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혈소판 응집 억제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f Mechanism Involved in Cadmium-induced Platelet Aggregation

  • 송철수;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6
    • /
    • 1984
  • 카드뮴중독으로 혈소판응집이 항진되어 고혈압 또는 동맥경화증이 발생한다는 연구보고를 감안하여 가토와 흰쥐의 생체내 실험으로서 미세혈전의 형성, Malondialdehyde(MDA) 및 thromboxane $B_2(TXB_2)$치에 미치는 카드뮴의 효과를 검토하고, in vitro실험으로 카드뮴을 처치한 가토 대동맥절편이 혈소판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prostacyclin의 합성능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Cadmium chloride 2mg/kg을 매주 동물의 복강내에 주입하였을 때 미세혈전형성이 증가되었다. 2) 카드뮴 중독동물의 platelet-rich plasma (PRP)는 MDA와 $TXB_2$형성이 정상동물에서 보다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카드뮴을 중독시킨 가토의 platelet-poor plasma (PPP)에서의 lipid peroxide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4) In vitro 실험으로, 가토대동맥 절편에서의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카드뮴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고 이때 혈소판 응집률의 증가와 평행하였다. 5) 이상의 결과로서 카드뮴은 동맥내피세포에서 prostacyclin 합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혈소판에서 $TXA_2$합성을 촉진시켜 그 결과로 혈소판 응집률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계통과 Phellinus baumii의 항 혈소판 응집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anghwang mushrooms, Phellinus linteus strains and Phellinus baumii, on platelet aggregation)

  • 강희완;이만휘;여운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4-128
    • /
    • 2017
  • 국내 상황버섯 재배 종인 Phellinus baumii (PB, Jangsu sanghwang), P. linteus (PLK, Korea Sangwhang), 그리고 P. linteus HN00k9 (PLH) 자실체의 methanol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와 ATP release 감소효과를 조사하였다. PB, PLK, PLH methanol 추출물을 전 처리하고 혈소판 응집촉진물인 collagen (2.5 ug/ml), ADP (10 uM), thrombin (0.1 U/ml) 처리에 50ug/ml에서 200 ug/ml 농도에서 50%에서 95%의 혈소판응집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ATP release 감소효과는 200 ug/ml 농도에서 ADP(10 uM) 처리 혈소판에서 60%에서 50%로 나타났으며 이는 Phospholipase C의 inhibitor인 U73122 (4 uM)과 calcium chelator인 EDTA (1 mM)에 비하여 20%이상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로부터 상황버섯 PB, PLK, PLH 메탄올 추출물은 심혈관계질병을 예방 하는 유용한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 된다.

PHOSPHODIESTERASE 억제제 (PDE-1), SODIUM NITROPRUSSIDE, AMITRIPTYLINE, 및 CHLORPROMAZINE의 항-혈소판작용

  • 전보권;안상건;최상현;신경호;이민수;천연숙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86-286
    • /
    • 1994
  • Thrombin (0.25 U/ml : TB), 소-피부 collagen (200 $\mu\textrm{g}$/ml : CG), adenosine 5'-diphesphate (4,0 $\times$ $10^{-5}$M : ADP), 및 epinephrine (4,0 $\times$ 10 $^{-5}$M : EPI)의 가토-혈소판 응집과 단백인산화작용에 미치는 PDE-I (3-isobutyl-1-methylxanthine : IBMX, 및 KR 30075), amitriptyline (AP), chlorpromazine (CP), 및 sodium nitrogrosside (SNP)의 염향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KR은 2,2 $\times$ $10^{-7}$M 이하의 $IC_{50}$/에서 EPI > ADP > CG > TB 순으로 각각을 억제하였으며, SNP 보다도 강하였고; KR-30075보다 약하나 IBMX, AP, 및 CP도 각 응집재의 작용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EPI에 대하여 $10^{-8}$M 이하의 $IC_{50}$/에서 유의한 억제력을 보였다. 각 응집제들은 41 kD 인산화는 유의하게 증가시키며 47 kD와 20 kD 단백인산화는 감소시켰는데; 모든 항응집성 약물이 41 kD 인산화-증가는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아울러, AP와 CP는 47 kD 단백인산화-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20 kD 단백인산화-감소는 억제하였다. PDE-I (IBMX와 KR)와 SNP는 47 kD와 20 kD 단백인산화-감소를 다소 약화시켰으며, 43 kD와 22 kD 단백인산화를 KR > IBMX > SNP순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KR의 22 kD 단백인산화작용은 현저하였다.

