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안선 형태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스프라인 곡선 근사에 의한 전자해도의 해안선 데이터 압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stline Data Compression Using Spline Interpolation in Electronic Nautical Chart)

  • 임정빈;고광섭;홍성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81
    • /
    • 1998
  • 스프라인 보간을 이용한 새로운 해안선 데이터 압축 방법을 제안하였다. 스프라인 보간에 적용하기 위한 노드는 항해 측면에서 현저한 해안위치로 정하였다. 그리고 , 보간은 긴 곡선 형태의 해안선에만 부분적으로 적용하였다. 여러 가지 압축률에 따른 해안선 형태의 변화애 대하여 검토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부산 해안선 환경문제에 대한 공간형태 변화 및 보호대책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Spatial Morphology Change and Protection Strategy Construction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of Busan Coastliney)

  • 푸저민;김철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1-159
    • /
    • 2020
  • 본 논문에서 부산 해안선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보호대책을 제시하며, 해안선의 관광개발과 환경 리모델링에게 이론적 근거와 지도 기준을 제공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인 해안선의 발전 특성을 통하여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며 공간 구조에 시간축선을 결합한 조사방법으로 역사영상 기능과 그래픽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부산 해안선 형태 변화의 특징을 찾는다.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복도, 연전성, 은폐성, 시야도인 다섯 개의 요소를 통하여 자연 해안선, 인공 해안선과 생태 복구 해안선의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국제 콘테스트 사례를 도입하여 대책을 모색한 결과 관광, 사고, 개발, 문화, 그리고 개조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환경보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경 리모델링에 중점을 둠으로써 주민들에게 보다 인성화된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Edge wave의 발생과 전파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Edge Wave)

  • 조용식;이봉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71-74
    • /
    • 1995
  • Edge wave는 해안선 근처에서 갇힌(trapped) 파의 한 형태로써, 해안선 근처에서의 산사태(Yeh and Chang, 1994) 또는 지진해일(tsunami)이 해안선에 도달한 후 해안선과의 상호간섭(Shuto, 1990)에 의해서 발생한다. Edge wave는 해안선을 따라 최대 처오름 높이(maximum run-up height)를 유지하며 진행하기 때문에 범람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정확한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해안선의 형태를 고려한 지하수 해안 유출량 평가 기법 (Assessment of Coastal Ground Water Discharge for Complex Coastlines)

  • 한수영;홍성훈;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1호
    • /
    • pp.939-947
    • /
    • 2004
  • 해안을 통하여 유출되는 지하수량은 하천 유출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는 작으나 해안 지역의 지하수자원의 개발과 연안의 오염과 관련하여 중요성을 가진다. 선행 연구에서는 관측정 수위, 투수계수 등의 간단한 자료만을 가지고 지하수의 해안 유출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과 서해안과 같이 해안선의 형태가 복잡한 경우에 평균동수경사, 해안선의 폭과 담수층의 평균 두께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지하수 해안유출량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 방법은 경계면모델을 이용한 수치해와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해안선의 복잡성을 고려하지 않은 Darcy의 법칙의 적용에 비하여 정확도가 대폭 개선되었다.

실용적 해안선 후퇴 반영 알고리즘 (A Practical Algorithm to Simulate Erosion of On-Shore Zone)

  • 김효섭;이정수;진재율;장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3-430
    • /
    • 2013
  • 일반적 형태의 해안영역에서의 퇴적물이동, 퇴적 및 지형변화를 예측하는 수치모형에서 전빈의 침식으로 인한 해안선 후퇴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평균해수면 기준의 해안선 인근 영역에서는 저면 경사가 저면 퇴적물의 종류, 조석과 조류, 파랑, 연안류 등 외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해안선에서의 저면경사는 어느 정도 안정된 범위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연중 변화 또한 거의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사의 변동 한계값을 이용하여, 해중 침식이 지속되어 해안선에서의 저면 경사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한계 경사를 넘게 되면, 이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저면경사가 한계값 내로 돌아오도록 해안선 인근에서의 저면 형상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침식이 지속되는 경우 해안선이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수치모형에서 재현할 수 있게 된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우물함수형의 침식 상황, 즉 한 점에서 일정 플럭스로 준설을 지속할때 주변 지형이 우물함수 분포 형상으로 침식되어 가는 과정을 잘 재현하였다. 발달하는 해안선의 형태가 거의 원형의 동심원으로 나타나므로 알고리즘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 개발한 알고리즘을 침식지역이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가상상황에 적용하여 보았으며, 동심원적 지형 변화를 잘 재현하였다. 본 알고리즘을 기존의 수치모형 CST3D 시스템에 채택하여, 등경사 평판형 해안에 이안제가 놓여 있을 경우에 대한 지형변화 수리모형실험의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대상으로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해안선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만족스럽게 재현하였다.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 : 울진군 죽변면 연안을 대상으로 (Monitoring of Shoreline Change using Satellite Imagery and Aerial Photograph : For the Jukbyeon, Uljin)

