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황변화

Search Result 2,5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for Current Situation of Slope along National Roads in Korea (국내 국도변의 비탈면 현황 분석 연구)

  • Park, Jaeyoung;Shin, Changgun;Chang, Bumsu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12
    • /
    • pp.19-25
    • /
    • 2010
  • Inventory survey is process collecting data about cut slope. It's different from inspection. Collected data are being used get at status about cut slope along national roads. And we analyse between current situation and data about collapse slope. It helps finding better method about maintenance of cut slope. We found changes in the situation between data at present and data at 10 years ago. We will research collapse and counterplan by cause.

A Study to Develop Monthly C Factor Database for Monthly Soil Loss Estimation (월단위 토양유실량 산정을 위한 식생피복인자 산정 방안 연구)

  • Sung, Yunsoo;Kum, Donghyuk;Lim, kyoung Jae;Kim, Jonggun;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9-279
    • /
    • 2017
  • 토양유실로 인해 발생된 토사는 강우 유출수와 함께 하류로 흘러들어 하천 및 호소의 탁수문제를 야기시킨다. 토양유실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과 피복되어 있는 작물 등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므로 토양유실량 산정 및 유사거동특성을 계산하는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모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범용토양유실량산정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은 5개의 인자를 사용하여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정한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에 표토침식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USLE 공식을 사용한다. USLE 모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식생피복인자는 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작물에 대한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어 밭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토양유실현황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USLE 모형의 구성인자인 식생피복인자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유역별 월단위 인자값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의 4대상 유역 중 대청호 유역, 소양호 유역, 주암호 유역,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여 각 유역의 기후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였다.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기 위해 SWAT모형을 사용하여 일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출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구축된 인자의 지역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4대강 유역에 대한 작물 재배일정을 조사하여 모형에 반영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산정된 월단위 식생피복 인자는 모든 작물에 대해 작물이 파종되는 시점에서 수확되기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작물에 따라서 그리고 동일한 작물일지라도 유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는 토양유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피복변화를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로써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atus of software education in participating schools of ICILS 2018 field trial (ICILS 2018 예비검사 참여 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 현황)

  • Jeon, Seongkyun;Lee, Eunkyung;Park,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33-34
    • /
    • 2018
  •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초 중학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화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을 펼치며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실제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 정보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ICILS 2013 이후 우리나라의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CILS 2018 예비검사에 참여한 전국 32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 PDF

Current Issues and Prospects on the Aerial Monitoring (국토 공중모니터링 현황과 발전방향)

  • Shim, Hyu-Seok;Park, Chung-Gi;Kim, Yeon-Mi;Hwang, Sun-Young;Park, Key-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59-366
    • /
    • 2008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변화로 인한 재난, 재해의 발생 빈도가 빈번해지고 규모가 커지면서 지구시스템의 변화를 이해, 감시, 예측하기 위한 지구관측(Earth Observation)관련 국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지구관측에 필수적인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공중모니터링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논문은 국내외 공중모니터링 관련 해외 협력체계 및 연구 현황을 살펴본 후, 국내의 공중모니터링 체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연구 및 기술적 측면, 조직 및 제도적 측면, 전략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인 공중모니터링 방안 수립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고 향후 국내 전지구관측시스템(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구축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Estimating the Vegetable Cultivation Complex Area using Aerial Photogrammetry (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채소주산단지 재배면적 추정 연구)

  • BAE, Kyoung-Ho;HAM, Geon-Woo;LEE, Jeong-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108-118
    • /
    • 2018
  • Recently, agricultural sector apply ICT technology such as Smart Farm to pursue innovation in the changing situation that is emerging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is innovation requires techniques for forecasting and analyzing in various data bases and spatial information provides such infrastructure data. In this study, the cultivation area of Chinese cabbage, radish, garlic, onion, and red pepper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yea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cope with sudden changes in vegetable crops and changes in cultivated area caused by weather changes to supply and demand of major vegetables and price instabi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ime series information of vegetable complex will be used as efficient agricultural environment observation data, as well as interpretation of various spatial ranges such as the estimation of cultivation area using remote sensing.

Demand Forecasting of Direct Mail Considering the Changes of Market Environments (시장환경 변화를 고려한 국내 다량우편물 물량예측)

  • Lee, Deok-Ju;Kim, Gi-Hong;An, Jae-Gyeong;Kim, Jong-Hwa;Lee,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84-7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량우편물 시장의 물량 현황을 고찰하고,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물량예측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량우편물 수요를 예측함에 있어서 우편 물량의 변화가 경기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과 통상우편의 이메일 대체 현상이 우편 물량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하에, 이러한 우편시장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우편 물량 예측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nergy Policy to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in Germany (I) (독일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에너지정책에 관한 고찰 (I))

  • Ahn, Young-J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
    • /
    • pp.135-148
    • /
    • 2013
  •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energy polic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at is debat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by the case of Germany among developed count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rection, strategy and measure of energy policy which ar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Energy policy of German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propulsion of the energy policy trying to overcome the crisis of energy resources and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irstly, this study reviews Germany's supply and consumption of energy and trends of greenhouse gas emission, and secondly discusses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Germany's energy policy.

  • PDF

Proposal of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for Land Change Detection (국토변화탐지를 위한 지형분류체계 개선안)

  • Park, Jun-Ku;Noh, Myoung-Jong;Cho, Woo-Sug;Bang, Ki-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2
    • /
    • pp.9-17
    • /
    • 2011
  • For the exact status of the land such as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land use classification,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utilized in several organizations and agencies. However, those classification systems are limited to detection of land change and it's also not suited for the extraction of land changed. In this study, we would proposed a standar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presents both in natural and artificial change of land effectively. Based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levant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e proposed a standar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e evaluated the accuracy with using automatic feature classification based on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pre-knowledg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Evaluating Impact of Disaster Pattern Change on Disaster Risk Sectors (재해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위험지구 영향평가)

  • Yoo, Ji-Young;Kim, Tae-Woong;Choi, Hy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6-380
    • /
    • 2012
  • 자연재해위험지구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역과 자연재해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한 주변지역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시장 군수 구청장은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하여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자연재해위험지구로 지정 고시한다. 2010년에 특별 재고시 되어진 재해위험지구 지정현황을 비롯하여 최근 지정해제 등 변경사항을 고려하여 총 683개(2011년 현재)의 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침수위험지구는 401개(전체의 59%), 붕괴위험지구는 128개(전체의 19%), 유실위험지구는 98개(전체의 14%), 취약방재위험지구는 28개(전체의 4%), 고립위험지구는 18개(전체의 3%), 해일위험지구는 10개(전체의 1%)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특별 재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2011년도 현황을 바탕으로 기 지정된 재해위험지구에 대한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침수위험의 변화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는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기존의 침수영향변화를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수계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복합 영향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