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대한옥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친환경 전통건축의 내부기류 전산해석 (Computational Analysis of Air Flows Inside Korean Traditional House)

  • 김재원;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80-387
    • /
    • 2012
  • 본 연구는 한옥의 실내 온도 및 속도 분포 등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서 전통건축이 현대적 건축 부재의 채용 없이 전통적 건축 부재의 조화로운 배치 및 부재 간의 조합을 통해서 소기의 열 공학적 설계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옥의 내부 기류의 분포 및 온도 분포, 그리고 한옥의 외부형상에 대한 기류분포를 전산 모사하여 한옥의 형태별, 계절별, 주요 기류 및 온도 특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통 건축물의 주요부재에 관한 열역학적 물성치를 대표 값으로 설정하고 물성치의 변화를 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보정하고 한옥 내부의 유동장과 온도분포를 예측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 가능성 제안에 관한 연구 - 북촌 도시한옥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osal of possibility for the Tosi-hanok as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 Focu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osi-hanok -)

  • 허혜림;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32-38
    • /
    • 2004
  • The value of the Tosi-Hanok have recently been appreciated and accordingly the resultant studies have actively been conducted. This is an attempt to probe our architectural type haying identity through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n society that pursues only something new. But owing to the infusion of foreign cultures and modernization, the archetype of Korean-style house has either been damaged or indiscriminately transformed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its proper norms.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accordingly effort to preserve Korean-style houses through legal regulations or systems have continually been made in terms of appearance or cityscape. For this reason, it is thought that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the direction or alternative to preservation in relation to the change or use of the interior space with the pattern of requirement for other programs other than dwell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original meaning of Korean-style house by highlighting the advantages of Tosi-Hanok and supplementing its disadvantage while accommodating the diverse requirement for programs as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And it was intended to propose the model for Tosi-Hanok that accommodates social changes in content while maintaining its meaning by analyzing the Tosi-Hanok with a focus on interior space and preserving historical continuity on its basis.

한국 전통 가옥 내부 기류 전산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Air Flows inside Korean Traditional House)

  • 김재원;안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9-47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전통건축 중 한옥을 중심으로 건축설계물 내부의 기류현상을 분석하여 전통건축의 설계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통 건축물의 주요부재에 관한 열역학적 물성치를 대표 값으로 설정하고 물성치의 변화를 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보정하여 한옥 내부의 유동장과 온도분포 예측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건축 부재의 열역학적 특성이 현대의 다양한 기능재료에 비해 열악할지라도 이를 부재간의 배치와 조합을 통해 소정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한 사례를 규명할 것이다.

  • PDF

임대를 위해 변형한 도시형 한옥주거의 개조 특성 (서울 북촌 지역 튼 ㅁ자형 한옥을 대상으로) (Study of the Remodel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Urban Housing for Lease (cases of an Open-rectangular plan in the Traditional Urban Housing Neighborhood of Bukchon))

  • 신예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906-6914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한옥의 주거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현재에도 주거생활을 수용하고 있는 북촌의 도시형 한옥주거를 대상으로 하되, 한옥의 공간을 변형시켜 임대세대가 들어설 수 있도록 변형한 임대형 한옥주거의 개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각 실이 구조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여러 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위상이 정해지고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전통주택의 공간변화와 현대 생활을 수용함에 따라 각 공간요소의 사회적 성격이 변화된 양상을 객관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공간구문론을 주된 분석방법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임대형 공간으로 사용되기 위한 평면의 원형이 변형된 도시형 한옥의 경우, 수직적 증축 및 확장이 제도적으로 제한이 되어 있어, 기존의 도시형 한옥에서 수평적 변형 및 변용이 이루어졌으며, 주인과 임대인의 공간으로 구분되면서 마당과 대청의 위계변화 및 기존 주인공간의 사성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김제 금산교회의 한옥건축 특성과 경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ok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Boundaries of the Geumsan Church in Gimje)

  • 김윤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29-235
    • /
    • 2018
  • 한옥교회는 우리나라 근대시대의 생활상을 종교적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근대시대 건립된 한옥교회의 경역과 한옥 건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전라북도에 남아 있는 김제 금산교회를 현지답사 및 인터뷰, 수리보고서를 조사 분석 하였다. 금산교회는 현존하고 있는 한옥건축물로 건축적 특성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의 기능을 담당한 유광학교도 한옥건축물로 자료를 통해 위치와 규모를 짐작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금산교회의 경역은 현재의 담장이며 서측은 건물이 동측은 운동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산교회의 평면은 당시의 유교사상을 반영하여 ㄱ자형 공간으로 구성하여 남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유광학교는 2칸 규모로 강의에 적합한 ㅡ자형 통구조로 현대 교회의 진입부 부분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옥 설계의 최근 경향 연구 - 최근 10년간 건축전문 잡지에 게재된 신축 한옥을 대상으로 -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

