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저케이블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On the sage maintainance of subsea transcommunication cables (해저 통신케이블의 안전성 유지 방안)

  • 박한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 no.S1
    • /
    • pp.39-50
    • /
    • 1996
  • 국제간 정보통신전달 수단으로 인공위성과 해저케이블이 상호보안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해저 광케이블의 등장으로 국가간 정보통신전달 수단으로 케이블의 역할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해저케이블은 열악한 해양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건설시나 운용중에 손상 받을 가능성이 아주 크며 그로 인한 파급효과가 엄청나다. 또한 해저케이블 사고시 복구에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뒤따르며 비용도 막대하다. 따라서 해저케이블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보호대책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의 건설 및 운용상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불안전 요인들을 찾아 그에 대한 대책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Method to minimize Measuring Burial Depth Error for Submarine Cable (해저케이블 매설심도 측정오차 저감 방법에 관한 연구)

  • An, Yong-Ho;Kim, Yong-Hak;Han, Jeong-Yeol;Lee, You-Jin;Shim, Eung-B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101-2102
    • /
    • 2011
  • 우리나라의 도서지역 전력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배전 해저 케이블은 대부분 남해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서해안 그리고 제주도에 설치되어 있다. 해저케이블 설치방법은 매설방식에 따라 매설 방식과 비 매설방식으로 분류되는데 한국전력공사에서는 배전 해저케이블의 경우 2003년부터 전량 매설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매설방식으로 해저케이블을 시공할 경우 매설상태의 적합성 여부 판단은 '매설심도'로 판단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해저면에 매설된 해저케이블의 매설심도를 어떻게 정확하게 측정해 내느냐가 중요한 Issue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인 탐사방법 중 자계검출방식을 이용하여 해저케이블 매설심도를 측정할 경우 해저케이블 접지환경 등 전기적인 요인에 의해 매설심도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과 측정오차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 및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Long-Distance Subsea Cable Uninterrupted Laying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Construction of Power System In Island (도서지역 전력계통 구성을 위한 장거리 해저케이블 비개착 포설 공법 및 장비개발)

  • Lee, Jaedeuk;Park, Changyo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7 no.2
    • /
    • pp.227-231
    • /
    • 2021
  • 해저케이블 설치시 고비용, 민원발생, 환경오염 논란 등의 이슈가 많은 개착식 공법을 대신하여 현장에서 점차 친환경적 공법으로 자리 잡고 있는 비개착식 공법을 이용한 전력설비 건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새로운 시도를 위해 필수적인 장거리 케이블 포설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현장실증을 통한 Data 확보 및 장비개발로 새롭게 제시하였다. 케이블 포설시 밀어주는 장비인 Pusher, 기존의 윈치와 Pusher 의 속도를 동기화시키는 장치 및 케이블을 꼬임없이 당기기 위한 다도체용회전형풀링아이 등을 개발하여 기존에 설치하였던 해저용특수케이블이 아닌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케이블의 포설가능 거리를 증가시켜 도서지역 전력공급 등을 위한 장거리케이블 포설에 비개착식 방식이 적용 가능 토록 새로운 케이블 포설공법을 개발하였다.

Evaluation of Optimal Dredging Section Area for Burying Submarine Cable across the Coastal Waterways (연안항로내 해저케이블 매설을 위한 적정 굴착단면의 산정)

  • Kim, Hui-Jae;Lee, Dong-Hyeon;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51-153
    • /
    • 2013
  • 최근 해양에너지플랜트 및 도서지역을 연결시키기 위한 해저 파이프라인 및 통신, 전력 케이블 매설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연안항로를 가로지르는 해저케이블 매설공사에는 준설장비를 동원하여 해저부를 굴착하고 케이블을 부설한 후 상단을 덮어 보호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이 행해지며 이 과정에서 해저저질의 상태, 준설심도, 조류 또는 연안류의 흐름강도, 수심, 통항선박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단면의 굴착심도 및 폭이 결정되며, 작업의 순서 또는 방법에 따라 여굴의 정도도 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실제해역에서 연안 도서를 연결하는 전력, 통신망의 개통을 위한 해저케이블 부설과 관련한 굴착단면의 실태를 실제 현장여건과 관련해서 적정단면과 준설물량의 산정을 다루어 해저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해역에서 주요설계 지침에 따른 해저부 굴착단면의 평가와 적정단면을 검토하였으며, 이 단면에 따른 준설 적정물량을 산정하여 작업공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VDC Submarine Cable Fault Location Searching Case (HVDC 해저케이블 고장점 탐지 사례 연구)

