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혁신성과

검색결과 2,709건 처리시간 0.024초

반도체 기업의 R&D역량과 시장지향성이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D Capability and Market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 김대휘;김종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9-95
    • /
    • 2017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반도체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가치 제고와 기술혁신 경쟁우위를 위해 R&D역량과 시장지향성이 제품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즉, 연구모형에서와 같이 독립변수인 R&D역량, 시장지향성이 기술혁신지향성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종속변수인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반도체 기업의 개발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118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기술혁신지향성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R&D역량 중 R&D집약도와 외부네트워크 역량이 높을수록 제품혁신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장지향성 중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에 대하여 제품혁신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R&D역량만이 기술혁신지향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반도체 기업의 제품혁신성과 창출을 위한 R&D역량과 시장지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업의 제품혁신성과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기술혁신지향성이 중요한 조절 요소임을 실증적으로 지지하는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융복합 환경에서 기업 내부 협업프로세스와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llaboration process and capabil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convergence environment)

  • 김훈;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151-15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환경에서 기업의 협업프로세스와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가설을 세우고 PLS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5개 기업(한국 4개, 미국 1개)의 1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의 협업프로세스는 학습역량과 생산역량을 통하여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업 내부의 협업프로세스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학습역량과 생산역량이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협업프로세스가 각 이해관계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보공유,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활동이 이루어지는 루틴이라 정의할 때, 학습역량과 생산역량을 거쳐 기업의 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R&D 프로젝트 팀 다양성과 팀 성과간의 관계: 제해결스타일 및 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R&D Project Team Diversity and Team Performance :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 Problem Solving Style and Interdependence)

  • 박오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13-936
    • /
    • 2013
  • 다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최근의 연구들은 다양성과 성과간의 직접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상황적 요인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과 성과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혁신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상호의존성(과업, 목표, 결과)을 상황요인으로 제시한 후 이들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R&D 연구소의 75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팀원들이 혁신적 문제해결 스타일을 가져갈 수록 다양성과 프로젝트 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는 더욱 높아졌다. 또한 세 가지 유형의 상호의존성도 다양성과 프로젝트 성과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Real Option Valuation을 이용한 금융혁신의 성과 분석 : 방카슈랑스 금융겸업을 중심으로

  • 김세린;박용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4년도 25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4-236
    • /
    • 2004
  • 최근 국제 금융시장은 컴퓨터 및 통신분야의 기술진보로 비 은행금융기관에서도 상업은행에 의해서만 독점적으로 제공되었던 거래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곧 은행과 비 은행금융기관의 벽을 무너뜨리는 양자 간 동질화 현상을 유도하였으며 활발한 금융 겸업화 현상으로 금융혁신이라고 부를 만한 서비스분야의 기술혁신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금융권간 판매채널 통합의 시작이라 평가되는 방카슈랑스를 중심으로 금융기관 간 겸업의 활성화를 통해 산업 간 동질화를 이루는 시점에서 금융혁신이 이루어진다고 설정, 금융서비스의 기술혁신 성과를 예측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대표 금융기관 격인 은행과 보험, 증권회사가 금융겸업을 이루는 경우 각 겸업 주체 기관의 혁신적인 성과를 실증 분석하도록 한다. 분석대상은 표본기간 중 국내 주식시장에 연속으로 상장되어 있는 모든 은행, 증권, 손해보험 49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표본자료는 KIS-LINE이 제공하는 재무제표자료와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주가데이터에서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금융혁신 성과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금융기관 간 가상 합병을 이용,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고 그 결과 각 금융기관의 ROA와 자기자본비율 및 안전성(위험성지표)을 분석한다 다음 단계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적정하게 추정된 안전성 내에서 경영 성과를 이루는 최적 기간에 대해 실물옵션평가(Real Option Valuation) 분석을 한다. 그 결과 금융겸업을 통한 혁신 성과는 은행 주체로 비 은행금융기관과 겸영하는 경우 이상적으로 잘 보여지며, 증권 주체로 보험업을 겸업하는 경우는 ROA 와 자기자본비율 면에서는 혁신적이나 안전성 면에서는 저해된다는 결과를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 같은 안전성의 위험은 증권업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수준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경우 3 년간의 투자기간 후에는 혁신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고 추정하였다.