  • PDF

Comparison of Antiplatelet Activities of Green Tea Catechins

  • Cho, Mi-Ra;Jin, Yong-Ri;Lee, Jung-Jin;Lim, Yong;Kim, Tack-Joong;Oh, Ki-Wan;Yoo, Hwan-Soo;Yun, Yeo-Pyo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3-230
    • /
    • 2007
  • 저자들은 녹차 카테킨(GTC)이 강한 항 혈전 작용을 나타내며, 이는 항 혈소판 활성에 의한 것임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8가지 녹차 카테킨 성분들의 항 혈소판 활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갈레이트(gallate) 구조를 갖는 카테킨들(EGCG, GCG, ECG, CG)은 콜라겐$(5{\mu}g/ml)$으로 유도한 토끼 혈소판 응집능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50% 억제농도$(IC_{50})$는 각각 79.8, 63.0, 168.2, $67.3{\mu}M$이었다. 또한 EGCG, GCG, CG는 아라키돈산(AA, $100{\mu}M$)으로 유도한 토끼 혈소판 응집능을 억제하였고, 50% 억제농도$(IC_{50})$는 각각 98.9, 200.0, $174.3{\mu}M$이었다. 반면에, 갈레이트 구조를 가지지 않는 카테킨들은 혈소판 응집능 억제 효과가 매우 약했다. 이 결과는 항 혈소판 활성에서 카테킨들의 C-3 위치의 갈레이트 구조의 존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과 카테킨들과 B-ring 갈레이트 구조의 존재 또한 녹차카테킨의 항 혈소판 활성에 중요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EGCG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내 칼슘 생성과 아리키돈산의 생성을 억제시켰는데, 이는 혈소판 응집능의 억제와 일치하였다. 반면에, EGC는 세포 내 칼슘 및 다른 혈소판 활성 기전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이들 결과는 EGCG의 항 혈소판 활성은 C-ring에서 carbon 3 자리의 에스테르화 된 갈레이트 구조의 존재에 의해서 강화된 항 혈소판 작용으로, 아라키돈산 생성과 세포 내 칼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에 기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PI3K, Akt, p38을 포함한 인산화단백질에 대한 Cordycepin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ordycepin on Phosphoproteins including PI3K, Akt, and p38)

  • 권혁우;이동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9-107
    • /
    • 2017
  • 진균 속에 속하는 종인 Cordyceps는 중국의 전통약제로서, 그 유효성분인 cordycepin이 혈소판 응집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phosphoprotein 조절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cordycepin이 fibrinogen binding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I3k/Akt와 $TXA_2$ 분비 및 과립방출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38와 같은 phosphoprotein의 인산화를 어떻게 조절하며 혈소판응집을 억제시키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ordycepin가 $261.1{\mu}M$$IC_{50}$으로 collagen이 유도한 혈소판 응집을 강력하게 억제하였고, PI3K와 Akt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며 ${\alpha}IIb/{\beta}_3$에 대한 fibrinogen 결합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cordycepin은 collagen이 촉진시킨 p38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과립방출의 지표인 ATP 과 serotonin의 방출을 억제하였고 COX-1과 TXAS의 활성 및 $PLC-{\gamma}_2$ 인산화에 대한 영향없이 $TXA_2$ 생성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cordycepin은 PI3K/Akt, p38와 같은 phosphoprotein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혈소판 응집억제를 나타내는 항혈전 치료 및 예방약물로서 유용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Thrombin성 혈소판응집에 대한 Amitriptyline, Sertraline 및 Chlorpromazine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Amitriptyline, Sertraline and Chlorpromazine on the Thrombin-induced Aggregation of Platelets)