  • 엄진아;최종국;유주형;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71-580
    • /
    • 2010
  • 해수면과 육지가 접하는 해안선은 자연적인 물론 연안개발 등 인위적인 활동에 따른 침식 및 퇴적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화한다. 해안선 변화는 해안환경의 파괴뿐만 아니라 연안구조물을 위협하며, 따라서 효율적인 연안관리를 위하여 해안선 변화의 장기적이고 시계열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1971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 항공라이다 및 고해상도 광학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경상북도 울진군 지역의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였다.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정밀 기하보정을 실시하였으며, 젖은 모래 마른 모래 및 해수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원자력 발전소 방파제 설치 이후 방파제 주변으로 해안선 형태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방파제 주변에서는 1971년부터 2009년까지 최대 120 m 해안선이 이동하였으며, 방파제 건설 전에는 약 30 m, 방파제 건설 이후 90 m 정도 해안선이 이동하였다.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앞 해안에서는 2003년까지는 퇴적으로 인하여 해안선이 해안쪽으로 최대 47m 이동하였지만 2003년 이후부터 2009년까지 계속하여 침식현상이 일어나면서 해안선이 육지쪽으로 최대 40m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선의 변화는 많은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일어날수 있으며, 연구지역의 경우방파제의 건설에 의한 침식 및 퇴적 현상이 주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물리학적 및 퇴적학적 연구를 통한 효율적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해빈 변형의 단순 수치 모형 (A Simple Numerical Model of Beach Topography Change)

  • 이정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39-4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 이동에 의한 해빈단면 및 해안선의 변화 형태를 파랑모델이나 순환모델의 도움없이 예측하는 간단한 수치 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해안선의 변형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은 진척되었으며 최근 해빈단면의 변형 모델은 물론 3차원적인 복잡한 해저면에도 적응할 수 있는 복합적인 토사이동 모델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Watanabe 등, 1980; Wang and Miao, 1992; 과학기술처, 1992). (중략)

  • PDF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해안오염 GIS 지도 제작 연구 (GIS Mapping of Coastal Pollution Induced by Hebei Spirit Oil Spill)

  • 박재문;최현우;윤홍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4-178
    • /
    • 2009
  • 2007년 12월 7일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약 2개월간의 오염현황 조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GIS 주제도로 제작하고, 해안선 오염정도의 시간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오염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상기준점을 측정하여 IKONOS 위성영상을 기하보정한 후, 이 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해도의 해안선을 정밀 편집하여 해안선 형태별 단위구역 해안선을 설정하였다. 네 차례에 걸쳐 조사한 해안오염 평가보고서로부터 추출한 유류오염 인자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측정한 해안의 해수 내 총 유분(TPH) 자료(2007년 12월, 2008년 1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오염현황을 대표할 인자를 결정하였다. 이러한 대표적인 오염인자를 사용해 오염도를 계산하여 단위구역 해안선에 속성 값으로 입력하였다. 오염도가 포함된 해안선으로 제작한 조사기관별 GIS 유류오염 주제도는 사고 초기 약 2개월간의 오염상황을 어느 정도 반영하였다. 또한 각 기관에서 공통으로 조사한 지역인 만리포 주변해안 13.4km를 세부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해안선 형태별 시기적 오염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유류오염사고 발생 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오염현황도 제작 뿐 아니라, 방제활동이나 과학적인 오염조사 활동 등에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 PDF

다중관측 정보를 이용한 일산지 해안선변화 분석 (Analysis of Ilsan Beach Shoreline Change Using Multiple Observation Information)

  • 한충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574-583
    • /
    • 2013
  • 각 지자체가 관리하고 있는 해안지역은 지형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 공간에 대하여 최근 들어 공학적 측면과 경제적, 문화적 측면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울산 동구에 위치한 일산지 해안에 대한 해안선 변화에 대하여 다중관측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안선 분석을 위하여 VRS-RTK(Virtual Reference System by Real-Time Kinematic) 측량, 항공사진, 지상라이다 측량, 그리고 고정기준점에 의한 측량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고정기준점 설치를 통한 해안선 관측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중관측정보를 분석한 결과 일산지의 경우 해안선의 중하단 부분은 침식현상(6~12m)이 나타나고 있으며, 상단부분은 퇴적현상(3~14m)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