  • PDF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창업자기효능감이 경쟁우위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ntrepreneur Self-Efficacy on Competitive Advantag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Competence)

  • 장석조;현병환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을 경험한 스타트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멘토링, 초기투자)와 창업자기효능감이 경쟁우위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분석을 하였고, 이때 혁신역량의 매개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표본의 수집은 전국 액셀러레이터,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보육한 스타트업 대표자 대상으로 수집한 334건의 표본을 Smart PL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은 경쟁우위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초기투자와 창업자기효능감은 경쟁우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 초기투자, 창업자기효능감은 혁신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역량은 경쟁우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혁신역량은 멘토링, 초기투자, 창업자기효능감과 경쟁우위성과 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멘토링은 경쟁우위성과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지만, 혁신역량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되었으며, 초기투자, 창업자기효능감, 혁신역량은 경쟁우위성과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역량이 매개 작용으로 경쟁우위성과에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타트업의 경쟁우위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r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of Inno-Biz SMEs)

  • 윤현덕;서리빈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1-144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 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 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 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 PDF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 협업,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Collabor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Small & Mid-sized Venture Companies)

  • 이록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85-19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신제품개발성과가 상호 인과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업을 도입하면 신제품개발성과가 향상됨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소재 중소벤처기업 R&D업무에 종사하는 실무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역량에 속하는 기술전략, 기술학습, 그리고 개방형 혁신이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다수의 핵심전략으로서 협업을 선택한 결과, 협업이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주는 전략임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협업을 도입하면 기술혁신역량이 신제품개발성과를 강화하는데 조절역할을 하는 지도 함께 살펴보았는데, 일반적인 협업은 기술전략 강화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협업에 따라서는 기술전략과 개방형 혁신이 강화되어 신제품개발성과의 크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혁신활동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itness among Entrepreneurship,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on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 김진권;안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63-170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동적역량, 혁신활동 각각의 변수와 그 변수들 간의 적합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고 이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기업가정신과 혁신활동, 동적역량과 혁신활동 등 두 변수 간의 적합성은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 동적역량, 혁신활동 세 변수 모두의 적합성도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추가로 실시한 경로분석에서는 기업가정신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동적역량과 혁신활동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혁신활동은 각각 경영성과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들 세 요인들을 조화롭게 구현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시장지향성, 조직학습, 혁신성이 신제품 개발과 기업의 전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Market Orient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veness with New Product Development and Overall Performance)

  • 김영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9-7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장지향성의 선행요소와 조직기억이 기업의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혁신성이 직간접적으로 기업의 전반적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학습 이론 및 시장지향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직기억과 시장지향성이 조직혁신성의 선행변수이고, 또한 조직혁신성은 기업의 신제품 개발성과와 전반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국내 대기업의 중역들에게 받은 설문을 바탕으로 분석을 한 결과, 조직학습 및 시장지향성은 조직혁신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혁신성은 신제품 개발성과와 기업의 전반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제품 성과는 기업의 전반적 성과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기업을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 분석: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 접근 (Factors Influencing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Industry-Research Institute Cooperation of Researchers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Daedeok Innopolis: An fsQCA Approach)

  • 황경연;성을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21-233
    • /
    • 2021
  • 본 연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산연협력에서 혁신성과 결정요인의 결합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협력에 의한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이들 요인의 조합이 산연협력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위한 자료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산연협력 혁신성과 결정요인의 결합효과 분석에는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사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는 높은 산연협력 동기부여, 높은 산연협력 신뢰, 높은 산연협력 몰입 및 높은 산연협력 만족도의 구성이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산연협력 동기부여, 높은 산연협력 신뢰, 낮은 산연협력 몰입, 낮은 산학협력기업 의존성 및 낮은 산연협력 만족도의 구성이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의 산연협력 혁신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