  • 최상현;이영재;신경호;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9-311
    • /
    • 1995
  • 혈소판은 혈전기전의 중요요소로, monoamine성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있어서 신경계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우울약물인 amitriptyline (AMT)과 sertraline (SRT)의 혈소판응집 억제와 이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 물질의 함량변동 및 단백인산화에 대한 영향을 chlorpromazine (CPZ)과 비교연구함으로써, 이들 약물의 혈소판응집 억제작용의 효능을 검정하고, 항 혈소판 및 항우울 작용기전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RT, CPZ 및 AMT은 thrombin (0.25 unit/ml)에 의한 혈소판응집을 억제하였으며, 각각의 IC50은 $4.37{\times}10^{-5}\;M$, $5.76{\times}10^{-5}\;M$$1.15{\times}10^{-4}\;M$이었다. 이러한 억제효과는 A23187$(1.0\;{\mu}M)$및 PMA(320 nM)에 의한 혈소판응집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thrombin은 혈소판응집과 아울러 thromboxane $B_2$$prostaglandin\;E_2$ 생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arachidonic acid 생성은 CPZ, AMT 및 SRT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CPZ, AMT 및 SRT은 cAMP 함량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SRT, AMT $(1{\times}10^{-4}\;M)$ 및 CPZ $(3{\times}10^{-5}\;M)$은 cGMP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Ins(1,4,5)P_3$ 함량은 thrombin 부하 후 10초 이내에 정점에 도달한 후 45초 이후까지 유지된다. CPZ과 AMT은 혈소판의 $Ins(1,4,5)P_3$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thrombin에 의한 증가도 유의하게 증강시킨다. SRT은 혈소판의 $Ins(1,4,5)P_3$을 증가시키나, thrombin 부하 후 증강되지는 않았다. $Ins(1,4,5)P_3$ 증가에 이어서, $[Ca^{2+}]_i$은 thrombin 부하 후 20초에 최고점에 이르며, 이러한$[Ca^{2+}]_i$, 증가는 세 약물에 의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혈소판 단백인산화에 대해서, thrombin은 $41{\sim}43\;kDa$ 및 20kDa 단백인산화를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AMT, SRT 및 CPZ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CPZ, AMT 및 SRT 등의 세 약물은 유의한 항응집효과와 thromboxane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약물에 의한 protein kinase C 활성억제 및 $Ins(1,4,5)P_3$의 함량증가는 각각 이들약물의 항응집효과 및 항우울성 작용기전과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호장근 추출물의 항혈전 효능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Antithrombotic Effect and Antiplatelet Activity of Polygonum cuspidatum Extract)

  • 양원경;성윤영;김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8-173
    • /
    • 2012
  • 항혈전 효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호장근 추출물로 혈전 용해능 활성과 혈액 응고시간 지연효과 즉 PT(pro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와 혈소판 응집억제 활성 등에 대해 항혈전 효능을 평가하였다. 혈전용해도를 측정하는 fibrin plate가 용해되어 형성된 투명환의 넓이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전 용해도가 농도의존적으로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혈액응고 cascad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액 응고시간 지연 및 단축 효과를 확인하고자 APTT와 P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PT의 경우 대조군보다 단축됨을 보였다. APTT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혈소판의 응집에 따라 형성되는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 저항의 변화로 나타나는 실험을 시행한 결과 호장근의 ADP로 유도한 결과에서 뛰어난 응집억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호장근을 향후에 혈전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잉 철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가 혈소판 활성화에 미치는 작용 (Effect of Iron Excess-induced Oxidative Stress on Platelet Aggregation)

