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협업제품개발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8초

텔레프레즌스 기술 표준화 동향

  • 이종화;강신각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12호
    • /
    • pp.25-30
    • /
    • 2012
  •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편리하게 근무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워크 활성화"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중에 있다. 스마트워크 유형으로는 모바일 오피스, 홈 오피스, 스마트워크 센터 그리고 스마트 오피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근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약없는 정보 공유와 상호 협력이 가능하도록 원격 협업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원격 협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영상회의 경우, 이미 상용화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기종 제품간 상호연동이 되지 않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영상회의 시스템은 실제 참가자들이 동일한 장소에 모여 회의를 하는 것처럼 실감적인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텔레프레즌스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다. ITU-T, IETF, IMTC 국제 표준화 단체에서는 여러 유형의 영상회의 또는 텔레프레즌스 시스템간 상호 연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동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TU-T SG16 Q5, IETF CLUE 워킹그룹에서 진행중인 최신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 또한, 공공 및 민간기관에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해 이기종 영상회의 시스템간 연동이 가능한 국내 표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주요 기술 이슈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CPC 환경에서의 엔지니어링 웹 서비스

  • 이재열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2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245-248
    • /
    • 2002
  • 기업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차세대 전자상거래 기술로써, 협업적 제품거래 기술의 개발이 요구됨(중략)

  • PDF

파워보트 협업 생산을 위한 웹기반 컨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Web-Based System for Collaborative Power-Boat Manufacturing)

  • 이필립;이동건;백명기;오대균;최양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3호
    • /
    • pp.265-273
    • /
    • 2012
  • 세계적 금융 위기로 인한 기업의 사업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점은 과거보다 더욱 중요해 졌으며 이를 위해 세계적 제조 기업들은 기초 생산 인프라 와 고도의 IT 기술의 융합을 통해 위기 극복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의 제조 경쟁력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제조 프로세스의 통합, 제품 개발과정에서의 협업, 공급자와 생산자의 유기적인 정보통합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협업 및 정보통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는 파워보트 협업생산 및 정보통합을 지원할 수 있는 웹기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을 수행하였다. 기 시스템은 설계 및 생산과정에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파워보트의 제품구조 분석, 설계 및 생산 프로세스 분석 등을 통해 설계되었으며 제품정보 및 전사 컨텐츠 관리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파워요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다수 기업 설계 및 생산 정보의 통합관리 및 동시 작업을 통한 생산성 증대가 기대된다.

가사의 협업 환경을 통한 신제품 개발 사례연구 : Web2.0 가상 공간을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A Case Study on New Product Development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CVE) : A Design Research Leveraging a Virtual Space of Web 2.0)

  • 권희정;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34-639
    • /
    • 2008
  • 사회적 컴퓨팅(social computing)의 현상이 Web 2.0 공급사슬(supply chain)의 변화관점에서 새로운 변화의 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Web 2.0 플랫폼을 어떤 형태로 기업 활동에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제기에 대하여 다양한 기업 활동의 변화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와 같은 다양한 Web 2.0 환경 확산에 대한 기업 활동의 변화현상 중에서 Web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신제품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사례연구를 통하여 진행한 결과를 반영하였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Web 2.0 의 협업적 환경을 설계하게 될 경우, 고객의 내재적 요구사항(latent requirement)이 제품개발에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process)가 기존의 제품개발방법론과 연관되어, 어떤 형태로 적용되고 개선되어 발전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 사례를 사례연구방법의 탐험적 경향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다루어졌던 사례는 Web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창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를 생산하고 증가된 연세대학교 UCC의 양적 팽창에 의해서 수익모델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Web 2.0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를 보여주는 경우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용자의 내재적 요구사향을 Web 2.0 기술특성을 통해서 참여적 사용자, 혹은 사용자 디자이너들의 적극적인 활동에 의해서 개선 및 구현해 가는 과정을 구체적 개발방법론의 틀로서 정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 PDF

Innov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via Global Automotive Development Project