  • 이주옥;한필원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1-186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hanok design based on 58 hanoks appeared in architecture magazines in the last 10 years. The case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tion, size, building form, spatial organization, material, roof form, and the ceiling form of living room.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ost of the recent hanoks are built in rural area (91.4%), which shows the hanok is not accepted as an urban house type. Hanoks tend to be built in 2 stories whose 2nd floor is smaller than the 1st floor. (34.5%) The preferred size is total floor area of $99.2{\sim}165.2m^2$ (62.0%), 3 rooms (46.6%) with a traditional ondol room (60.3%). The buildings with ㄱ-shape (43.1%) and linear-shape (27.6%) are preferred, and the compact plan type similar with apartment house appears (13.8%). In the roof design that greatly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traditional design factors such as half-hipped roof (55.2%), double eaves (27.6%), and eaves curve tend to be sustained. In terms of spatial organization, most of recent hanoks have double-layed plan (74.2%). The living room mostly has separately defined space. (82.8%) The indoor and outdoor tend to be connected by a narrow wooden veranda (39.7%), while some cases don't have any wooden floor space (48.3%). The entrance is adopted as an important spatial element in front part of building (75.9%), and it influences the appearance of building. The living room, the counterpart of the wooden floor hall in traditional hanok, and kitchen tend to be interiorized. In terms of material, the cement roof tile and red clay brick are preferred. Consequently, the walls of recent hanoks have the image of brick structure rather than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traditonal hanok.

농촌관광과 전통한옥 숙박 공간 고찰 (A research of the rural tourism and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accommodation facility)

  • 전명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80
    • /
    • 2006
  • 농촌관광에 대한 수요의 급증은 급격한 산업화에 의한 사회의 변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근대 산업혁명의 결과에 따른 대량생산과 도시민의 소득 증대, 현대적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농촌인구의 도시로의 유입현상은 도. 농간의 소득과 문화의 격차를 벌여 놓았을 뿐만 아니라 경쟁사회에 익숙한 도시인의 가치관과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대안관광의 하나인 농촌관광의 전통한옥 숙박공간의 특성을 통하여 농촌관광 만족과 전통한옥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아산신도시 한옥(韓屋)형 초등학교 계획 연구 - 경주 라궁(羅宮)의 조직성을 활용하여 - (An Study of Han-ok(韓屋) Style Elementary School in Asan new town -Use the Composition of La-gung(羅宮) in Gyeong-ju-)

  • 김혜지;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37-5346
    • /
    • 2011
  • 최근 증가되는 한옥 붐으로 인해 한옥 활용의 다양화란 측면에서 각종 공공청사 및 유치원,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에 한옥을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즉 한옥 형식을 여러 유형의 현대적 건축에 적용해 보려는 다각도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충남 아산신도시 지역의 초등학교 부지를 하나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옥을 이용한 초등학교 계획안을 제시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계획 규모는 학년별 4개 학급 총24개 학급 규모이며, 교실운영 방안은 1-2학년은 '종합교실형'으로, 3-6학년은 '일반교실+특별교실+다목적실형'으로 설정하였다. 부지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저학년동을 한옥형으로 계획하였으며 선례로서 라궁의 조직성을 활용하였다.

지혜 깊어지는 건강 - 지도 밖에서 만나는 건강 - 서울 한복판 숨은 보물 같은 곳 북촌

  • 이은정
    • 건강소식
    • /
    • 제36권1호
    • /
    • pp.32-36
    • /
    • 2012
  • 빼곡히 들어찬 마천루 속 서울 하늘 아래. 그 한복판에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북촌이 자리해 있다. 특히 도심 속 북촌이 더욱 빛나는 이유는 바로 사람들이 살고 있는, 여느 다를 바 없는 삶의 현장이기 때문이다. 어디부터 어디까지 선을 그어 한옥마을로 지정해놓은 게 아니라, 동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함께 살 부대끼며 살고 있는 곳이다. 추운 날, 멀리 나갈 것도 없다. 전통과 현대가 어울린 독특한 멋과 매력에 빠지고 싶다면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찬찬히 출발해보자.

  • PDF

한옥표준설계도의 평면도 공간배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Arrangement in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9-586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한옥표준설계도 4개 타입 32개 종류의 평면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표는 한옥표준설계도의 타입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옥을 설계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옥표준설계도에 현대주택에서 사용하는 현관과 같은 건축구성요소를 포함시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2. 농촌의 다양한 대지조건에도 불구하고 한옥표준설계도에서도 거실과 현관을 남쪽으로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추후 확장을 위한 여분의 공간도 있었다. 3.침실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가장 많았고 이에 침실의 개수 추가 및 농촌의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공간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공간구문론과 감마맵을 이용한 공간깊이 분석에서 안방의 공간 깊이는 툇마루에서 진입하는 동선보다 현관에서 진입하는 동선이 공간의 깊이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안방의 공간 깊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되는 만큼 충분한 공간깊이로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