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디자인요소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영화 ′로마의 휴일′ 에서 보여지는 의상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이자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4년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 /
    • pp.26-30
    • /
    • 2004
  • 본 연구는 영화의상과 메이크업 및 헤어스타일이 갖는 토탈 코디네이션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이 영화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갖는 의미와 역할 및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특정한 시대적, 문화적 상황에 기반을 둔 연출자의 의도가 영화 속에서 어떠한 신체 이미지로 구현되는지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 결과 어느 시기의 의상과 메이크업 및 헤어스타일이 어떻게 영화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그 영화가 다시 동 시기에 대해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중략)

  • PDF

헤어디자인요소의 변화에 따른 헤어스타일이미지 (Hair Style Image by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 이효숙;박숙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782-179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hair style image about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tion. The twelve color photographs of manikins with various hair style were used as the stimulus. As measuring instrument, a likert scale composed of 35 items of five point adjectives was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157 males and 140 females residing in the Busan area. The range of the age is from 20 to 55.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crosstab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test and t-test used SPSS Pack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8 factors - romantic, natural, elegant, simple, classic, casual, modem and mannish were found out as constructing factors of hairstyle image. 2. As a result of hair style image analysis about variations of hair-length, The short hair style was perceived in modern, mannish, casual, sophisticate, medurm-length style in classic and elegant, long hair style was perceived to be high in romantic and natural. 3. As a result of hair style image analysis about variations of hair design elements, The length of hair style was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in hair design and secondly important one was the wave of hair style. The color of hair style didn't critical effect on image of hair style.

21C 안경디자인의 조건과 Total Fashion 트랜드 고찰 - 의상, 헤어 및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otal Fashion trend & Eyewear Design 21C)

  • 정형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5
    • /
    • 2005
  • 고도의 산업화와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개성화, 다양화를 강조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시각적인 요소를 매우 중요시 여기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Total Fashion의 시대가 막을 열었다. 과거의 안경디자인 트랜드는 시력교정과 시력보호라는 고전적인 목적을 가지고 단순한 형태와 기능 등 획일적인 양상을 띠었으나, 21C 안경디자인은 시력교정과 시력보호라는 과거의 기능 이외에 문화와 패션 트랜드에 발맞추어 급변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경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의상, 헤어와 메이크업 동향에 따른 안경디자인의 추세와 색상이미지를 분석하여 21C 안경디자인의 조건을 고찰하였다.

  • PDF

캐릭터의 미적요소가 시청 몰입도와 재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사극 드라마<연희공략(延禧攻略)>를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Characters' Aesthetic Elements on Viewing Engagement and Re-viewing Intention : Focusing on the Chinese historical TV series 'The Story of Yanxi Palace')

  • 한명;윤수미;최혜진;권오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69-378
    • /
    • 2022
  • 본 연구는 중국 사극 드라마에서 캐릭터의 미적요소가 시청 몰입도와 재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해 사극 드라마 <연희공략(延禧攻略)>을 시청한 중국인 330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헤어스타일, 의상이 적용된 중국 사극의 캐릭터 미적요소는 시청몰입도, 재시청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미적요소와 재시청 의도 간의 관계에서 시청 몰입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드라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헤어, 의상을 비롯한 다양한 미적요소를 통해 지속적인 캐릭터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제 강점기 여성 단발의 헤어디자인 조형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79-484
    • /
    • 2018
  • 일제 강점기 여성들 one length hair style의 변천사 및 형태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선행논문과 저서를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등 헤어디자인의 구성 요소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one length hair style 커트가 가능해지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1910년-192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커트 길이의 단차가 전혀 없는 out line을 지닌 형태, 자연 그대로의 모발 질감, 자연 모발 색상을 보였다. 193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약간의 커트 길이의 단차를 보이면서 다이아몬드 형태, 자연스런 질감의 narrow wave, 과산화수소나 oxygenated water을 이용한 약간의 탈색이 이뤄졌다. 1940년대 one length hair style은 형태, 질감, 색상 면에서 화려한 미(美)를 추구하려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one length hair style에 관한 심층적이고 세분화 된 후속 연구가 가능해지며, 헤어미용 교육의 기초 자료 및 뉴 모드의 트렌드 개발을 위한 초석으로 작용하리라 사료한다.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양상 (Minimalism in Modern Hairstyle and Fashion)