  • 지해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41-49
    • /
    • 2009
  • 본 논문은 세계 여러나라의 대학들이 다학제간 자동차 개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혁신적 공학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술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주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신속한 설계와 제조에 대한 실질적 경험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국제적 규모의 협업을 통하여 다른 국가의 다른 전공의 학생들과 의사전달 경험을 쌓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산업디자인 전공학생과 공학전공 학생들간에 긴밀한 협조환경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프로젝트에 있어서 설계와 제조간의 공조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전공의 특히다른 국가의 대학들의 학생들끼리 스스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고 분업하여 효율적으로 협업을 이루어 가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시도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향후 각 대학에서는 지속적인 의사전달기술을 토대로 팀기반 협업환경에서의 설계교육을 강화하여 국제적 공학혁신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CPC (Collaborative Product Commerce) 개념의 설계 정보 시스템 개발

  • 반창우;장동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27-227
    • /
    • 2004
  • 오늘날과 같은 무한 경쟁 시대 속에서 기업은 신제품을 좋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얼마나 빠르게 시장에 출시하느냐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설계 단계부터 제품 생산 단계까지의 주기를 단축시켜야만 한다. 이 때 설계 단계의 비용이 가장 크며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물론, 품질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바로 설계 단계인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품 개발에서 중요한 설계 단계를 CPC(Collaborative Product Commerce) 개념을 도입하여 웹에 기반을 둔 설계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중략)

  • PDF

개방성의 형태와 전유성 메커니즘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ms of Openness and the Appropriation Mechanisms on Product Innovation)

  • 신서화;허문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1호
    • /
    • pp.53-80
    • /
    • 2020
  • 최근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전략적 측면에서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어 개방성의 형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을 위해 개방을 해야 하지만 혁신을 보호해야 하기도 한다는 모순이 존재한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혁신 보호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는 전유성 메커니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개발하고 배포하는 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는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외부 탐색은 활용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은 탐험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은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외부 탐색과 활용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비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협업과 탐험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외부 탐색과 협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제품혁신의 유형과 적합한 개방성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의 특성에 따라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하여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유형에 따라 더 적합한 전유성 메커니즘 유형을 파악하였다.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의 정보시스템 활용 현황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System on Aerospace & Defense Industry)

  • 이효영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7권1호
    • /
    • pp.105-112
    • /
    • 2009
  •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은 개별 정보시스템을 운용하는 공급 업체들의 상호협력하에 제품을 개발하는 대표적인 확장기업이다. 효율적인 공동 작업 환경은 성공적인 비즈니스 구현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서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 단계에서 일관된 프로세스의 사용을 지원하고 안전하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정보시스템 기반협업 환경이 활용되어 왔다. 본 글에서는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들의 정보시스템 관리 현황 및 정보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고객과 공급자간의 안정된 협업 도구로서 제품 라이프사이클 관리(PLM) 솔루션을 구축한 기업의 사례를 소개하도록 한다.

  • PDF

중소기업 특성에 따른 외부 협업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Performance of Collaboration Activities upon SME's Idiosyncrasy)

  • 이혜선;오준석;이재기;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95-105
    • /
    • 2013
  • 최근 급변하고 있는 시장변화로 기업의 경쟁우위를 지속하기 위한 기업 간 협업 활동과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한정된 자원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외부자원 활용과 협업 활동은 기업 내 역량강화 및 혁신성과 창출함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까지의 대다수 선행연구들에서는 중소기업의 다양한 특성과 협업의 연관성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혁신성과를 해석하기보다 기업의 크기(대기업과 중소기업)와 연구개발 활동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협업과 성과의 영향정도를 규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외부 협업 활동과 관련한 기업의 다양한 특성과 혁신성과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업의 특성을 주 제품이 속한 산업군, 고객군, 기업 규모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따른 협업 활동이 제품혁신과 공정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빗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외부협업은 제품혁신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공정혁신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의 주 제품군이 속한 산업과 고객에 따른 협업 활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두 유형의 혁신성과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규모가 큰 경우, 외부와의 협업 활동이 규모가 작은 기업보다 혁신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과창출에 필요한 기업특성에 따른 협업의 영향력을 인지함으로써 향후 소규모 기업들을 위한 혁신성과 창출을 위한 전략을 도입하려는 실무자 및 기관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