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존

검색결과 1,668건 처리시간 0.03초

문자기반 매체에서 느끼는 사회적 현존감: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사례 (Perceived Social Presence in the Text-Based Media: Mobile Communication Case)

  • 이해경;이혜정;이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4-174
    • /
    • 2013
  •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와 같은 문자기반 매체의 활용도가 증가하여 대인간의 주요 의사소통 매체로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기반 매체들에서 사회적 현존감이 서로 다르게 인지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 매체별로 인지되는 사회적 현존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설문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체가 사회적 현존감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매체별로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 순으로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인식되고 있었고, 각 매체별 사회적 현존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사회성이 높고, 20대 이하이며, 학생일수록 다른 그룹들보다 사회적 현존감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현존감이 실제 사용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찾아낸 본 연구에 후속으로는 어떠한 매체적 특성이 사회적 현존감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새만금 수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경년(2001-2010) 변화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egion)

  • 여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26-4333
    • /
    • 2012
  • 새만금 방조제 건설기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새만금 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조사 시기 및 조사 정점에 따라 57 - 85,219 cells/ml의 큰 변화를 보였다. 새만금호 내부 수역은 담수 및 해수의 유입량 변화와 계절변화에 기인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시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담수 정점들은 상시적으로 높은 현존량이 기록되어 녹조발생이 잦았으나 방조제 밖 해수역의 현존량은 보편적 범위에 있어왔다. 장기적 관점에서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2006년 4월)을 전후하여 비교할 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FPS게임의 사용자 현존감과 플레이어 경험에 대한 키워드 연구 - Steam 리뷰와 게임 이용 시간을 중심으로 (Key words research of players' experience and presence in FPS genre-focusing on game play time and Steam reviews)

  • 최영우;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3-30
    • /
    • 2021
  • 본 논문은 스팀(Steam)의 리뷰 데이터를 활용하여 게임이용시간에 따른 FPS에서의 사용자 현존감 경험과 플레이어 경험을 분석했다. Python을 활용하여 크롤링을 통해 데이터를 얻었다. 분석 결과 게임 이용 시간이 적은 집단에서는 통제 가능한 물리적 현존감과 통제 불가능한 사회적 현존감에 관한 이슈가 나왔고 게임이용시간이 많은 집단에서는 이전 집단에 있던 물리적 현존감 요인이 통제 가능한 사회적 현존감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플레이어 경험 분석을 통해 게임 플레이 요인인 "반동(recoil)"이란 키워드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양만 잘피밭에서 잘피와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and Epiphytic Algae in Eelgrass Beds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남기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6-6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잘피 및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을 연구하였다. 잘피의 잎 길이는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100cm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봄철에 접어들면서 잎 길이가 계속 증가하여 여름철인 6월과 7월에는 조사기간 중 최고치인 200cm에 달하였다. 그러나 가을철에는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잘피의 현존량은 가을과 겨울에 낮았으나, 봄부터 현존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20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잎 길이의 계절변동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잘피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착생해조류는 봄과 여름철에 Calliophyllis rhynchocarpa, Champia sp. 등이, 가을과 겨울철에 Polysiphonia japonica, Lomentaria hakodatensis 등이 다른 종들에 비하여 우점하였다.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3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수온이 증가하는 3월부터 현존량이 감소하여 여름철에는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9월부터는 현존량이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착생해 조류의 현존량은 잘피밭 식물 현존량의 $15\~20\%$를 차지하고 있었다. 잘피의 현존량과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피의 현존량은 수온과정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관한 연구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umgang River, Korea)

  • 이석구;부성민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47-353
    • /
    • 2000
  •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알기 위하여 현도, 마암, 장암, 나포에서 1998년 10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1회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현도에서 7월에 $39.5{\times}10^3cells ml^{-1}, 마암에서 7월에 112.1{\times}10^3cells ml^{-1}, 장암에서 7월에 125.5{\times}10^3cells ml^{-1}, 나포에서 8월에 288.6{\times}10^3cells ml^{-1}로 최대였으며, 현도와 마암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5.0{\times}10^3Cells ml^{-1}이하였고, 나포에서는 5.0{\times}10^3Cells ml^{-1}$ 이상이었으며, 장암은 그 중간이었다. 각 조사 정점의 현존량은 마암이 현도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장암이 마암보다 1.3배, 나포는 장암보다 2.1배 높아서,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현존량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장암의 현존량이 최대였고, 다른 계절에는 나포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의 시공 분포 변화는 중심형의 소형 규조류 Cyclotella spp.와 Stephanodiscus spp. 및 사상 규조류 Aulacoseira spp.의 번무에 기인하였다.

