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심 변수

Search Result 70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xploring drivers of the service quality in e-commerce

  • Song, Seung-Yeop;Han, Hyeon-S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60-167
    • /
    • 2007
  • 전자상거래에서 핵심적인 연구질문 중의 하나는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주는 핵심 driver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의 관리기능 변수를 파악하고 그것이 서비스품질의 4개의 각 세부요소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를 조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을 토대로 서비스품질의 각 세부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7개의 선행변수를 도출하였다:배달(delivery), 제품반품(reverse logistics), 불만처리(claim resolving), 추천(recommendation), 고객맞춤화(customization),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접촉(contact). 실증적 테스트결과 이 선행변수들은 모두 서비스품질의 각 세부요소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어떻게 서비스품질의 수준이 관리될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Self 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Job-Seeking Stress (대학생의 창업효능감과 창업의도 및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연구)

  • Hyun, Sun Hae;Seo, Moon Kyo;Kwon, In Su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6
    • /
    • pp.39-49
    • /
    • 2016
  • As university students' job seeking str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crease, the importance of variable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both concepts. However, recent studies researchers looked at only the influence variables in each concept. So they thought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mployment.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self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of 349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regression modeling.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21.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directly. Second, core-self evaluation affect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Finally,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moderating effect of core-self evalu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core-self evalu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what has been learned through the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educational system and institutional are needed to increase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cognition of core self-evaluation is effective for the job seeking stress. Also,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 PDF

A Study on Intra-Annual Variability of Parameters in Rainfall-Runoff Model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의 Intra-Annual Variability에 관한 연구)

  • Kim, Jin-Guk;Kim, Kue-Bum;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2-422
    • /
    • 2015
  • 수문학적 모델링은 수자원계획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도구 중에 하나이다. 강우-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시 장기간의 자료를 활용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5년 이상의 자료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경년변동(inter-annual variability) 매개변수 추정 방법이 추천되고 있다. 수문학적 변동성 측면에서 볼 때 강우, 온도, 유역의 조건 등의 연내변동성(intra-annual variability)이 경년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수문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연내변동성으로 기인하는 비정상성을 고려한 매개변수 추정 방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계측유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간규모에서 매개변수 추정을 수행하고 최적의 시간규모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DDS(dynamically dimensioned search)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시간 규모에서 모형의 적합특성을 평가하였다. 교차검증을 통하여 매개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였으며, 전통적인 매개변수 추정 절차와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

제조산업 종사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 Sin, Yong-Sik;Kim, Jae-Ho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69-80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 중 기술과 연관성이 깊은 제조 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기업과정신과 개인적 특성에 대한 핵심요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았다. 특히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인과 개인적 특성이 기회역량을 매개로 하였을 때 창업의도에 어떠한 유의미한 연관성을 설명해 줄 것인지 그리고 창업의도에 공기업의 기술개발지원사업(R&D)이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제조분야 중소기업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장치산업과 관련된 제조분야 중소기업 종사자 292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종 통계분석과 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인 중 진취성과 개인적 특성 중 하나인 내재적 통제 요인이 반복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는 실제 창업 이전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혁신성 또한 창업 전, 후로 구분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핵심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중 진취성을 제외한 요인이 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 특성의 하위변수인 자기효능감, 내재적 통제, 모호성에 대한 인내 중 내재적 통제 요인만이 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기회역량의 하위변수인 기회인식과 평가는 모두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에 대한 하위요인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기회역량의 매개 여부를 조사하였는데, 진취성과 내재적 통제 요인이 기각되었으며, 혁신성은 기회역량 중 기회인식만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기업의 기술개발지원사업(R&D)이 창업의도를 조절하는데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기업가정신과 개인적 특성은 실제로 창업이 일어나는 전, 후로 구분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조분야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데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Leader' Core Competencies and Project Success Factors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과 프로젝트 성공요인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 Lee, Seol-bin;Roh, Doo-Hwan;Jung, Woon-H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2
    • /
    • pp.197-205
    • /
    • 2016
  •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intellectual ability, management ability, emotional abilit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group cohesion) of project by environmental variables of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llectual ability, management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on. Second, the functional organization and project organization had a partial effect on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 But the individual-centered organization had no moderating effect. For the project organization, all intellectual ability, management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equently,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 are mechanism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roup cohesion, and they have a different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 PDF

MCP,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LoCoH Analysis for the Core Area Zoning of the Red-crowned Crane's Feeding Habitat in Cheorwon, Korea (철원지역 두루미 취식지의 핵심지역 설정을 위한 MCP, 커널밀도측정법(KDE)과 국지근린지점외곽연결(LoCoH) 분석)