  • Moon, Shin-Yong;Kim, Jeong-Dae;Jang,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138-140
    • /
    • 2006
  •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에서는 제주지역 전력공급의 안정을 위해 '98년부터 국내 최초로 육지전력 계통과 연계하여 장거리 해저케이블 송전선로를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해저케이블은 해저에 포설되고 외부적 환경에 견디기 위해 육상케이블과 다른 많은 보호층을 포함하고 있어 설비의 유지보수에 많은 제약사항을 안고 있다. 특히 해남${\sim}$제주 연계선로는 기술적 장점 때문에 AC송전 대신 HVDC 송전을 하고 있어 한단계 Upgrade된 설비운영 기술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HVDC 해저 케이블의 설비운영에 있어 선로의 고장시 케이블의 고장점 위치를 탐지하는데 중점을 두어 실제 고장점 탐지 사례를 중심으로 HVDC 해저 케이블 고장점 탐지 방법 및 시험 결과를 검토하고 향후 유사 고장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for construction of Shore-end Submarine cable (천해부에서 해저케이블 건설 연구)

  • Jung, Jae-Jin;Lee, Young-Sun;Shin, Hyun-Sh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2 no.3
    • /
    • pp.185-190
    • /
    • 2007
  • The biggest cause of submarine cable fault is fishing activity such as 70% by anchor of fishing boats and occurs within 200m the depth of water. It needs a regulation for protection of submarine cable from the fishing boats and construction of cable at shore-end. This paper is studying a plan and regulation to install the construction among the subsee users, and the burial technique of submarine cable at shore-end suggests to manage from company to government.

  • PDF

Design of Submarine Cable for Capacity Extension of Power Line (전력선 용량증대를 위한 해저케이블 설계)

  • Son, Hong-Chul;Moon, Chae-Joo;Kim, Dong-Sub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1
    • /
    • pp.77-84
    • /
    • 2022
  • A submarine power cable is a transmission cable for carrying electric power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Recently, submarine cables transfer power from offshore renewable energy schemes to shore, e.g. wind, wave and tidal systems, and these cables are either buried in the seabed or lie on the ocean floor, depending on their location. Since these power cables are used in the extreme environments, they are made to withstand in harsh conditions and temperatures, and strong currents. However, undersea conditions are severe enough to cause all sorts of damage to offshore cables, these conditions result in cable faults that disrupt power transmission.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design criteria for such cables and the procedures and challenges of installation, and cable transfer splicing system. The specification of submarine cable designed with 3 circuits of 154kV which is composed of the existing single circuit and new double circuits, and power capacity of 100MVA per cable line. The determination of new submarine cable burial depth and cable arrangement method with both existing and new cables are studied. We have calculated the permission values of cable power capacity for underground route, the values show the over 100MW per cable line.

군산항 항로횡단 해저케이블 해상교통안전진단

  • Yu, Sang-Rok;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41-343
    • /
    • 2012
  • 농어촌민들에게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낙후도서에 해저케이블 공사 중인 곳이 많다. 특히 선박통항량이 많은 무역항내 해저케이블 공사는 준설이 수반되기 때문에 안전위해요소가 많다. 안전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 PDF

Evaluation on Long-Term Reliability of HVDC Submarine Cable (HVDC 해저케이블 장기과통전 신뢰성 시험평가 방법)

  • Yang, B.M.;Park, J.W.;Moon, K.H.;Noh, T.H.;Kim, Y.S.;Kang, J.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377_378
    • /
    • 2009
  • HVDC 케이블은 장거리 전력전송, 국가간 계통연계, 비동기 전력계통연계, 전력의 시장화에 따른 전력공급 제어 필요에 따라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 유일하게 제주-해남간 180kV HVDC 해저케이블이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제주도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2011년에 제주-육지간 250kV HVDC 해저케이블이 추가로 건설될 예정이다. 그래서 HVDC 해저케이블의 신속 정확하게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영을 위해서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HVDC 해저케이블에 대한 장기과통전 시험에 대한 평가 및 절차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HVDC 해저케이블의 장기과통전 시험평가를 위하여 전기적 시험은 CIGRE에서 권고하고 있는 Electra 189, 219에 근거하고 기계적 시험은 IEC 60055-1, Elecrta 171에 근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nalyses of the submarine cable faults of EAC and Protection Ways (동아시아횡단 해저케이블 고장분석을 통한 보호방안)

  • Yoo, Jae-Duck;Shin, Hyun-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3
    • /
    • pp.227-232
    • /
    • 2010
  • Submarine cable system has been affected by humankind activities like trawl and stow net which has been threatening submarine cable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s the protection ways of submarine cable through the analyses of cable faults on EAC system for 8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