  • PDF

우리는 어떻게 공동의 세계에서 살 수 있는가? : 세계 개시의 각자성과 공동성 (How can We Live in the Common World? - Individual and Common World-disclosure)

  • 설민
    • 철학연구
    • /
    • 제116호
    • /
    • pp.79-103
    • /
    • 2017
  • 하이데거에 따르면, 세계는 현존재의 실존에 의존하여 개시되는데 현존재의 실존은 우리 자신 각자에 따라서 상이하다. 이에 대해 현존재의 각자적 실존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공동의 단일한 세계가 성립할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본고는 이러한 의문을 둘러싼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하이데거의 1928/29년 여름학기 강의록을 토대로 세계 개시의 각자성과 공동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하이데거는 그 강의록에서 공동 존재(Mitsein)와 진리에 관한 방대한 논의를 펼친다. 그에 따르면, 진리는 개별 현존재에 의해 사유화될 수 없도록 본질적으로 공동적이기 때문에 현존재가 접하는 진리의 공간은 다른 모든 현존재에게도 이미 개방되어 있다. 그런데 현존재 각자가 처하는 진리의 공간이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은 그것을 포괄하는 공동적 개방 영역의 존립을 함축한다. 그리고 이 공동적 개방 영역이 세계에 다름 아니다. 세계는 존재론적으로 이미 공동으로 개시되어 있고 이에 근거하여 각 현존재는 자신의 인생역정과 상황 등에 따라 자신의 세계를 개시하는 것이다.

로커티브 미디어의 증강현실과 현존감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Presence and Augmented Reality in Locative Media)

  • 최승영;장우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4
    • /
    • 2011
  • 이 연구는 정성적인 방법론을 통해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의 증강현실에 의해 사용자가 경험하는 현존감 모형과 사회적 현존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인천 백마도시자연공원 현존식생 유형과 특성 (Actual Vege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engma Urban Natural Park in Incheon)

  • 조우;김종엽;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8-366
    • /
    • 2005
  • 본 연구는 인천시 백마도시자연공원을 대상으로 현존식생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산림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위해 실시하였다. 현존식생유형 분석 결과 총 39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인공식재림 유형중 아까시나무림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34.0\%$), 자연식생 유형은 신갈나무림이 가장 넓은 면적을 점유하고($12.1\%$) 있었다. 현존식생유형의 층위구조와 식생발달 경향, 환경요인 등을 기준으로 현존식생 특성도를 작성하여 총 16개 유형으로 재분류하였으며 각 유형 별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55~84세 한국 성인의 현존치아수와 구강기능의 관계 (The Association between Number of Present Teeth and Oral Function in Korean Adults Aged 55~84 Years)

  • 김한나;김기림;김진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0-347
    • /
    • 2015
  • 본 연구는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만 55~84세 한국인의 현존치아수와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주관적 건강수준, 그리고 구강기능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성별과 교육수준, 부정구강진료여부, 주관적 건강 및 구강 건강상태, 씹기와 말하기 행동이 현존치아수와 관련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중, 성별에 따른 결과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현존치아수가 1.12개 적었으며(p<0.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현존치아수가 많았다. 부정치과진료시술 유무와 현존치아수의 분석 결과에서는 부정치과진료 경험자가 비경험자보다 2.43개 적은 치아를 가지고 있었다(p<0.001). 주관적 건강 및 구강건강상태는 현존치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기능 요인과 현존치아수의 관계에서 씹기 행동과 구강기능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특히 말하기 행동은 불편함의 정도가 높다고 응답한 그룹일수록 현존치아수가 통계적으로 확연하게 감소하였다(p<0.0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강기능 중에서 씹기보다는 말하기가 현존치아수와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만 55~84세 한국인의 구강건강 및 구강기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로커티브 미디어의 증강현실과 사회적 현존감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Social Presence and Augmented Reality in Locative Media)

  • 최승영;장우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88-101
    • /
    • 2011
  • 로커티브 미디어는 단순히 기존 미디어에 물리적인 좌표값이 더해진 것이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의 공간, 장소, 위치를 미디어의 속성으로 포섭하였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현재 로커티브 미디어 콘텐츠들이 '위치 정보에 기반'하고 '증강현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채 제작되는 경향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할 때 매체 이용자들의 심리적인 경험 관여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에서 로커티브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이 어떠할지 의문을 느꼈다. 특히 로커티브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용자들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이 기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의 특징과 상충되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의문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현재 로커티브 미디어 환경에서 적절한 현존감 모형을 제안하고, 매개화된 상호작용의 채널로서 로커티브 미디어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현존감의 특성을 알아보며, 여기에 로커티브 미디어의 '위치 정보 기반' 속성과 '증강현실'이 기여하는 바를 정성적인 방법론으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