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혁신 특성

검색결과 1,686건 처리시간 0.039초

우리나라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in Korea)

  • 안치수;이영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1-465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논의되고 있는 개방형 혁신에 초점을 맞춰 개방형 혁신활동을 내향형 혁신활동과 외향형 혁신활동을 구분하고, 영향요인을 환경특성, 기업특성, 재도특성으로 분류하여 국내 149개 제조기업의 설문응답 내용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환경특성 요인의 경우 시장경쟁정도와 기술변화정도가 내향형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시장경쟁정도가 심해지거나 기술변화정도가 높아질 경우, 자사의 기술 개발 촉진 및 시장에서의 우위를 유지하거나 선점하기 위하여 공동연구, 사용자 혁신 등 외부로부터의 기술도입 및 외부의 정보활용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업특성 요인의 경우, 내향형 혁신활동은 연구개발인력, 연구개발투자, 국제화사업건수, 해외수출, 조직문화 개방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향형 혁신활동은 국제화조직특성, 기업가정신(역량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내향형 혁신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인력, 연구비 등의 R&D 투입요소의 증대에 관심을 갖아야 됨을 의미하며, 반면 외향형 혁신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제화 전담조직을 육성하며, CEO도 독자적인 내부 기술혁신활동에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보다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기술혁신활동에 기업가정신을 집중해야 됨을 의미한다. 제도특성 요인의 경우 내향형 혁신활동에서는 기술네트워킹에 의해, 외향형 혁신활동의 경우 산업클러스터 입주여부 및 기술네트 워킹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에서 제도적으로 개방형 혁신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산업클러스터 조성과 기업들의 기술네트워킹 확대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 PDF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 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A Study of Intention to Use Wrist-worn Wearable Devices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Resistance)

  • 신재권;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23-134
    • /
    • 2016
  •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과 사물, 그리고 공간이 연결된 사물인터넷 가상세계가 다가오면서 전 세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활성화는 기대에 비해 다소 지연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존재하는 저항을 완화시켜 소비자의 저항을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초점을 맞추어, 혁신저항이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 변인을 매개하여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비자가 인지하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혁신 특성 요인 중 상대적 이점, 개선된 혁신기대, 복잡성, 재정적 위험, 신체적 위험 등이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특성요인 중 혁신성향과 기존 아날로그 시계 제품태도가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혁신저항이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을 매개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 혁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T Innovations)

  • 백상용;박경수
    • 정보기술응용연구
    • /
    • 제3권3호
    • /
    • pp.71-90
    • /
    • 2001
  • 혁신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다. 경영정보학에서도 정보기술의 도입과 활용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혁신 연구 이론과 결과를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혁신 이론은 정보기술 혁신을 설명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고 정보기술 혁신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기존의 정보기술 혁신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정보 기술 혁신 특성을 제시하고 경영자를 대상으로 그 특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일반 혁신보다는 정보기술 혁신에 있어 지식장애 요인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혁신 도입 결정요인은 일반 혁신과 정보기술 혁신상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Technological Regime,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 홍장표
    • 기술혁신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7-17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업의 혁신패턴이 기술체제에 좌우된다는 산업별 혁신체제론적 접근에 따라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08년 기술혁신활동조사: 제조업"DB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체제에 따라 산업을 분류하고 계량모형을 이용해 지식외부성의 원천과 지식전파가 유발하는 기술혁신을 산업별로 분석하였는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적 암묵적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일반적 명목적 지식기반 산업과 달리 기업의 혁신성과가 입지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기술-특수적 암묵적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연구개발자본이 풍부한 지역, 저기술-특수적 암묵적 지식기반 산업에서는 동종산업의 집적도가 높은 지역에 입지한 기업일수록 제품혁신이 활발하였다. 둘째 제품혁신을 선도적 혁신과 추종적 혁신으로 구분하여 지식전파가 유발하는 혁신수준을 산업별로 알아보았는데, 저기술산업에서는 외부로부터 전파된 지식이 선도적 혁신과 추종적 혁신을 유발하고 고기술산업에서는 추종적 혁신만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로부터 지식외부성의 원천과 지식전파가 유발하는 기술혁신의 수준은 산업의 기술체제에 따라 다르며, 지역산업 클러스터정책은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을 감안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얻고 있다.

  • PDF

혁신특성과 사용자특성이 전자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 : 혁신저항모형을 중심으로 (Effects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on the Adopting e-Books : Focu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윤수경;김명지;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61-73
    • /
    • 2014
  • 기존의 전자책 연구들이 이용과 충족 이론과 기술수용모형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반면, 본 논문은 전자책의 확산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을 혁신저항모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혁신특성으로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을, 사용자특성으로는 혁신에 대한 태도, 기존제품(종이책)에 대한 태도를 변수로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각 변수들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복잡성과 기존제품(종이책)에 대한 태도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이었고, 혁신저항은 수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자책의 구매에서부터 독서 경험 전 과정의 용이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하며, 종이책의 사용경험과 차별화 되는 전자책 고유의 상호작용적 기능과 특성을 개발하고 부각해야 한다.

