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어관리행동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 교복변형, 헤어스타일, 화장을 중심으로 -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tar-Entertainer Imitation - School Uniform Modification, Hairstyle, and Makeup -)

  • 최나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5-189
    • /
    • 2012
  •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외모관리행동 즉, 교복 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에 거주하는 여자고등학생 379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북지역 여고생들은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적극적 수행형, 심리적 욕구형, 연예인 호감형으로 분류되었다. 연예인 모방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높았던 적극적 수행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 경험이 가장 높았으며, 드라마속 연예인이 입고 나오는 교복스타일을 따라해 보고 싶어하고, 연예인 교복스타일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 있는 등 연예인 교복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최신 유행헤어스타일을 인식하고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선호하는 등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매일 기초화장을 하고, 화장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등 화장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예인 모방 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낮았던 연예인 호감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바람직한 매스미디어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교사들은 청소년들에게 합리적인 모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면 의생활지도에 있어서 효율적인 교육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1-312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과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일부 도시의 여대생 총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상은 5점 만점에 $3.12{\pm}1.06$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82{\pm}1.00$점이며,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리사회적 건강 점수는 평균 $22.90{\pm}5.96$점으로 대상자의 73.2%가 잠재적 위험군이며, 고위험군은 25.8%로 전체 대상자가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 학년, 전공, 비만도, 건강관심도 및 체중조절 의도는 주요 변수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대상자의 신체상은 외모관리 행동과 심리사회적 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모관리 행동 하위 영역에서도 운동은 섭식과, 섭식은 헤어관리행동과, 헤어는 메이크업, 의복관리행동, 메이크업은 의복관리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심리사회적 건강은 신체상 및 헤어관리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신체상, 건강 관심도, 학년 순으로 대상자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14.4% 설명하였다. 즉,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높을수록, 건강 관심도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심리사회적 건강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며 자신의 외모와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청소년의 헤어제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Adolescents' Purchasing Behavior for Hair-care Products)

  • 송연화;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
    • /
    • 2011
  • 최근 토탈패션화의 경향으로 헤어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 따라 다양한 헤어상품의 출현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무분별한 헤어제품소비는 청소년의 건강과 소비행동에 영향을 마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헤어관심도/만족도와 헤어제품에 대한 구매태도가 헤어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의 헤어제품 소비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 남녀 4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7월 5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4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412부를 실제 분석에 투입하였다. 결과는 SPSS 12.0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 첫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헤어관심도와 만족도, 헤어제품에 대한 쇼핑성향 및 지식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헤어에 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여학생은 이상화된 신체상의 기준이 더 높아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헤어제품에 대한 교육을 받아본 청소년이 합리적인 구매를 하며, 상표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헤어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헤어만족도와 헤어관심도 및 헤어제품에 대한 구매태도가 헤어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합리적, 상표충성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구매 시 품질을 더 중시여기고, 과시적, 혁신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제품디자인과 유행성에 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이며 상표충성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구매 시 친환경성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역시 합리적 쇼핑성향이 높을수록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세정제품 구매 장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헤어제품과 같은 저관여제품의 경우 개인적 정보요인과 경험적 요인이 구매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청소년은 세정제를 사본 경험이 있으며 정발제나 염모제를 구입한 경우도 60%가 넘고 양모제를 구입한 비율이 36%나 되어 기능성 헤어제품의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헤어관리에 대한 올바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질적으로 학교 대에서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 피부, 화장, 의복, 헤어, 체중관리 행동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cused on skin care, makeup, apparel, hair and weight management behaviors)

