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재료 강도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35초

고 Mn강의 용접 열영향부에서의 기계적 특성평가

  • 유재홍;김상훈;박영환;이창희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25-25
    • /
    • 2010
  • 8 wt.% 망간 (Mn) 이 함유된 마르텐사이트계 고 Mn강은 고강도용 강재로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재료이다. 그러나, 다량의 망간의 함유로 인한 용접성 저하로 상용화를 위해서는 용접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leeble simulator 를 통해 열영향부를 재현한 후 local brittle zones(LBZs) 을 규명하였다. 모재는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EPMA) 및 X-Ray Diffractometer(XRD) 로 분석결과 다량의 Mn 함유로 인해 lath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과 소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었다. 용접부에서 모재까지 Vickers 경도계로 경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 coarse-grained heat affected zone (CGHAZ) 에서 fine-grained heat affected zone (FGHAZ) 까지 경도 증가 후 subcritical heat affected zone (SCHAZ) 까지 급격한 경도 감소 거동을 보였다. 열영향부의 미세조직은 투과전자현미경 (TEM)으로 분석하였다. 연성취성천이온도 (DBTT) 측정을 위해 온도 구간을 상온, $0^{\circ}C$, $-20^{\circ}C$, $-40^{\circ}C$, $-60^{\circ}C$, $-80^{\circ}C$으로 설정하여 charpy impact test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coarse-grained heat affected zone(CGHAZ) 에서 조대한 결정립으로 인해 낮은 충격값을 보였다.

  • PDF

UHPC 바닥판 증기양생 현장이음부의 최소철근겹침이음길이 (The Minimum Lap-spliced Length of the Reinforcement in the Steam Curing UHPC Bridge Deck Slab Joint)

  • 황훈희;박성용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이음부가 초고성능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정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이음부 철근의 최소겹침이음길이를 제안하였다. 총 6개의 실험부재를 제작하였으며 4점 휨 실험에 의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음부는 UHPC의 높은 부착특성으로 인하여 단순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인 구조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철근겹침이음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이음부의 설치에 의한 UHPC의 인장기여도 감소에 따라 약 30% 수준의 휨강도 감소가 발생되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150 mm 이상의 철근겹침이음길이를 확보하면 연속된 철근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유사한 강도와 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부 투수층을 가지는 제방침투 수리모형실험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infiltration in riverbank and its foundation)

  • 김지현;이남주;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54-658
    • /
    • 2012
  • 국내에서 수행한 대부분의 제방 침투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는 제체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투수성 기초지반을 고려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개정된 제방설계기준에 따른 1:3의 비탈경사와 투수성 기초지반을 가지는 제방의 침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향후 제방침투 수치모의에 필요한 검보정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낙동강 제2하구둑 건설 현장에서 제체의 재료를 채취여 입도분석과 들밀도시험을 통해 제방의 건조단위중량과 다짐도 및 제방의 투수계수는 각각 $1.372g/cm^3$, 93%, 1.35 m/day이며 통일분류법의 SM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0.45 m, 0.50 m, 0.55 m, 0.60 m의 4가지 수위(각각 Case-1~4) 조건에 대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실험을 계속한 결과 각각의 실험조건별 침윤선은 대체로 동일한 양상을 보였지만 몇 지점에서 위압수두계 수위의 이상점이 발견되었다. 제방을 해체하면서 원인을 찾아본 결과 머드볼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침투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친환경 주입재를 사용한 중압그라우팅 기법의 차수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ervious Effect of Middle Pressure Grouting Techniques in Us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Impregnation Materials)

  • 천병식;김병홍;도종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25-3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주열식말뚝 배면의 차수를 목적으로 쓰이는 SCM공법의 지반강도와 투수계수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SCM공법은 2중관 롯드를 사용하여 중압($981{\sim}9,810kPa$)으로 지반을 절삭하고 충전 및 혼합하는 공법이다. 이는 시멘트와 알카리용탈이 최소화된 친환경적인 약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1축압축시험, 어독성시험 등을 통하여 화학적인 안정성을 실험하였고, 그 결과 내구성이 높고 조기강도 발현이 되며 알칼리용탈이 최소화된 친환경적인 약액재료임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현장시험을 통하여 구근과 차수벽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사용재료 및 양생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조기강도발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arly Strength Development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Curing Condition and Used Materials)

  • 이상수;송하영;이지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21-729
    • /
    • 2008
  • 본 연구는 조기강도 발현용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및 강도특성을 비롯한 공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배합시험에서 각 실험 요인 및 수준을 설정하여 검토한 결과 시멘트의 경우 OPC보다 CHC와 HESPC가 우수한 품질 성능을 나타냈으며, PNS계 혼화제보다 PC계 혼화제가 경시변화 및 조기강도 발현 측면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양생 온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냈는데, 양생온도 $12^{\circ}C$ 이하의 온도에서는 조기강도 발현에 상당한 취약성을 나타냈으며 콘크리트 종결 직후의 양생온도에 의해 조기강도 발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MPa/18 hr의 강도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OPC는 최소 $17^{\circ}C$ 이상, CHC는 $14^{\circ}C$ 이상, HESPC는 $11^{\circ}C$ 이상의 양생온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물-시멘트비에 따른 강도특성은 물-시멘트비가 낮을수록 우수한 강도발현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현장에서 활용된다면 조기강도를 앞당김으로써 공사기간 단축에 의한 공사원가 절감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속도로 노상처리를 위한 소일시멘트 적용 (Adaptation of Soil Cement for Sub base Treatment in Highway)

