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협응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2초

발달지연 아동의 시-운동 협응 및 소운동 협응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지향의 중재(task-oriented intervention) 적용: 단일대상연구 (Task-Oriented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Visuomotor Coordination and Fine Motor Coordination Functions in Developmental Delayed Child : A Single-Subject Design)

  • 송지원;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6-4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의 아동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의 중재를 사용하여 시-운동 협응과 소운동 협응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6세의 여아 1명이었다. 아동은 진단은 받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기능에 발달지연을 보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2월 5일부터 6월 4일까지이었고,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A-B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A는 초기 3회기로 아동의 기능 파악을 위해 초기평가를 하였다. 중재기 B는 12회기로 과제지향의 중재(task-oriented intervention)를 사용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기에 동일하게 아동의 시-운동 협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 3판의 타원그리기를 실시하였고, 소운동 협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COMPS)의 손가락-코 짚기를 실시하였다. 회기별 변화도는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 3판의 타원그리기의 기초선 평균은 23점이었고, 중재기 평균은 39.66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의 평균이 16점 이상 향상되었다. COMPS의 손가락-코 짚기의 기초선 평균은 0점이었고, 중재기 평균은 5.08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의 평균이 5점 이상 향상되었다. 결론 : 취학 전의 발달지연아동에게 과제지향의 중재는 아동의 학습에 바탕이 되는 시-운동 협응과 소운동 협응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호흡 및 구강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reathing and Oral Diadochokinetic Movem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최연우;정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만 6세 7개월의 남아로, 발달장애 진단을 받았다.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은 개별실험연구 중 AB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A) 3회기, 중재(B) 16회기이었다. 기초선 기간 동안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고, 중재기간동안에는 감각통합치료에 구강활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호흡기능은 폐활량 측정계로 측정하였으며, 구강협응능력은 "파타카(pataka)"를 10회 반복할 때 소요된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 :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은 기초선과 비교하여 중재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이었다.

  • PDF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on the Body Alignment in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 Park, Se-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51-256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신체 정렬을 증진 시키는 방법으로 협응이동훈련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군 20명을 대상으로 협응이동훈련을 4주간 주 5회 40분 적용하였다. 신체 정렬은 포메트릭으로 측정하였고, 신체 정렬을 나타내는 변수로는 앞·뒤 몸통 기울기 각, 좌·우 몸통 기울기 각, 골반 기울기 각, 골반 비틀림 각, 등뼈 후만각, 허리 전만각 등이 있다. 협응이동훈련을 고등학교 야구선수에게 적용한 후 측정 결과는 실험군에서 등뼈 후만각, 허리 전만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아 협응이동훈련이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신체 정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신체 불균형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협응이동훈련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pper Limb Coordinated Movement Based Task Oriented Approach on Improving Handwrit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김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77-87
    • /
    • 2016
  • 목적 :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한글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각 접근이 한글 글씨 쓰기 수행의 질과 글씨쓰기 준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10세의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을 통해 두 집단으로 나뉘어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과제중심접근 중재군과 과정중심접근 중재군으로 5주 동안 40분씩 주 2회 중재를 받았다. 글씨쓰기 수행은 한글 자모 쓰기 검사로 측정하고, 글씨쓰기 준비요소인 상지 운동 기능, 시 지각 기능과 시 운동기능은 각각 운동 유창성 평가(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중 미세운동조절의 하위검사 일부, 한국판 시 지각 발달 검사(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 개정된 시 운동기술 평가(Test of Visual Motor Skills-Revised: TVMS-R)로 평가하였다. 고찰 : 본 연구는 과제중심접근법을 적용하여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수행도를 향상시킨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과정중심접근법과 과제중심접근법이 글씨쓰기 준비기술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글씨쓰기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양손협응(Bilateral coordination)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ffect of Crafts and Hand-writing on Bilateral Coordination)

  • 최혜숙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3-73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과제를 수행할 때에 양손협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손 기능에 장애가 없는 20대 대학생 3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방법으로 10명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1(수공예활동),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 대조군으로 배분하였다. 중재 전, 후에 각각의 양손협응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를 시행하였다. 결론 :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 훈련 전, 후를 비교한 결과 중재 후에 실험군 1(수공예활동)과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에서 손 기능 및 양손협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험군 1(수공예활동)은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항목에서 실험군 2(글씨쓰기활동)는 Purdue pegboard test 항목에서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수공예활동은 과제를 수행할 때에 양손협응을 향상시키고 글씨쓰기활동은 손의 기민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행하는 과제에 따라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모든 연령과 다양한 수공예활동과 글쓰기활동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수행된다면 협응능력 제한이 있는 사람의 작업 중재 방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Program for Life-Care Promotion on Balance of Obese Elderly Women)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7-25
    • /
    • 2020
  • 본 연구는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비만 여성노인 10명으로, 최근 1년 이내 허리나 엉덩관절 및 무릎관절 수술경험이 없고 독립보행이 가능한 자로 선정하였다. 협응적 이동훈련을 일일30분씩 2회, 주5회, 4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바디 BMI검사, myoVIDEO를 이용한 관절가동범위검사, 표면근전도 검사(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육), 힘판 트레드밀을 통한 동적 균형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 검사(TUG)를 중재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보행 시 디딤기 및 흔듦기 시기에 몸통과 엉덩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표면근전도를 통한 근 활성도검사에서는 척추세움근과 배바깥빗근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보행 시 동적균형검사에서는 보행선길이와 한발지지선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버그 균형 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검사(TUG)에서도 중재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자세불안정과 근 약화, 균형능력감소 및 낙상위험도를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능력 개선 및 낙상방지를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이동적 협응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상대위상을 이용한 시각적 협응 패턴의 지각 역학과 격자무늬를 이용한 부가적 감각 정보에 따른 영향 (Visual Perception Dynamics of Relative Phase Coordination Pattern with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Using a Background Grid)

