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협력전략

검색결과 1,306건 처리시간 0.029초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전략적 접근: 향후 추진전략과 협력과제 도출을 중심으로 (Strategic Approach for South-North Korea's S&T Cooperation)

  • 손주연;김시정;이장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3-174
    • /
    • 2017
  • 본고는 다양한 이유로 단절된 남북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을 중심으로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해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제한적이고 정보의 신뢰성이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북한연구에 대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고자 통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설문조사와 FGI조사 그리고 전문가 회의 등을 활용하여 남북협력에 대한 추진전략과 협력과제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와 FGI결과를 종합한 결과 향후 협력분야로 농 축 임업분야, 전기 에너지 분야, 정보통신분야, 보건 의약분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협력분야보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 어떻게 남북과학 기술협력에 접근할 것인가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과거와 같이 정부중심의 단기적 접근방법에서 벗어나, 남북과학기술협력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3국이나 INGOs를 포함한 다자협력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과의 과학기술협력을 추진할 때, 한 분야나 우선과제를 선정하더라도 그것이 북한이 직면한 다른 문제와 연계된다는 점에서 포괄적인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북한과의 정보 비대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반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북한에 대한 연구제약을 보완하고자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음에도 여전히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는 근원적인 한계를 지닌다. 이와 더불어 결과로 제시한 협력분야나 추진전략도 북한의 직접적인 입장이나 의견을 수렴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는 지속적으로 북한 관련 전문정보를 확보하고 관련연구를 축적함으로써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비즈니스 경영조직의 협력기술 증진전략 (Collaboration strategy of business organiz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 김광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13
  • 효과적인 협력기술을 배우는 것은 평생의 과제이다. 팀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팀의 구조, 또 어떻게 갈등을 처리할지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 우리가 유능한 협력가가 된다면, 팀이 더 잘하고 신속하게 일을 수행하는 것을 돕게 될 것이다. 협력의 기본 개념과 함께 효과적인 팀의 정의 및 생산적인 갈등에 대해서 살핀다. 마지막으로 협력기술증진 전략을 제시한다.

  • PDF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Climat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 채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9-171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와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역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 12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신뢰성,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는 조직의 당기순이익과 인당매출액 각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협력적노사관계분위기와 당기순이익과 인당매출액 각각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는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인적자원관리을 전략적으로 할수록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강화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협력적 노사관계분위기,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기술환경의 불확실성,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관계특성 및 관계결속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among Uncertainty of Technological Environ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 Technology Cooperation Network, and Relationship Tie -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Located in Daegu-Gyeongbuk Regions -)

  • 강석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125-140
    • /
    • 2018
  • 중소기업들은 기술협력을 형성하여 새롭고 진보된 기술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 기술협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기술협력은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기업특유의 자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협력의 중요성에 기인하여 많은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기술협력의 긍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불확실한 기술환경, 관계특성(기술협력의 강도와 영향전략), 관계결속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기술환경은 기술협력의 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협력의 강도는 해당회사와 상대 파트너기업의 비강압적인 영향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협력 강도와 해당회사의 비강압적 영향전략은 관계결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대 파트너기업의 비강압적인 영향전략은 관계결속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결속에 대한 해당회사의 비강압적 영향전략의 긍정적 결과는 기술협력 네트워크의 관계결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대응방안의 중요성을 의미하고 있다.

협력학습을 위한 혼합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Collaborative Learning)

  • 구진희;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7-285
    • /
    • 2009
  • 협력학습이 효과적인 교수모형으로 인식되고 있고, 최근 기본적인 학습 환경은 면대면 강의실 환경일지라도 e-러닝 환경의 장점을 부가적으로 활용하는 혼합학습 형태의 수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아직 협력학습을 위한 체계적인 혼합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면대면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혼합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습자 기초 조사를 위한 문항,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에 대한 만족도, 협력학습 각 단계에 적용된 혼합학습 전략 및 지원도구에 대한 만족도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학습이 면대면 강의실 수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은 5점 Likert scale의 평균 4.09로 조사되었고, 혼합학습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이 면대면 환경에서보다 더 효과적이었는가에 대한 답변은 평균 4.06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협력학습의 각 단계에서 적용한 혼합학습 전략과 지원도구의 활용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 대해서 평균 4.0이상으로 만족도가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혼합학습 전략에서 사용된 지원도구 중 학습자들이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순서는 채팅, 팀별 커뮤니티, 메일&쪽지, 자료실 순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습관리시스템의 협력학습 모듈을 설계할 때에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적극 반영해야함을 제언하였다.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 연구 - 광교테크노밸리 산학협력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Cluster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the Innovation Cluster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f the Gwanggyo Technovalley -)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54-257
    • /
    • 2012
  •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 추진의 전략방향 설정을 위해서 클러스터 현황을 클러스터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광교테크노밸리의 발전단계에 따른 협력현황 파악을 위하여 산학연 협력체계 분석과 진단을 위한 클러스터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광교테크노밸리내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경험은 67.3%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과, 기업과는 연구개발, 연구기관과는 장비활용 중심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또한, 산학연 협력의 지원정책수요는 협력기관 현황제공, 기술별 정보취득지원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의 수요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전략이 도출되었다. 첫째, 혁신클러스터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조속히 제시하고 단지인근에서 입주기업의 산학연 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혁신클러스터 단계별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근의 타 혁신거점과 정책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서 타 혁신클러스터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망 구축이 필요하다.

