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혁신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7초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Why Again Record Management Innovation? : Toward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Governance)

  • 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165-208
    • /
    • 2018
  • 이 글에서는 2017년 새 정부가 들어선 지금 이 시점에 왜 다시 기록관리혁신을 말하는가에 대해 밝히고 혁신의 방향과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지금의 혁신은 참여정부 때의 혁신 정신을 잇되, 내재적 비판을 전제로 하여 그 방법과 내용을 새로이 해야 한다. 이 글은 혁신의 기본 방향을 "모두와 함께 하는 기록관리"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민주적 지향을 갖되, 현장의 주체들을 위해, 현장에 있는 모든 이들이 함께 혁신을 진행하자는 것이다. 정부 공공기관은 물론 시민과 기업들 모두가 기록관리의 현장에서 그 과정에 참여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주체들이다. 민주주의의 현장도, 역사의 현장도, 그리고 기술혁신을 거듭해가는 세계의 흐름도 모두 중요한 기록관리의 현장들이다. 이 글은 이들 6개의 현장에서 지금 바로 진행해야 할 12개의 전략과제와 35개의 세부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최신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고, 각 현장의 주체들과 소통하며, 모든 의사결정을 협치에 의해 내리는 방법적 혁신을 동반한 기록관리 혁신의 진행을 제안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송위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

현장 중심적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of the Spot)

  • 김기정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2호
    • /
    • pp.23-29
    • /
    • 2017
  • 본 연구는 제조업의 위기탈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현장 중심적 경영혁신 추진 내용을 정성적 성과와 정량적 성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현장 중심적 경영혁신은 관리자 중심의 관리방식에서 현장관리사원 중심의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여 현장관리 사원이 당면한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해가도록 도와주고 지원해 주는 조직으로 현장경영 교육을 통해서 일과 일이 아닌 것을 구분,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낭비요인을 찾아 개선하고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공정기준을 설정한다. 현장관리사원은 작업을 하기 전에 내가 할 일의 공정기준을 정확히 숙지하고, 사용할 원자재의 규격이 일치하는지 자주 검사를 실시하고, 자주 검사를 실시 후 규격을 검토하여 이상이 없으면 다음 공정에 인계해 주는 방법으로 교차 검증을 실시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급변하는 국제적 경영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경영혁신 기법이 요구되는 바, 본 연구가 이를 위한 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한 데 그 의의가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안전혁신시스템 (Innovation Systems for Industrial Safety in 4th Industrial Evolution)

  • 서용윤;이상훈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1276
    • /
    • 2017
  • 산업이 고도화되고 기술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생산현장에서의 사고와 재해는 아직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시스템의 대규모화, 복잡화, 다양화 등에 따라 나타나는 불안전한 상태(unsafe condition)와 근로자의 안전불감증, 낮은 학습효과, 안전문화 비활성화 등을 포함하는 불안전한 행동(unsafe behavior)에 기인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인간과 기계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데이터 가용성과 알고리즘 우수성이 확보되면서, 산업현장에서도 시스템과 공정안전을 위해 최신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품질 관리, 고장분석, 작업환경관리, 보건관리 등 생산관리의 다양한 범위에 새로운 산업안전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드론,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의 사례를 통해 안전한 생산현장은 물론 신뢰성할 수 있는 공공 및 사회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건축공사 현장관리자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Individual Factors of Influencing the Innovative Behavior of Building Construction Field Managers)

  • 안성훈;발래 마이클 부룬다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55
    • /
    • 2015
  • 성과향상을 위해서는 현장 조직과 구성원에 대해서도 혁신을 도입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건설업은 보수적이며, 현장관리자도 보수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혁신에 대해 저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공사 현장관리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셀프리더십, 피드백추구행동, 직무몰입 중에서 셀프리더십의 행동지향 전략, 직무몰입이 혁신행동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결혼여부, 경력, 직급, 고용형태에 따라서 혁신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장조직의 직무수행관리 체제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현장의 관리혁신에 의한 조직변화 (Organizational Changes through the Innovation on Construction Management)

  • 송상훈;김우영;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23-326
    • /
    • 2002
  • 최근 수주 물량의 급격한 감소, 업체의 무분별한 난립, 해외시장 진출의 어려움과 같은 외부적 환경 요인은 건설업체로 하여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체적인 체질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대형건설업체를 위주로 다양한 경영 혁신이 시도되고 있으며, 정보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업무 효율과 회사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노력은 사업구조의 개편이나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 등을 수반하게 마련이지만, 업무를 수행하는 당사자인 조직과 구성원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과에서 조직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건설업체 내 현장 조직이 가지는 변화의 가능성과 그 방향을 검토하였으며, 현장 관리업무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관리혁신에 의한 조직 재설계 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사회복지조직 혁신적 척도 개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과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n Inventory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cusing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Child Welfare Institutions)

  • 신준섭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177-197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적 측정을 위한 조직혁신성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해 먼저 문헌분석과 전문가 조사로 조직혁신성 측정을 위한 37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예비 문항에 대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178명 대상의 1차 설문조사자료로 실행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7요인(리더십 혁신, 팀워크 혁신, 업무 혁신, 프로그램개발 혁신, 환경관리 혁신, 프로그램기술 혁신, 아이디어 혁신), 31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들 7요인 구조의 적절성은 2차로 실시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409명 대상의 설문조사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또 조직혁신성 척도의 7개 하위 요인 모두는 조직혁신문화 변인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정(+)의 유의한 관계로 나타나 조직혁신성 척도의 준거타당성이 확인되어 추후 연구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적 측정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지능형국토정보 테스트베드 설계에 대한 연구 - 측량장비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esign of Korea Land Spatialization Program's Test-bed - Focused on Surveying Equipments -)

  • 송기성;박재민;우희숙;김병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05
    • /
    • 2011
  •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은 상용화가 가능한 공간정보기술개발을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형 국가R&D사업이다. 본 사업은 연구 성과물이 실제 현장에 바로 적용될 수 있는 검증된 연구 성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세종시를 테스트베드 지역으로 선정하여, 현장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연구 성과물 현장실험을 위해서는 국내외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하는 현장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연구성과물 중 최신 측량장비의 성능 검증을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과 세종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테스트베드를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