  • 류영욱
    • 인지과학
    • /
    • 제23권3호
    • /
    • pp.409-42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 위상을 이용한 시각적 협응 패턴의 지각이 조절변수의 변화에 따라 HKB 모델(Haken, Kelso, Bunz, 1985)의 예측에 따르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또한 격자무늬 배경을 이용한 부가적인 시각 정보가 협응 패턴 분별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았다. 피험자들은 일반 배경과 격자 배경 중 하나의 그룹에 속하여 패턴 지각 연습과 패턴 분별 시험을 하였다. 피험자들은 좌우로 이동하는 두 점 사이의 상대위상으로 정의된 $0^{\circ}$, $18^{\circ}$, $36^{\circ}$, $54^{\circ}$, $72^{\circ}$, $90^{\circ}$, $108^{\circ}$, $126^{\circ}$, $144^{\circ}$, $162^{\circ}$, $180^{\circ}$ 패턴을 관찰하였다. 패턴 지각 연습은 두 점의 진동 주기 0.25 Hz에서 시행되었고, 패턴 분별 시험은 0.5 Hz, 1 Hz, 2 Hz에서 시행되었다. 패턴 분별 시험에서 얻은 분별 점수, 절대 분별 오차, 분별 안정성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별의 정확성과 안정성은 진동 주기가 느릴 때는 "뒤집어진 U" 모양을 띄다가 진동 주기가 빨라짐에 따라 $180^{\circ}$ 상대위상 패턴에 가까운 패턴들에서 정확성과 안정성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협응 패턴의 지각적 분별 역학이 HKB 모델을 따름을 나타낸다. 부가적 환경 정보인 격자무늬가 협응 패턴 분별의 정확성과 안정성에 도움은 되지 못하였다.

  • PDF

편측 뇌성마비 아동(hemiplegic cerebral palsy)의 양손 협응 향상을 위한 집중적 양손활동훈련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Bimanual Intensive Training to Improve Bilateral Coordination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변은진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7-17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집중적 양손활동훈련을 편측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후 상지 재활 효과와 양손 협응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4년부터 2014년 현재까지 국내 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RISS,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1, 2차 분류를 통해 총 6개의 실험연구 논문이 대상논문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6편의 문헌은 모두 국외 논문이었으며, PEDro score는 5점 이상으로 높은 편 이었다. 사용된 중재는 강제유도운동치료의 변형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상지기능과 양손 협응 측정 위한 평가도구로는 AHA와 JTTHF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그 외 QUEST, ABILHAND-Kids, COPM, GAS, PEDI, 3-D movement kinematics가 중재효과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고찰 : 본 연구를 통하여 집중적 양손활동훈련이 편측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뿐만 아니라 양손 협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양손 협응이 요구되는 대부분의 일상생활의 참여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국내 임상가들에게 편측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새로운 중재방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치료 접근법을 알려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 발 지지 유무에 따른 상하지 협응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pper and Lower Limb Coordinated Exercise in One Leg Support or non Support on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국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81-288
    • /
    • 2013
  • 본 연구는 한 발 지지 유무에 따른 상하지 협응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 발을 지지하여 상하지 협응운동(주 3회, 4주간)을 적용한 군(n=7)과 한 발 지지없이 상하지 협응운동을 적용한 군(n=7)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보행능력검사는 10MWT, F8W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동적균형능력검사는 FS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규분포를 한 10MWT는 두 군의 측정시점에 따른 유의성 검정을 위해 이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를 하지 않은 F8WT, FSST는 두 군의 측정시점에 따른 유의성 검정을 위해 Friedman 검정을 하였고, 두 군간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측정에서 두군 모두 측정시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상하지 협응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유용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irtual Reality Games on eye-hand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 조무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9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눈-손 협응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 6명을 대상으로 그 중에 3명을 감각통합 프로그램과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군으로 선정하였고, 나머지 3명의 아동들은 감각통합 프로그램만을 실시는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10회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중 하위 항목인 눈-손 협응을 사전-사후평가로 실시하여 결과로 나온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가상현실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가상현실 프로그램 참여전보다 참여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4). 감각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감각통합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가 눈-손 협응 능력의 평균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