  • 손향미;박길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54-1561
    • /
    • 2005
  • 본 연구는 과거의 것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재창조되어지는 경향이 짙은 현대 패션 경향 중 1960년대 미술의 중요 쟁점으로 떠오르는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특성을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의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오늘날 다양하고 개성화 된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먼저 미니멀리즘에 관한 국내외 저서, 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틀을 제시한 후, 세부적으로 인터넷 즉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틀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에 표현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의상에 있어서 장식의 배제와 계절에 상관없이 형태의 최소화로 나타났으며, 헤어스타일에 있어서 모발의 은폐로 물체성 즉 인체 본성으로의 환원을 강조하였다 둘째, 단일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조각영역에 회화의 특징을 도입하여 조각영역의 확장을 가져오듯이 의상에 있어서 모노크롬한 색상의 의상을 사용함으로써 세련미을 표현하였고,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도 의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머리염색을 사용하였다. 셋째, 반복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의상에 있어서 내부적 외부적 패턴의 반복으로 나타났으며,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도 염색기법을 활용한 모발 내 패턴의 반복과 외부적 첨가를 통한 모발 외 패턴의 반복이 나타났다. 넷째, 공간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의상에 있어서 신소재 개발에 따른 다앙한 소재를 차용하였고,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는 철망, 유리 등의 공업용 소재를 사용해 두상과 장식과의 사이의 공간을 형성해서 관람자로 하여금 더욱 디자인에 몰입하도록 하는 적극적이고 활동적 참여를 유도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처림 미술양식의 하나인 미니멀리즘은 현대 헤어스타일과 의상 디자인에 새로움을 더해주는 중요한 요소로 독특한 아이디어 발상으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과거의 미술양식의 재등장은 단순히 한 시기의 패션 트랜드의 제시에 만 그치는 것이 아닌 앞으로 다가올 우리의 미래에 대한 전망도 함께 내포한다고 볼 수 있겠다.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헤어디자인의 표현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 of Hybrid Hair Design in Fashion Collection)

  • 김경인;유영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6호
    • /
    • pp.1021-1033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Hybrid in Contemporary Hair Design that is one kind of total fashion. In this research, by background of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messes culture art,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hair design has been defined as characters which is the mixture of timeless spaces, styles, sexes, unsuitable elements and cultur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expression of the hybrid hair design after 2000 is like this. As the researching,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hair design by the mixture of unsuitable elements and styles have been presented the highest.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the apparition in the hair design mold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hybrid hair design,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unsuitable elements and style has been presented ideological form and the artificial form was the highest. The case of the hybrid of the activated texture, the unsuitable elements, style and timeless space has been presented excellently one after another. In the color tone, the mixture of the style, the unsuitable elements and timeless space has been presented one by one. The case of the hybrid of the image, the unsuitable elements that is the highest the frequency of the apparition was presented the image of the avant-garde, the fantastic and humor one after another.

  • PDF

메카니즘을 이용한 대형 헤어드라이어 (Large hair dryer with Mechanism)

  • 백지헌;정상원;현효원;형대열;진태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9-462
    • /
    • 2017
  • 본 캡스톤 디자인은 대형 헤어드라이어를 제작하여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건조시키는 시간을 단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열풍 메카니즘을 이용한 대형 헤어드라이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바람의세기 및 안전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모터'이다. 일반적인 헤어 드라이어기는 5V 또는 12V DC모터를 이용하여 풍속을 결정하고, 외부 통풍구가 단일 블로우로써 사용시간이 길고 소모 전력도 큰 문제점이 있다. 본 제작에서는 다중 블로우를 이용한 대형 헤어드라이어의 경우 짧은 시간에 풍속의 세기를 증가시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 기를 제작하였다. 평균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모터의 효율성과 외부 프레임의 블로우 위치성, 소비 전력을 파악하여 헤어드라이어기 모터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한국 패션디자인·미학 분야의 연구동향 - 「복식」(2001~2010)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Design·Aesthetic Field in Korea -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1~2010) -)

  • 최해주
    • 복식
    • /
    • 제62권3호
    • /
    • pp.152-16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subject matter in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in clothing and textiles and to suggest the inform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s for fashion business and research. 1089 articles with clothing and textiles subject matter, 523 articles with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from 2001 through 2010 were analyz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took absolute majority in the researches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in the 2000s. 2.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showed more proport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3. History of costume, fashion marketing field were followed. Textiles science field took extremely little proportion. 4. In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topic of fashion design elements and types took absolute majority. 5. Fashion aesthetics, fashion design development, makeup hair style topics were followed.

사군자를 소재로 한 네일아트 디자인 (Nail art design utilizing the Four Gracious Plants)

  • 김현아;양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63-469
    • /
    • 2021
  • 한국의 미적가치는 한국적인 소재를 이용한 디자인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상승되고 있다. 한국적인 소재는 동양적인 사상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형태의 독특함으로 인해 디자인 개발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인 소재를 이용한 네일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네일아트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차별성이 있는 네일아트 디자인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을 위해 네일아트와 사군자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수묵화를 모티브로 한 사군자를 이용한 한국적이면서도 개성 있는 네일아트 디자인작품을 제작하였다.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소재로 하여 그 의미와 이미지에 어울리는 색채, 질감, 형태의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고 핸드페인팅기법과 오브제 기법을 이용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의 네 작품이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네일아트와 사군자의 통합연구로 한국문화를 드러내는 창의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