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상론

Search Result 1,17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현상학적 측면 - 박정일 박사와 김영건 박사의 비판에 대한 반론 -

  • Park, Byeong-Cheo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7 no.2
    • /
    • pp.47-70
    • /
    • 2004
  • 필자는 이 글에서 박병철의 저서 Phenomenological Aspects of Wittgenstein's Philosophy (Kluwer 1998)에 대한 박정일 박사의 서평과 김영건 박사의 비판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현상학과 현상론의 구분이 불분명하다는 비판에 대한 반론에서 시작하여, 유아론에 대한 비판을 반박하고 있으며, "논리-철학 논고"에서의 대상의 본성에 대한 견해도 밝히고 있다. 필자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시도가 여전히 불투명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놓고 벌어지는 다양한 해석의 스펙트럼의 한 부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PDF

Brief Historic Review and contemporary Topics of Interest on Plasticity Momelling (소성 모델링의 간략한 역사적 고찰과 현대의 관심분야)

  • 소한욱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4
    • /
    • pp.5-12
    • /
    • 1992
  • 고체역학의 구성은 크게 탄성론과 소성론(혹은 비탄성론)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회복가능한 변형을 후자는 회복불가능한 변형을 다루며, 이 두 이론은 응력과 변형의 실험적 관찰에 기초하기 때문에 거시적인 현상론의 성격을 갖고 있다. 체계적으로 잘 정리되어있는 탄성론과는 달리, 소성범위안에서의 복잡한 응력-변형도 관계는 종종 소성론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점이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 완전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원인이나, 지난 수십년 동안 소성론의 기본틀에 대한 많은 진전이 있었다. 본 고에서는 소성론의 역사에 대한 "간략한" 역사적 고찰과 탄소성 "대변위"를 연구하는 현 역학사회의 관심의 촛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소여, 현상학, 모순

  • Kim, Yeong-Geon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7 no.1
    • /
    • pp.41-65
    • /
    • 2004
  • 이 글은 박병철과 이승종의 저술에 대한 박정일의 서평을 중심으로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몇몇 문제점을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주장한다. 첫째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현상학적 양상을 추적하고 있는 박병철의 현상학의 개념이 명백하지 않다. 둘째 "논리철학논고"의 유아론은 경험적 유아론이 아니라 선험적 유아론이다. 셋째 "논리철학논고"의 대상은 감각자료가 아니다. 넷째 우리에게 주어진 소여는 논리적인 것이다. 다섯째 박병철은 이 논리적인 것을 경험에 근거지우는 실책을 범하고 있다. 여섯째 모순의 형식적 개념에 대한 이승종의 비판은 성공적이지 않다. 일곱째 이것은 박정일이 지적한 것처럼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를 범했기 때문인 것처럼 보인다. 여덟째 모순된 규칙에 대한 이승종의 이해는 박정일이 지적하듯이 잘못되었다.

  • PDF

Molecular Approach for Electrical Engineering (전기공학에서의 분자공학론적 방법론)

  • 성영권
    • 전기의세계
    • /
    • v.20 no.5
    • /
    • pp.23-26
    • /
    • 1971
  • 본고에서는 Hippel교수가 제창하고 있는 분자공학론적인 사고방식을 대학인이 빨리 흡수 소화하여 보급하므로서 급진해 가는 산업의 추세에 발맞추어 종래의 현상론적인 Ready made식 방법의 보수성에서 탈피하여 혁신적인 Order made식 방법으로 전환시키게 노력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산업의 발전 촉진제로서의 조력이 되며 대학인으로서의 직무를 완수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럼 분자공학론적방법이란 무엇인가 설명해 보기로 한다.

  • PDF

A Fundamental Study for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Bum-So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71
    • /
    • pp.250-273
    • /
    • 2015
  •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represents a starting point in the union of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analogue and digit, expression and perception, person and lived-world, rhetoric and ethic, constitute human communication. A phenomenological definition of communication requires that analysis proce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reduction, interpretation. This analysis thus far has taken up the general issue of fact versus value, consisting in a subdivision into intention and punctuation on the factual side, and convention and legitimation on the value side. It has treated of the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and metaphysics, punctuation and epistemology, convention and logic, and legitimation and axiology.

