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학적 해석

Search Result 59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ystematic stud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H. Itô) Fraser-Jenk. (Dryopteridaceae) in Korea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관중과)의 분류학적 연구)

  • Lee, Sang-Jun;Park, Chong-W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2
    • /
    • pp.114-135
    • /
    • 2015
  • The taxa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are variable in morphology, resulting in taxonomic confusion in delimiting taxon boundarie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mbers of subg. Erythrovariae to clarify their taxonomic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The shapes of the blades, pinnae, and pinnule apices,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scales, and the positions of sori were useful for delimiting the Korean taxa of the subgen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13 taxa comprising 12 species and one variet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were recognized in Korea. Descriptions of all Korean taxa of the subg. Erythrovariae and a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descriptions presented here are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the examination of some 1,000 specimens from the major herbaria of the world.

A Formulation for Response Variability of Plates Considering Multiple Random Parameters (다중 불확실 인수를 고려한 평판의 응답변화도 산정 정식화)

  • Noh, Hyuk-Ch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0 no.6
    • /
    • pp.789-799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ochastic finite element formulation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andonmess in the material and geometrical parameters. The formulation is proposed for plate structures, and is based on the weighted integral approach. Contrary to the case of elastic modulus, plate thickness contributes to the stiffness as a third-order function. Furthermore, Poisson's ratio is even more complex since this parameter appears in the constitutive relations in the fraction form. Accordingly, we employ Taylor's expansion to derive decomposed stochastic field functions in ascending order.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formulation,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scheme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literature and those of Monte Carlo analysis as well.

Dynamic Analysis of Steel Jackets under Wave and Earthquake Loadings I : Linear and Non-linear F. E. Formulation (파랑 및 지진하중을 받는 스틸자켓의 동적해석 I : 선형 및 비선형 유한요소 정식화)

  • 김문영;백인열;고진석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5
    • /
    • pp.1-1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in program and pre/post processor for the geometric and plastic non-linear analysis of steel jacket structures subjected to wave and earthquake loadings. In this paper, steel jackets are modelled using geometric non-linear space frames and wave loadings re evaluated based on Morrison equation using the linear Airy theory and the fifth Stokes theory. Random wave is generated using JONSWAP spectrum. For earthquake analysis, dynamic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rtificial earthquake time history. Also the plastic hinge method is presented for limit analysis of steel jacket. In the companion paper, the pre/post processor is developed and the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for linear and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steel jackets.

  • PDF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Modified Karhunen-Loeve Trans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to Color Image Processing (변형 Karhunen-Loeve 변환의 수리형태학적 의미와 칼라 영상처리에의 응용)

  • Eo, Jin-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B
    • /
    • v.31B no.11
    • /
    • pp.97-108
    • /
    • 1994
  • A modified Karhunen-Loeve transformation technique using normalization and simultaneous diagonalization of two sample covariance matrices is proposed to separate the object from the background. The transformation technique for the separation of local data structure through maximizing the ratio of sample variances between two classes was identified as a promising one for a preprocessing of multi-variate signal processing algorithms using neighborhood operators including morphological filtering. To relate the separation qua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to a morphological measure, average height was defined by using morphological pattern spectrum.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transformation technique was tested experimentally and the theoretical results were confirmed.

  • PDF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GIUH-Clark Model (GIUH-Clark 모형의 유도에 관한 연구)

  • Lee, Byung Woon;Jang, Dae Won;Kim, Hung Soo;Seoh, Byu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31-736
    • /
    • 2004
  • 강우-유출과정의 수문학적 현상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으로 강우에 의한 유출의 반응을 나타내는 지체시간, 도달시간 등 수문학적 반응시간을 유역의 지형형태학적 인자들과 연계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lark방법과 지형형태학적 순간단위도(GIUH)를 이용하여 계측유역의 강우-유출반응을 모의하였고, 이를 관측된 값과 비교하여 미계측유역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해보았다. 대상 유역의 하상지형인자 및 지형형태학적 특성은 Arc-View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문헌자료와 비교해보았다. Clark방법의 매개변수의 결정에 있어서 시간-면적곡선은 HEC-1의 무차원 식을 이용하였고, 도달시간은 Kirpich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저류상수는 Clark방법에 의해 추정된 순간단위도의 첨두유량이 Horton의 차수비의 함수로 구한 철두유량과 같아지는 값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적비교를 출구점으로하는 유역면적 $8.5km^2$인 설마천을 대상유역으로 하였으며, 모의된 강우-유출반응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 강우사상은 2002년의 8월 4일과 2002년 10월 6일의 10분 단위 우량이다. Clark방법과 GIUH를 이용하여 모의한 유출곡선과 관측된 유출곡선을 비교해본 결과 첨두유량은 8월의 강우사상 때는 $21\%$크게, 10월의 강우사상 때는 $35\%$작게 나타났다. 첨두시간은 모의된 경우가 각각 10분, 20분 빨리 도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유역의 도달시긴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역의 도달시간 산정에 주의를 요한다면 프랙탈 차원이 유사한 미계측유역의 수문곡선 산정에 있어서 Clark방법과 GIUH를 이용하는 방법도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주는 각 수문인자 중 강우시간분포와 유효우량 산정방법 그리고 유출모형에 대해 자자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면적에 따른 임계지속기간과 유출량의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이를 각각의 경우의 해석해 결과와 비교${\cdot}$분석하였다. 후방추적 퍼프모형은 전방추적 퍼프모형에 비하여 사용된 퍼프수와 관계없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

