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마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6초

홍삼 사포닌이 랫드의 다낭성난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the Polycystic Ovaries in Rats)

  • 이지애;임성철;류애란;배진규;강성수;김종춘;김성호;김정욱;최범채;배춘식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33-436
    • /
    • 2004
  • 홍삼 사포닌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랫드의 다낭성난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홍삼 사포닌을 투여한 실험군의 난소형태는 퇴축난포, 정상발달을 보이는 이차난포 및 황체형성 등 비교적 정상화된 난소의 소견이 관찰되어 다낭성난소의 현저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2. 홍삼 사포닌을 투여한 실험군의 신경성장인자 염색은 대조군에 비해 난소조직에서 내협막 세포들과 간질세포들이 현저하게 감소된 현상을 보였으나, 뇌하수체 및 해마체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홍삼 사포닌은 다낭성난소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방공무원의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인지행동 개입과 대책 (Cognitive behavior intervention for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in fire fighters in Korea)

  • 이은정;김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3-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고 스트레스를 진단하기 위한 척도와 도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과 대책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침습 증상, 회피 증상, 인지와 기분의 부정적 변화, 과각성 증상을 특징을 포함한다. 트라우마의 기억은 외현 기억(explicit memory)과 암묵 기억(implicit memory)이 있다. 외현 기억은 의식적, 인지적, 서술적이며, 변연계 구조물 중 해마가 관여한다. 사건 당시 정보 처리는 억제적이며, 내러티브 언어구성을 갖는다. 암묵 기억은 무의식적, 정서적, 절차적이며, 몸이 기억을 한다. 관련된 변연계 구조물은 편도체이고 사건 당시 정보처리는 활성화되어 있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언어구성을 갖는다. 암묵 기억의 소거가 트라우마 치료에서 가장 중요하다.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CISM)는 위기 상황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의 유해성을 감소시키고, 조절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CISM의 핵심적 목표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의한 심리적 상태의 종결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해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노령 흰쥐의 뇌허혈 손상시 양격산화탕(凉膈散火湯)이 뇌해마의 c-Fos 및 c-Jun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anggyuksanhwa-tang on c-Fos and c-Jun Expression in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of Aged BCAO Rats)

  • 김성준;신정원;손영주;정혁상;원란;손낙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37-347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Yanggyuksanhwa-tang on cerebral ischemia of the rats. Considering age-related impact on cerebral ischemia, aged rats (18 months old) were used for this study. Ischemic damage was induced by the transient occlusion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BCAO) under the hypotension. Yanggyuksanhwa-tang was administered twice orally. Then changes of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fos and c-jun in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were observed. The BCAO in aged rats led significant increase of c-fos expression in CA1 and DG of hippocampus. While the treatment of Yanggyuksanhwa-tang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of c-fos expression in CA1 hippocampus following BCAO ischemia. Depending on changes of the normalized optical density(NOD) of immunohistochemical c-fos expression, the treatment of Yanggyuksanhwa-tang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of NOD in CA1 and DG of hippocampus. And there was not changes in CA2 and CA3 hippocampu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BCAO group. The BCAO in aged rats led significant increase of c-jun expression in CA1 hippocampus. While the treatment of Yanggyuksanhwa-tang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of c-jun expression in CA1 hippocampus following BCAO ischemia. Depending on changes of the NOD of immunohistochemical c-jun expression, the treatment of Yanggyuksanhwa-tang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of NOD in CA1 hippocampus. And there was not changes in CA2, CA3 and DG of hippocampu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BCAO group.

  • PDF

갈근(葛根)의 뇌해마(腦海馬) 신경세포 손상보호와 항산화(抗酸化) 효능에 대한 연구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 of Puerariae Radix on Hippocampal Neurons and BV-2 Microglia Cells)

  • 김상현;김연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16-425
    • /
    • 2005
  • This study demonstrated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uerariae Radix for cerebral ischemia. Neuroprotective effects were studied by using oxygen/glucous deprivation of the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to complement limitations of in vivo and in vitro models for cerebral ischemia study. Anti-oxidative effects were studied on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H_2O_2$ and nitric oxid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CA1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during whole 48 hours of the experiment.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DG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during whole 48 hours of the experiment.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TUNEL-positive cells in both CA1 region and DG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The group treated with $50\;{\mu}g/m{\el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significant decrease of TUNEL-positive cells in CA1 region.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LDH concentrations in culture media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s of cell viabilities of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H_2O_2$. The group treated with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of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nitric oxid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e Radix of cerebral ischemic revealed neuroprotective effects through the control effect of apoptosis and oxidative damages.