  • 서근영;박효진;장성근;박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79-984
    • /
    • 2006
  • 과잉 철은 폐경기 여성 및 핀란드 남성에서의 심혈관계질환 증가와 예방통계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 뇌 심혈관계 질환, 암 및 노화의 원인으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자유기 반응을 자극하고 지질 과산화 반응 등을 연쇄적으로 촉진시키는데 철이 위험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뇌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중요인자인 혈소판 활성화와 관련하여 철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작용의 연구는 부족하다고 한다.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철 및 과산화수소의 자유기 형성과 관련하여 토끼 혈액에서 분리한 세정 혈소판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에서 $H_2O_2$ 단독 투여시 혈소판 응집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FeSO_4$ 단독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하여 나타내지만, $H_2O_2$ 존재 하에 $FeSO_4$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collagen 최적의 농도$(2\;{\mu}g/mL)$보다 낮은 1/10 농도$(2\;{\mu}g/mL)$)에서 $H_2O_2$$FeSO_4$의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작용이 증가되었다. 철 단독 투여시보다 과산화수소와 함께 투여시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활성화가 증대되었고 이러한 혈소판 활성화는 NAD/NADP, catalase, glutathione, mannitol, tiron 등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NADH/NADPH, SOD, aspirin 등에 의해서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NAD(H)/NADP(H) cofactor는 혈소판 응집작용을 일으키는 radical을 직접 억제하기보다 radical 생성에 관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잉철은 혈소판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H_2O_2$ 존재하에 2가 철을 촉매로 하여 Fenton 반응으로 생성된 OH. 자유기가 혈소판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혈소판에서 자유기가 arachidonic acid 대사의 활성화와 인산화 단백질로 인한 세포내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매생이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소판 응집과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psosiphon fulvecense extract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Serum Lipid Level in Ovariertomized Rats)

  • 박미화;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28-1033
    • /
    • 2005
  • 여성의 폐경에 의한 eskogen의 감소는 심혈관계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새로운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매생이 추출물을 갱년기장애를 일으킨 횐쥐에 투여하여 혈 중 지질 수준변화와 항 혈소판 응집 능을 통해서 그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매생이 추출물을 갱년기를 유도한 횐쥐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 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난소절제에 의하여 혈소판응집이 활성화되었는데,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혈소판응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난소 절제에 의해 total-cholesterol의 함량이 증가되었는데, 이는 매생이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 중 중성 지방에서는 매생이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난소를 절제하지 않는 군과 비슷한 함량으로 감소하였고, 또한 혈중 HDL-cholesterol은 매생이 추출물 모두 난소 절제한 군과 비교해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매생이 추출물이 혈액과 관련된 심혈관계 질환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작약의 혈소판 응집억제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of Bioactive Constituents from Paeonia lactiflora)

  • 박관혁;서범석;손동주;박영현;장성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357-360
    • /
    • 2003
  • 작약의 methanol 추출물은 혈소판 활성 실험에서 혈소판 응집에 대해 강한 억제를 보였다. 활성성분은 chromatography방법을 사용하여 정제하였고 NMR과 기존의 Data로 분석하였다. Compound 1b는 benzoyloxypaeoniflorin과 동일한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compound 2e는 작약의 주성분인 paeoniflorin과 동일한 화학구조를 가졌으며 , compound 3a의 분석결과 구조적 유사성은 있으나 동일한 구조식은 확인 할 수 없었지만 collagen에서 응집억제활성이 90%이상의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어 benzoyloxypaeoniflorin과 유사하게 benzoyl 기가 다른 작용기로 치환되었거나 Rl group이 다른 작용기로 치환된 형태로 추측하였다. Paeoniflorin이 collagen보다 thrombin에서 강한 억제를 보이는 것은 Ca/sup 2+/ chelate를 형성함으로 인해 calcium 대사산물이 파괴된 것으로 추측했다. Compound 3a는 paeoniflorin의 benzoyl 기에 있는 OH기나 paeoniflorin의 glycoside 5-carbon위치의 OH기 대신에 다른 작용기가 대사산물로의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