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Bimanual Intensive Training to Improve Bilateral Coordination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편측 뇌성마비 아동(hemiplegic cerebral palsy)의 양손 협응 향상을 위한 집중적 양손활동훈련에 관한 체계적 고찰

  • Byun, Eun-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변은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4.12.01
  • Accepted : 2015.01.15
  • Published : 2015.01.30

Abstract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searches which identify the improvement of bilateral coordination skill of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fter bimanual intensive training. Methods :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4 to 2014, using RISS, Pubmed. Total 6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ult : All of the selected 6 studies were foreign papers, and the Pedro score was 5 or more. Among various interventions, modified CIMT designs were the most. The primary outcome measure tools are AHA and JTTHF for evaluating bilateral coordination and hand functions, and QUEST, ABILHAND-Kids, COPM, GAS, PEDI, 3-D movement kinematics were used for evaluating various aspects of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it is identified that bilateral intensive training provides positive effects to not only hand functions but also bilateral coordination. Furthermore, it also provided supports to participate in ADL requiring bilateral coordinat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s evidence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BIT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집중적 양손활동훈련을 편측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한 후 상지 재활 효과와 양손 협응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4년부터 2014년 현재까지 국내 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RISS,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1, 2차 분류를 통해 총 6개의 실험연구 논문이 대상논문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6편의 문헌은 모두 국외 논문이었으며, PEDro score는 5점 이상으로 높은 편 이었다. 사용된 중재는 강제유도운동치료의 변형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상지기능과 양손 협응 측정 위한 평가도구로는 AHA와 JTTHF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그 외 QUEST, ABILHAND-Kids, COPM, GAS, PEDI, 3-D movement kinematics가 중재효과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고찰 : 본 연구를 통하여 집중적 양손활동훈련이 편측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뿐만 아니라 양손 협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양손 협응이 요구되는 대부분의 일상생활의 참여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국내 임상가들에게 편측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새로운 중재방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치료 접근법을 알려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