  • PDF

A Review of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현상학적 관점을 반영한 학교수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 Cho, Cheong-S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6 no.4
    • /
    • pp.383-408
    • /
    • 2012
  • This study is to review phenomenology as a legitimate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Phenomenology is considered a perspective which will be able to provide varieties of viewpoints for mathematics education. Phenomenology is a research about phenomena and experience,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o reveal the meanings from persons who experience something that researcher is interested in. Through such review,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phenomenology has potential possibility to open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In order to doing thi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major concepts of phenomenology, phenomenological attitudes for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major conclusions are as the followings: the focus of lived-experi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life world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essence of general phenomena and the meanings of experience general in mathematics education.

회절 현상을 이용한 소음원 탐지

  • 나희승;최강윤
    • Journal of KSNVE
    • /
    • v.8 no.1
    • /
    • pp.29-35
    • /
    • 1998
  • 본 원고에서는 여러 소음 규명론에서 간과하기 쉬운 회절현상(diffraction phenomena)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회절현상을 이용한 소음원 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소음원 규명론의 일반적인 개념으로 생각하면 회절현상을 하나의 전달함수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역전달 함수인 역회절현상(inverse diffraction phenomena)을 수치적으로 모델링한다. 이 방법은 실제 실험에서 계측된 음압과 역회절 모델을 이용하여 소음원을 규명하는 방법이다. 소음원 탐지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소음원의 가시화 일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두가지 소음원 가시화 방법을 소개한다.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이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TGV객실내에서의 소음원 규명을 수행한다.

  • PDF

저온에서의 전기재료

  • Cho, Cheol
    • 전기의세계
    • /
    • v.23 no.1
    • /
    • pp.21-25
    • /
    • 1974
  • BCS이론-고체양자론의 입장에서 초전도성을 구명함 - 즉 paired electron의 기원 paired electron과 normal electron간의 energy gap의 존재 자속의 양자화 Josephson tunmeling effect등에 대해서는 지면관계로 생략했고 주로 현상론적으로 극히 개략적으로 기술하게 되었으며 특히 응용부분에서는 극히 최근의 동향만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 PDF

Critics on Ludwig Boltzmann's Methodology of Science (루드빅 볼츠만의 과학 방법론에 대한 역사-비판적 검토)

  • Moun, Jean-sou;Lee, Woo-buong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7
    • /
    • pp.57-84
    • /
    • 2011
  • As for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on the one side, Ludwig Boltzmann was declined to Scientific Realist and at the same time Epistemological Idealist. But on the other. He was neither fully nor consistently either one of them, because of rejecting the causal realism of the former and the belief in absolute certainty of the latter. Is there nevertheless any evidence that he had a coherent world view of his own? Yes. In short, he seems to identify his own position with what is called a mind-matter identity theory. In 1897, he supported that psychological processes are identical with certain processes in the brain(realism). And in 1903, he said : "Physics is not separated from psychology. They are only different sides." But Boltzmann did not explain concretely the possibility of this identity. So I tried to construct one theory of identity which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problems n the physical world, though whether it would work for a full-scale world view which includes both physical and mental phenomena remains problematic. If light phenomena, for example, tend to be measured in terms of some contexts as if light were a wave and in others as if light were a particle, then one may be able to reasonably suppose that light has whatever characteristics in itself which it must have in order to seem like a wave under some conditions of measurement and like a particle in others. If this theory is provisionally to mental phenomena as well, it would mean that reality has those characteristics in itself which it must have to appear as it does to the various faculties of the mind and as it is measured in different physical situations. This is probably not what Boltzmann meant by his theory of identity, since it is very ontological and metaphysical. But in my opinion it is by far the most reasonable identity theory.

A Literature Review of Spillover Mechanisms and Methodology to Evaluate the Spillover Effect of Public Funded R&D Programs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파급효과 측정을 위한 기술파급 메커니즘과 측정 방법론에 대한 문헌연구)

  • Lee, Younsuk;Yoon, Hyoung-No;Choi, Jeong-W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3
    • /
    • pp.225-260
    • /
    • 201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literature review of the mechanisms and methodology for technology spillover,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estimating the technology spillover effect of public funded R&D programs. Our research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we investigate what technology spillover is and how it works. Second, we review the methodology used to empirically measure technology spillover,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Third, we identify the gap between the spillover phenomenon and its estimated results, caused by the limitations of the methodology, and discuss the challenges in measuring technology spillover. Finally, we present several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measurement of technology spillover in the context of public funded R&D programs. Our paper provides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with basic knowledge about technology spillover and helps them suitably evaluat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it contributes towards improving the existing methodology by recognizing the gap between the spillover phenomenon and the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