의 활동을 전기적 변위로 표현되는 심전도 신호는 심장병 진단에 중요한 임상적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특히 심전도 신호에서 P, QRS Complex,, T 특징점들로 대표되는 파형 변곡점들의 시간상 위치와 크기 및 형태학적 모양은 심장의 이상 리듬을 나타내는 부정맥여부를 검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QRS complex 구간에 대한 첨도치의 연산 해석을 통하여 정상적인 심전도 리듬과 심실조기수축 부정맥 리듬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또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PDF

An Inverse Kinematic Analysis of a Binary Robot Manipulator using Genetic Algorithms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2진 로봇 머니퓰레이터의 역기구학적 해석)

  • 이인석;류길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4
    • /
    • pp.203-208
    • /
    • 2000
  • 2진 로봇 머니퓰레이터는 기하학적 형상이 가변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으며 조인트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엑츄에이터는 2가지의 변위, 즉 최대 및 최소 변위만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작업영역은 연속적으로 주어지는 일반 로봇 머니퓰레이터와는 달리 유한 개의 위치 벡터의 집합 형태로 나타난다. 기존의 역기구학적 해석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2진 로봇 머니퓰레이터의 불연속적인 특성에 대해 새로운 작업영역과 역기구학 문제를 정의하였다.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새로이 정의된 문제의 역기구학적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유전 알고리즘이 2진 로봇 머니퓰레이터의 역기구학적 해석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강건한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 PDF

Morphometric Analyses of Damaster(Coptolabrus) jankowskii from Korea(Coleoptera : Carabidae) (한국산(韓國産) 멋쟁이딱정벌레의 계량형태학적(計量形態學的) 분석(分析) (초시목(鞘翅目) : 딱정벌레과(科)))

  • Kwon, Yong Jung;Park, Jong Kyu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7
    • /
    • pp.127-151
    • /
    • 1989
  • The ground beetles or carabids are essentially predaceous feeding on a wide variety of insects including forest pests, slugs and land snails containing those injurious to livestock or veterinary, thus many are predominantly beneficial and serve as natural enemies.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some morphometric multivariate analysis were done for 9 different populations in 5 subspecies of D. (C.) jankowskii, which are one of the most common ground beetles in Korea As the results, when the comparison was conducted between intraspecific groups regardless of subspecies i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average group membership revealed 97.46% correct assignment For intersubspecific comparisons alone 96.3% were correctly classified. Between the groups of ssp. jankowskii an average of 100% individuals were classified in their known group. Thus the predict group membership was highly significant(P<0.001), exceeding so-called 'the 75% rule'. Whereas, the average group membership using the male genitalic characters represented less than the 75% assignment, except only in ssp. quelpartianus (85.6%). The population from Is. Chindo were described here as a new subspecies for qualitative as well as the resultant quantitative differences. Therefore, a total of 7 subspecies are represented in Korea. Among them, the nominate subspecies, ssp. jankowskii(sensu lato), revealed distinct intrasubspecific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eographic populations. These differences can be as notable as intersubspecific variation which need substantial revision of the previous intuitional concepts on the infraspecific level.

  • PDF

Aesthetic Bridge Design using Creative Thinking (창의적 사고력을 이용한 미학적 교량 설계)

  • Kim, Nam-Hee;Koh, Hyun-M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A
    • /
    • pp.217-225
    • /
    • 2009
  • Bridge design is a problem-solving process whose level of design quality strongly depends on how to relate design constraints with feasibile design objectives in conceptual design stage. This paper has focused on how to create bridge shapes using creativity toward better looking bridge appearances in conceptual design stage. The term creativity in this study does not refer to the creation of something from nothing but to the reorganization of existing concepts. Such creativity includes not only enlarging the number of structural forms which is establish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statics but also combining bridge design with artistic components like an architectural style. Also,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graphic statics as a structural analysis tool showing the analysis results visually to generate bridge forms in conceptual design stag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way of generating bridge forms in this study to be used not only for practical purpose but also for educational purpose regarding the aesthetic bridge design serving as a new education paradigm.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 Velocity of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지형형태학적 순간단위도의 특성속도에 대한 고찰)