  • 장용채;김홍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26-131
    • /
    • 2003
  • 우리나라 서남권에 해당하는 서해안고속도로의 한 부분에 해당하는 전라북도 고창지역은 점토분이 많이 내포돼 있는 황토가 많다. 황토는 수박이나 고구마 같은 작물의 재배에는 양질의 토사이지만, 도로를 구축하기 위한 노상재료로 사용하는데는 원하는 강도값을 얻기가 힘들어 많은 애를 먹인다. 본 연구는 대상구간의 지역은 절토부의 노상재료가 원하는 재료의 품질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노상층의 재료 특성을 보면, #200번체 통과량이 25∼82%정도이며 지하수위가 거의 노상면과 일치하여 자연함수비 과다로 시공시 노상토의 지지력 확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지지력이 부족한 현장에 적절한 절토부 노상지지력의 확보방안을 세워 원하는 공정을 추진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튼튼한 고속도로를 건설하는데 있다.

  • PDF

서해안 고속도로의 노상처리를 위한 Soil-cement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daptation of Soil-cement for the Subgrade Treatmentin the Seohean-Expressway)

  • 장용채;김홍종;전한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5-489
    • /
    • 2003
  • 우리나라 서남권에 해당하는 서해안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전라북도 고창지역은 점토분이 많아 내포돼 있는 황토가 많다. 황토는 수박이나 고구마 같은 작물의 재배에는 양질의 토사이지만, 도로를 구축하기 위한 노상재료로 사용하는데는 원하는 강도값을 얻기가 힘들 토사였다. 이 연구 대상구간의 지역은 절토부의 노상재료가 원하는 재료의 품질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노상층의 재료 특성을 보면, #200번체 통과량이 25~82%정도로 지하수위가 거의 노상면과 일치하여 자연함수비 과다로 시공시 노상토의 지지력 확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지지력이 부족한 현장에 적절한 절토부 노상지지력의 확보방안을 수립하여 원하는 공정을 추진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튼튼한 고속도로를 건설하는데 있었다.

보강토옹벽 뒷채움재료로서 쇄석혼합토의 강도특성 연구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oils mixed with Crushed Stone as a Backfill of Reinforced Earth Wall)

  • 박종범;주재우;김현두;나현호;한상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7-73
    • /
    • 2010
  • 보강토 옹벽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양질의 뒷채움 재료를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질의 재료가 부족하여 부득히 부족한 토사대신 현장 유용토인 쇄석을 혼합하여 보강토 옹벽을 축조한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의 뒷채움 재료로서 쇄석혼합토를 사용할 경우 혼합비에 따른 입도분포, 진단특성 및 인발특성에 대해서 각각 실험을 통하여 혼합비에 따른 특성변화들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쇄석의 함유량에 대해 입도 선정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는데, 시험결과 입도19mm이하의 쇄석을 20%까지 혼합한 경우 뒷채움재료의 입도기준을 만족하였다. 전단강도정수 및 인발정수를 구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는데, 정수들은 쇄석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쇄석혼합토가 뒷채움재료로 사용될 경우 본 연구결과는 설계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강토구조물 뒤채움 재료로서 화장풍화토의 적용성 (Application of Weathered Granite Soils as Backfill Material of Reinforced Earth Structure)

  • 김상규;이은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1호
    • /
    • pp.63-72
    • /
    • 1996
  • 현행 시방서는 입상토만을 보강토 뒤채움재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경제적인 보강토체를 구축하고자 한다면 현장유용토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특히 국내에는 매우 넓은 범위에 화강토(화강암풍화토)가 분포되어 있어 현장 유용토의 대분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 재료의 적합성 여부가 보강토공법 채택의 주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화강토를 대상으로 입도분포를 조사하여 현행 시방규정에 따른 적용의 한계성을 고찰하고 미세립 함유율과 함수비의 변화에 따른 전단강도의 변화가 화강토의 적용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본 연구결과 보강토 뒤채움재로서의 화강토는 배수시설 또는 배수성 보강재를 사용하여 불포화상태(배수상태)를 유지하면 보다 많은 범위에서 이용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 PDF

철강산업부산물을 사용한 방조제용 그라우트 재료 및 그 특성 (Properties of Grout Material for Seawall Using Slags from Steel Making Industry)

  • 김하석;김기석 ;백봉현;육심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23-530
    • /
    • 2022
  • 해수의 흐름이 존재하는 방조제 제체 보강공사 시 가장 큰 문제는 재료의 유출로, 콘크리트의 중력식 타설은 원활히 공극을 채우기 어렵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멘트는 해수에 분산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경화 후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인근 환경에 악역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주입이 가능한 겔형태의 주입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결성을 띠는 전기로환원슬래그 및 고로슬래그를 활용하여 초기 강도와 해수 침지에 따른 내구성 향상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실리카계 약액과의 반응을 통해 흐름성을 갖는 겔형태의 주입재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겔의 흐름성은 배합에 따라 105~143 mm 수준으로 현장모사 시험을 통해 외부 유출 없이 공극을 채울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