해운항만산업의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Caused by Blockchain to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 장명희;김윤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1-1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운항만산업에서 블록체인을 도입할 때 발생하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블록체인 도입에 대한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의 해운항만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해운항만종사자들의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4가지 특성(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경제성,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혁신특성에 속하는 변수로는 상대적 이점, 복잡성, 인지된 위험이 포함되었고, 소비자 특성으로는 기존제품에 대한 태도, 혁신성, 자기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경제성 변수로 비용의 합리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이 포함되었다. 이들 8가지 변수들이 혁신저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8개의 가설을 PLS 3.0 분석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가설검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특성 변수들 중에서 상대적 이점과 인지된 위험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복잡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소비자 특성에 속하는 변수들 중에서 기존 제품에 대한 태도와 혁신성은 혁신저항에 유의한 값을 보였지만,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비용의 합리성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영향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조직양면성 구축과 운영에 대한 다차원적 연구 (Design and Implementing Ambidextrous Organizations for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최상현;김병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4호
    • /
    • pp.205-244
    • /
    • 2015
  • 최근 빠른 기술과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동태적 역량의 하나로 기업의 양면성 조직 특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빠른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은 신제품 기술개발역량 측면에서 기존 제품의 점진적 혁신을 통한 활용적 역량과 함께 새로운 시장 및 기술에 대한 탐험적 역량 둘 모두를 구축하고 균형을 갖는 양면성 조직의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 중소기업이 양면성 조직을 구축 및 운영하는 이유와 방법, 기업의 생존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기업의 내부적 기술혁신전략과 기업성장단계가 양면성 조직 특성과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양면성 조직 특성은 구조, 맥락, 리더십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 분석을 위해 제품의 산업적 특성을 달리하는 3개 중소기업에 대해 다중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종단적 분석을 통해, 제품의 산업적 특성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기술혁신전략 유형에 따라 양면성 조직의 구축 및 운영의 해법이 다르며, 구조, 맥락, 리더십 관점의 양면성 조직 특성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양면성 조직 특성이 중소기업의 생존과 성과에 중요한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기업의 기술 특성에 따른 산학협력 비교 연구 (Factor Analysis on the Impact of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in South Korea)

  • 박문수;이호형
    • 정보화연구
    • /
    • 제9권2호
    • /
    • pp.199-207
    • /
    • 2012
  • 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관점에서 산학협력은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특성(산업특성, 혁신특성, 성장단계별 특성 등)에 따라 산학협력의 수요와 실행은 다르고 그에 따른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기업 특성을 군집분석을 통해 세 가지 군집(혁신형중소기업군, 일반중소기업군, 대기업군)으로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산학협력의 수요와 실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형 기업군은 신기술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반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인력양성에 높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 특성을 고려한 산학협력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R&D와 인력양성을 구분하여 산학협력을 추진함으로써 기업 특성의 비교 우위를 통한 산학협력 효율화가 필요하고, 혁신형 기업 지원을 위한 R&D분야 산학협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대구벤처기업의 혁신체제 특성과 혁신환경 발전방향

  • 최정수;이명희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
    • /
    • pp.238-240
    • /
    • 2003
  • 본 연구는 대구지역 벤처기업의 혁신활동을 파악하고, 벤처기업의 혁신체제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혁신체제적 관점에서 대구지역 벤처기업의 혁신환경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벤처기업에 대해 2001년 7월 30일부터 8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6부의 유효설문지를 수집하고, 이외 벤처기업 경영자, 테크노파크 관계자 둥과 면담 및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지역별 혁신형태 유형화와 지역 기반 혁신 정책 (Classification of Regional Innovation Types and Region-based Innovation Policies)

  • 유광민;김동관;한성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1-175
    • /
    • 2015
  • 지역 혁신정책의 중심이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별로 차별화된 지역혁신 전략을 수립, 추진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국가 전체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 차원에서도 비효율적이다. 국가내 지역간에 혁신 형태나 특성에 뚜렷한 차이가 있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 혁신 정책은 의도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지역간 혁신 형태의 특성과 차이를 밝혀내고, 이를 유형화하여 적절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지역혁신 관련 지표들을 검토하고, 선정된 지역혁신지표들을 활용하여 다중인자분석과 군집 분석 방법을 통해 지역들을 혁신유형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혁신유형별로 드러난 특징과 차이를 기초로 그에 맞는 정책적 방향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혁신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