  • PDF

그린에너지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대외협력 맵 구축 (A study on establishi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green energy technologies)

  • 구기관;최봉하;홍성준;이성곤;이덕기;박수억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2.2-152.2
    • /
    • 2010
  • 기후변화, 석유자원 고갈 우려 등으로 인하여 그린에너지기술 개발에 대한 중요성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 가운데, 글로벌화된 경쟁구도 확대와 급속한 기술개발 속도로 인하여 국가간 또는 기업간 기술 개발 경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그린에너지기술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각 국은 제도적, 경제적 지원을 통한 그린에너지기술 개발 및 국제협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기술 관련 R&D 예산 중 국제공동연구 비중은 0.6%로 선진국에 비해 지원 규모가 부족한 실정이며, 그린에너지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기초 정보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에너지기술 분야의 국외 선도 업체 및 기관을 대상으로 기술수준 및 협력의향을 조사하여 대외협력 맵을 구축하였다. 우선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상의 15대 기술 분류에서 상세 분석을 위한 주요 에너지기술을 선정하고 기술별 하위 전략품목별로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2차 설문을 통하여 국제협력 추천 업체 및 기관, 기술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조사된 국외 추천 선도 업체 및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협력의향과 협력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통해 기술수준과 협력의향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대외협력 맵을 구성하고 구축된 대외협력 맵을 통해 국제협력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1차 협력사의 구매자 및 공급자와의 전략적·운영적 통합이 생산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ategic and Operational Integration of 1st supplier's buyer and supplier on Production Flexibility)

  • 김종훈;이태희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4호
    • /
    • pp.285-310
    • /
    • 2016
  • 본 연구는 복잡한 공급사슬에서 1차 협력사의 공급사슬통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1차 협력사와 공급기업(2차 협력사)과의 전략적 운영적 통합 그리고 1차 협력사와 구매기업(완제품업체)의 전략적 운영적 통합이 1차 협력사의 운영성과(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1차 협력사에 해당하는 284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PLS)을 이용하여 신뢰성, 타당성 및 경로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1차 협력사와 이해당사자들(완제품업체와 2차 협력사)의 운영적 통합은 생산 프로세스 유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1차 협력사와 완제품업체와의 전략적 통합은 생산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1차 협력사와 2차 협력사와의 전략적 통합은 생산 유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1차 협력사의 생산 프로세스 유연성은 자사의 생산 유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공급사슬통합의 수준과 범위 그리고 기업 성과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세분화하여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방산물자 수출 촉진을 위한 전략방향

  • 유병태
    • 국방과기술
    • /
    • 5호통권255호
    • /
    • pp.26-37
    • /
    • 2000
  • 세계경제의 국제화 추세와 무기 생산의 국제 협력은 방산업체간의 생산체제에 있어서 상호 의존과 밀접한 협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무기체계의 자급자족은 현실적으로 의미가 없어지고 필요한 무기체게를 적정가격에 획득하고 계속적인 방위산업 기반을 유지하는가에 비중을 두고 있다. 방산물자의 수출은 경제적인 이익 뿐만 아니라 정치 군사적인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방산물자 수출을 위한 시장확보라는 전략적 차원에서 국제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무기체계의 연구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고 자국의 소요만으로는 경제적인 생산규모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방산 선진국들도 국제협력과 수출을 통하여 개발비용을 분담하려 하고 있다.

  • PDF

테마탐방-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 박지연
    • 광학세계
    • /
    • 통권112호
    • /
    • pp.39-41
    • /
    • 2007
  • (재)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이사장.조석래, www.kjc.or.kr)은 지난 1992년 한일정상회담을 계기로 설립된 이래 한.일간의 산업기술협력을 통한 국내 기업의 성장.발전을 위해 기술연수.지도.교류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에 주력해 왔다. 재단에서는 크게 중소기업의 기술력 제고 및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매년 200명이 넘는 국내산업인력의 일본연수등을 추진해왔다. 최근에는 일본과의 전략적 제휴 및 정보 공유 등 '윈-윈 전략' 에 기초하여 더욱 고도화되고 다양해진 산업기술협사업을 펼치고 있다.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의 그간 성과를 짚어보고 향후 사업계획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