  • Yoo, Seung-Hwa;Lee, Ki-Sup;Park, Chong-Hw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1
    • /
    • pp.11-21
    • /
    • 2013
  • We tried to find out the core feeding site of the Red-crowned Crane(Grus japonensis) in Cheorwon, Korea by using analysis techniques which are MCP(minimum convex polygon), KDE(kernel density estimation), LoCoH(local nearest-neighbor convex-hull). And, We discussed the difference and meaning of result among analysis methods. We choose the data of utilization distribution from distribution map of Red-crowned Crane in Cheorwon, Korea at $17^{th}$ February 2012. Extent of the distribution area was $140km^2$ by MCP analysis. Extents of core feeding area of the Red-crowned Crane were $33.3km^2$($KDE_{1000m}$), $25.7km^2$($KDE_{CVh}$), $19.7km^2$($KDE_{LSCVh}$), according to the 1000m, CVh, LSCVh in value of bandwidth. Extent, number and shape complexity of the core area has decreased, and size of each core area have decreased as small as the bandwidth size(default:1000m, CVh: 554.6m, LSCVh: 329.9). We would suggest the CVh value in KDE analysis as a proper bandwidth value for the Red-crowned crane's core area zoning. Extent of the distribution range and core area have increased and merged into the large core area as a increasing of k value in LoCoH analysis. Proper value for the selecting core area of Red-crowned Crane's distribution was k=24, and extent of the core area was $18.2km^2$, 16.5% area of total distribution area. Finally, the result of LoCoH analysis, we selected two core area, and number of selected core area was smaller than selected area of KDE analysis. Exact value of bandwidth have not been used in studies using KDE analysis in most articles and presentations of the Korea. As a result, it is needed to clarify the exact using bandwidth value in KDE studies.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Cho, Mi-Kyoung;Kim, Mi 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161-170
    • /
    • 2018
  •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nursing students.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in 3rd grade than in 2nd grade, and the core competency,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below average students. The explanatory power of a core competency model constructed us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45.1%. Additionally, the explanatory power of a learner motivation model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motivation was 47.5%, while that of a learner satisfaction model constructed us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learner motivation was 43.4%.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increase core competency and learner motivation. To increase learne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o encourage learner motivation and to make the teaching-student interaction efficient.

A Practical Approach to Framing In Interface Specifications (인터페이스 명세에서 효과적인 프레임 방법)

  • Cheon, Yoon-Sik;Kim, H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45-750
    • /
    • 2000
  • 인터페이스 명세에서 프레임문제(frame problem)란 "특정부분 이외의 모든 프로그램 상태는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술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문제를 상속을 지원하는 객체지향명세에서 재조명하고 이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프레임문제를 정형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프레임관계(frame relation)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프레임관계는 연산자와 변수간의 관계로 특정 연산자가 어떤 변수를 수정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슈퍼클래스의 프레임관계는 앵커관계(anchoring relation)를 통하여 서브클래스로 확장되는데, 앵커관계는 서브클래스 변수에서 슈퍼클래스 변수로의 사상이다. 앵커관계는 프레임문제 해결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즉, 연산자가 슈퍼클래스의 특정 변수를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변수에 앵커 된 모든 서브클래스 변수를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앵커관계는 프레임문제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널리 보급된 선.후조건문 방식의 인터페이스명세에 잘 접목된다는 부가적인 장점을 가진다.

  • PDF

Effect of Hydraulic Parameters on Water Quality Predictions (수리매개변수가 수질예측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Sang-Dan;Kang, Doo-Ke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41-1645
    • /
    • 2006
  • 수문순환과 수질오염과정의 제반 기작들이 완벽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 조건에 따른 수질의 평가는 수질모형으로서 추정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며, 다양한 관리대안에 따른 수질환경변화를 예측함으로서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다. 현재 시행 중인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서 또한 수질모형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유역의 목표수질을 결정하는 것에서부터 기본계획 또는 시행계획에 따른 오염부하량 등 환경요인의 변화와 이에 따른 목표수질 설정지점의 수질 변화 등을 모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형에 사용되는 입력 매개변수의 불확실성과 이에 관련된 수질 모형 자체의 불확실성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와 같이 많은 이해당사자가 관여된 정책의 결정 시에는 공학적으로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실제로 미국의 오염총량관리제의 경우를 살펴보면 모형의 불확실성 분석이 전체 과정의 진행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연구들이 수질모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의 오염총량관리계획의 수립 시에는 이러한 불확실성 분석을 토대로 하여 안전율을 산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수질기작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예를 들어, DO, BOD, N, P 등에 대한 반응계수)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하천의 수질을 적절하게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질에 직접적으로 관련한 매개변수들 이외에 하천의 수리특성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그와 관련된 수리학적 매개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동안 수행되어온 수질 모델링의 적용 사례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하천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현장 특성 자료의 중요성, 특히 하천수리특성에 관련된 기초 자료의 가용성 여부가 모형의 성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유량, 유속 및 폭과 깊이로 대변되는 하천 지형은 물질 이송에 대한 주요 외력 함수이며, 다른 모든 예측치들은 이들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정확한 표현은 올바른 수질 예측에 있어서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많은 모형매개변수들이 유속과 깊이에 의존적이나, 이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ptimization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in On-line Electric Vehicle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최적화)

  • Ahn, Seung-Young;Lee, Ju-Yong;Cho, Dong-Ho;Kim, Jo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2
    • /
    • 2011
  •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적용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자기장 설계 기술은 전송되는 전력의 용량, 효율, 누설자기장 세기 등 전기적인 성능변수들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이다. 최대의 전력용랑과 효율을 만들어내면서 동시에 누설 자기장에 대한 전파법의 규격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자기장의 형상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설계변수를 찾아내고, 변수들의 최적화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자기장 설계에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의 특성과, 성능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최적의 성능변수를 만들어 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