  • Kim, Sang-Dan;Yu, Cheol-Sang;Yu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3
    • /
    • pp.315-330
    • /
    • 2000
  • The GIUH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is to be applied to the ungauged or insufficiently gauged basins. For tIris purpose, an accurate estimation of the charactenstlc velocity is one very important part, but any proper method for this has not been developed yet. In case that we have enough rainfall and runoff clata, the estimation of the characteristic velocity may be an easy job, but it is out of the purpose of the GIUH. Remindmg that the purpose of GIUH the characterisbc veloclty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the geomorpholog1c analysis and also be snnple for easy apphcation. In tIris research analysis cmd application of the GruH was given to several sub-basins in Wi-stream river basin, Gono, Donggok and Hyoryung. After deriving the characteristic velocity througn a optimizatlOn process with real data, it is compared w1th several velOCIties der1ved from geOlnoI1J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theory and several other concentration time formulae. The estimated charactenstic velocities using Kerby, Kim, KInematic Wave, and Brasby- Williams formulae found to g1ve the appropriate results. Hmvever, as the Kerby, and the Kinematic Wave require user's decision of the IvIanning's n value, the K1m and the Braby-Williams seem to be more applicable and recommended as characteristic velocity formula.

  • PDF

Construction of Flood Routing Model in Milyang River using HEC-RAS Model (HEC-RAS 모형을 이용한 밀양강 홍수추적모형 구축)

  • Kim, Sang Ho;Kim, Ji Sung;Kim,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0-340
    • /
    • 2015
  • 기상이변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강우양상은 하천에서의 홍수위 증가로 나타나 여러 가지 하천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으로 유입되는 지류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전 연구로 비교적 규모가 큰 지류하천에 대한 부정류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홍수추적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상 하천은 지류 내 하도가 루프의 형태를 띠고 있는 밀양강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낙동강의 제1지류인 밀양강에서 낙동강 합류부로부터 30.74 km 상류에 위치한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를 상류단으로 선정하고 낙동강과 합류하는 밀양강 하류단을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였다. 상류 경계단인 상동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는 유량자료로 환산하여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으며, 하류단 경계조건은 낙동강 본류의 수산교 수위관측소와 삼랑진 수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수위자료를 밀양강 합류부까지의 거리 보정을 통해 밀양강 하류단의 수위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림 1은 밀양강의 상동수위관측소에서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 구간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2는 밀양1 지점에 대한 모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단장천 유입 이후 밀양강 본류가 두 개의 루프형으로 분류되었다가 다시 합류하는 하도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보다 복잡한 검증과정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밀양강에 대한 수리학적 해석모형은 지류 합류부에서의 배수영향에 의한 수리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urface Roughness by a Non-Contact Method for Objective Assessment of Fabric Handle (직물의 객관적 질감평가를 위한 비접촉식 표면 거칠기 측정 및 해석)

  • 박경희;권영하;오경화;김은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57-360
    • /
    • 2002
  • 직물의 질감을 객관화시키는 연구는 고부가가치의 의류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질감은 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표면상태에 따라 좌우되며, 이의 측정방법 중에서 KES-F system이 가장 객관화되어 있다. KES-F system을 이용한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은 피아노선을 굴곡 시켜 일정한 힘을 가한 상태에서 직물의 표면을 문질러 측정하므로 직물의 표면을 문질러 측정하므로 직물 표면의 잔털이 눌려진 상태여서 질감해석을 위한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기하학적인 직물 표면의 거칠기를 표면의 변형없이 측정 가능한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였다. 한편 직물의 주로 경사ㆍ위사로 짜여져 있어 이방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직물을 3방향으로 측정하여 해석하였다. 측정된 신호는 FET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의 표면형태를 구하고, 표면 높낮이의 평균, 최저값과 최고값을 구하여 표면의 특성을 얻었다. 직물 표면에 존재하는 잔털은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양을 측정하였으며 표면의 거칠기 측정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측정방법의 오차분석 및 표면 특징을 해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