  • PDF

Cavitation flow Analysis of Hemisphere Cylinder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Model Constants (캐비테이션 모델 상수가 반구형 실린더 주위의 캐비테이션 유동에 미치는 영향)

  • Song K. J.;Yu H. R.;Kim D. H.;Kim C. K.;Park W. G.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223-227
    • /
    • 2005
  • 최근 전산 유체의 발달로 이상 유동해석의 캐비테이션 모델 적용 방법이 발전되어 왔으나 다양한 수력학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유동은 난류이며 물과 공기 사이에서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적용 예가 아직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서의 캐비테이션 해석과 이상 유동 해석을 위한 코드 개발 및 검증을 목적으로 3차원 회전체 주위의 캐비테이션 유동을 여러 가지 조건들의 변화를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캐비테이션 발생과 관련한 다른 난류 모델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을 위한 모델의 지배방정식은 이상유동 Wavier-Stokes 방정식, 질량$\cdot$모멘텀 방정식의 혼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였다. 해석결과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반구형 실린더 주위의 캐비테이션 유동의 실험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수치 해석 방법과 실험적 방법의 결과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수치적 뒷받침은 본 연구의 전산수치 해석 방법이 앞으로의 여러 유동 해석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An Integrating Reasoning of Rule and Case base Using Derivatives and Expansions of Boolean Functions (Bode 함수의 미분 및 전개를 이용한 규칙과 사례의 통합 추론)

  • 박지연;김국보;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5.10b
    • /
    • pp.285-292
    • /
    • 1995
  • 최근 규칙베이스 추론과 사례베이스 추론의 통합화에 의한 추론이 다양하게 시도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과 사례를 동일한 형태로 표현하고, 규칙베이스와 사례베이스를 통합한 새로운 통합 추론 방법을 제안한다. 지식은 논리의 기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보 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며, 동일한 형태로 표현된 규칙과 사례를 Boole 함수의 미분 및 전개 방법을 이용하여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응용예를 통하여 확인하다.

  • PDF

On the Structural Analysis Using the Isogeometry Analysis Approach (등기하 해석법을 이용한 구조해석)

  • Lee, Joo-Sung;Chang, Kyoung-Sik;Roh, Myoung-I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4 no.1
    • /
    • pp.55-60
    • /
    • 2011
  • In the present work, isogeometric analysis in linear elasticity problem is conducted using the basis functions from NURBS. The objectives of isogeometric analysis introduced is to integrate both geometric modeling(CAD) and computational analysis(CAE),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from direct usage of geometric modeling by NURBS as the computational mesh. The merit of the isogeometry analysis is that NURBS surface are able to represent exact geometry from the control points and knot vectors, and also subsequent refinement is relatively simple rela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computer codes developed in this study, it has been applied to two structural models of which geometry are simple ; 1) circular cylinder subjected to the constant internal pressure loading, 2) square plate with circular hole at center subjected to uniform tension. The exact solutions of these two models are available. Convergence of the approximate solutions by the present code for the isogeometry analysis are investigated by mesh refinement with inserting knots (h-refinement) and by mesh refinement with order elevation of the basis functions (p-refinement).

An Analysis of Detachment Mechanism of Gecko Adhesion Syste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게코 접착 시스템의 분리 메커니즘에 대한 해석)

  • Kim, Won-Bae;Cho, Maeng-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50-5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seta와 spatula로 구성된 게코(gecko) 접착 시스템의 해석을 위한 새로운 adhesive beam contact model을 제시한다. adhesive contact 해석에 있어서 기존의 JKR model은 nano pillar와 같은 형태의 접촉방식의 해석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seta와 같이 보(beam)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물의 접촉방식의 해석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ta와 같은 보의 형상을 가지는 접촉 시스템의 해석을 위해 adhesive beam contact model을 제시하고,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접촉면에서의 불균일한 응력분포 상태가 분리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spatula의 기하학적 형상과 보의 접촉각(contact angle)등이 seta adhesion system의 분리 메커니즘(detachment mechanism)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f laminar combined free and forcedconve3ction through a duct with peripheral heat flux variation (벽에서의 열플러스가 비균일한 덕트내 층류조합대류열전달에 대한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

  • Choi, In Kyu;Park, U Y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5 no.3
    • /
    • pp.230-237
    • /
    • 1981
  • 임의의 기하학적형태 단면을 가진 수직덕트내 층류조합대류열전달에서 벽온일정인 경계조건에 대하여는 Nayak[12], Giuidice[13]의 유한요소법해가 있다. 본 연구는 경계조건으로 벽에서의 열플러스가 비균일(균일한경우 포함)한 경우를 대상으로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을 시도한 것으로 예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해는 벽해밀과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