  • 이지영;박길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31-34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s to f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the effects of three variables -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410 female adult respondents between the ages of 20 to 40 with the goal of predicting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wom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and Amos 19 in addition to Frequency analysis and path analysis. In the first case, the potential for applying appearance management theor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women was observed.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erformed by women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kin care behavior, makeup management behavior, apparel management behavior, hair care behavior, and weight management behavior. It was determined all five behaviors could be predicted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second case, effects of attitude related to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related to skin care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makeup management behavior, all of the thre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apparel management behavior, only subjective norm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erning hair care behavior,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weight management behavior only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남녀 대학생의 헤어관리 인식과 행동 및 지출비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ir Care Attitudes, Practices and Spend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진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2호
    • /
    • pp.63-7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hair care as well as their hair care practices and spending. The analytical tools include the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hair care was 18.5(out of a possible 30). (2)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attitudes toward hair care were gender, school year and monthly spending money. (3) Hair care practices differe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attitudes toward hair care. (4)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hair care was 31,769 won. The variable that most influenced monthly hair care expenditures was gender. In sum, this study found that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effect on hair care attitudes, practices and spending was gender.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이 체중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Body Esteem on Weight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 전현진;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6호
    • /
    • pp.1272-128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body esteem on the weight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of female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632 female residents of the Gwangju city, Korea. The SPSS for Windows 18.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verify the formulated hypothe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Cronbach's ${\alpha}$),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body shame, body surveillance, and appearance control beliefs.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overall weight management behaviors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Seco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ppear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body esteem. When the influences were further examined, body surveillan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ody esteem, whereas body shame and appearance control beliefs seemed to have few significant influences on body esteem. Third, body esteem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ll weight management behaviors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Fourth, it was found that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had direct impact on the weight management behaviors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without mediation body esteem.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얼굴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lf-Esteem, and the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Behaviors of Facial and Hair Care)

  • 황윤정;유태순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85-9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rough their interests in appearance and the degree of their management among the undergraduates to research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lf-esteem, and perceptive physical attractiveness on their face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data to form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beauty and fashion markets for the undergraduates. Total 9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female/male undergraduates students in Daegu and Gyungbuk. 873 questionnaires out of 900 were collected and 82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objects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12.0 statistics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variables,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analyzing and considering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statistically processing each variable and those of the existing researches. 1. In terms of face management behaviors,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as sociocultural attitudes and social physical attractiveness among physical attractiveness perceptive showed positive effects. 2. In hair management behaviors, social physical and personal physical attractiveness out of physical attractiveness perceptive seemed to have positive effects.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여성들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ir Style Design in North Korea)

  • 박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59-266
    • /
    • 2021
  • 본 논문은 북한 헤어스타일과 북한 미용 산업현장의 실태를 파악하여 북한 여성들의 생활상을 이해하고 남북한의 내적 통합을 꾀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매체, 언론매체, 북한이탈주민의 증언 등에서 나타난 북한 주민들의 외모관리행동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헤어행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김정은 정권 이후 유학자와 해외 물품 밀수를 통해 일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의 미용 훈련기관인 미용술 보급소를 통해 미용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정적인 월급제에서 능력에 따른 수당제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을 방문하여 연구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보이고 있다. 향후 북한 헤어 관련 연구에 보탬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재능유형, 자기외모인식이 화장, 헤어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lent Types and Self-Appearance Perception on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 구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5호
    • /
    • pp.1-2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alent types and self-appearance perception on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in 367 adults(female and mal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consider both human talent type and the self-appearance perception on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correlates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alent types, the self-appearance perception and the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appearance managing reason, appearance managing area, and consulting with doctor related to appearance unsatisfaction. Also,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alent, bodily kinesthetic talent among 8 talent types on the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were significant, and that the effects of real and ideal self-appearance perception factors on the make-up and ha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were significant.

대학생들의 외모관리관심도 및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 (The appearance management interest of University Student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verged with Beauty trend)

  • 오정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05-315
    • /
    • 2018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뷰티트렌드와 융합된 다양한 형태의 외모관리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G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4월15일부터 30일까지 15일 동안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 267명의 자료를 SPSS 1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외모관리 관심도는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를 제외한 체형관리, 피부관리, 헤어관리, 화장품사용관리에는 남, 여 대학생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화장품사용관리 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은 트렌드와 융합된 패션스타일 화장스타일 피부관리 체형관리 행동요인들의 경우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와 융합된 운동건강기구 사용 요인에는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생들의 트렌드와 융합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뷰티산업체의 신상품개발연구 등에 참고자료 활용을 기대하고, 추후 새로운 융합형태의 외모관리행동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