칼슘 배합 비율에 따른 초석잠의 scopolamine 치매유도 흰쥐에 대한 기억손상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Stachys sieboldii MIQ.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Calcium on Memory Impairment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 최다정;안희영;김영완;김태훈;김만도;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12-818
    • /
    • 2016
  • 본 연구는 칼슘 배합 비율에 따른 초석잠이 scopolamine 치매유도 흰쥐의 기억손상 개선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칼슘 배합 비율별(S, 1CS, 5CS군)로 군을 나누어 Y자 미로와 수중미로를 통한 행동실험을 실시한 결과, Y자 미로 실험에서 5CS군이 N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치를 보이며 공간 인지기능을 개선시켰고, 수중미로 실험 또한 CS군의 escape latency가 감소하여 N군과 유사한 수치를 보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세틸콜린 함량과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CS군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뇌 조직 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을 증가시켜 뇌 신경세포 활성화 효과를 통해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해마를 병리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앞선 결과와 유사하게 손상 정도가 심하여 많은 수의 응축된 신경세포가 관찰된 C군에 비하여 CS군은 응축된 신경세포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신경세포 손상을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칼슘 배합 비율에 따른 초석잠은 scopolamine 치매유도 흰쥐모델에서 기억력, 학습능력 및 인지능력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8β-Glycyrrhetinic acid가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생쥐 뇌조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해마신경세포 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8β-glycyrrhetinic acid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euronal apoptosis in the hippocampus of lipopolysaccharide-treated mice)

  • 이지승;권만재;권수현;김지호;문지영;조윤정;신정원;이종수;손낙원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3-81
    • /
    • 2016
  • Objectives : $18{\beta}$-Glycyrrhetinic acid (18betaGA) is an metabolite of glycyrrhizin in Glycyrrhiza (licori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sis effect of 18betaGA on the brain tissue of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C57BL/6 mice. Methods : 18betaGA was administered orally with low (30 mg/kg) and high (100 mg/kg) doses for 3 days prior to LPS (3 mg/kg) inje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mRNA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IL-6, and inflammatory enzyme cyclooxygenase-2 (COX-2) mRNA were measured in the cerebral cortex, hippocampus, and hypothalamus tissue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t 24 h after the LPS injection. Histological changes of Cornu ammonis area 1 (CA1) neurons, Bax, Bcl-2, and caspase-3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was also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method. Results : 18betaGA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up-regulation of TNF-${\alpha}$, IL-$1{\beta}$, IL-6 mRNA, and COX-2 mRNA expression in the brain tissues induced by the LPS injection. 18betaGA also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reductions of the thickness of CA1 and the number of CA1 neurons. The up-regulation of Bax protein expression in the hippocampal tissue by the LPS injection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while the ratio of Bcl-2/Bax expression was increased by 18betaGA treatment. 18betaGA also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up-regulation of Bax and caspase-3 expression in the CA1 of the hippocampus.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 that 18betaGA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sis effect under neuroinflammation induced by the LPS injection and suggest that 18betaGA may be a beneficial drug for various brain diseases accompanied with the brain tissue inflammation.

해바라기씨 추출물의 뇌세포에 대한 사멸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Helianthus annuus Seed Extract against Chemical-Induced Neuronal Cell Death)

  • 박자영;우상욱;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19
    • /
    • 2007
  • 퇴행성 뇌질환의 하나인 알츠하이머는 가벼운 기억력의 장애에서부터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해마 (hippocampus)를 포함한 신경세포에서 세포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왔다. AP의 자체 독성과 산화 스트레스, $A{\beta}$ plaque에서 나오는 free radical은 세포내 $Ca^{2+}$를 높이고 이로 인해 calpain이 활성화되어 신경 세포사가 촉진되며 microtubule과 같은 cytoskeleton을 파괴시킨다. 이러한 ROS와 $A{\bet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물질을 해바라기 씨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 (DPPH, FRAP assay),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 및 SH-SY5Y cell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성과 AChE에 대한 억제활성은 해바라기 씨 추출물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_2O_2$$A{\beta}$에 의해 유도된 SH-SY5Y에 대한 세포사멸 억제효과 실험(MTT assay)에서 해바라기 씨 추출물이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의 성분분리는 뇌세포 보호를 위한 좋은 식품재료가 될 수 있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뇌기능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Brain Function and Sleep Disorder of Sleep Disturbance Rats)

  • 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9-7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수면장애 개선과 뇌기능 기억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신경생리학적 접근을 통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면장애 모델 쥐 16마리에게 동물실험실에서 제작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4일간 실시하였다. 실시 후 뇌기능은 해마의 BDNF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수면의 변화는 혈액 중의 멜라토닌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뇌기능에 대한 영향은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1). 둘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수면장애에 대한 영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1) (p<0.05). 결론 : 지역사회의 노인증가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수면장애는 이러한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수면장애로 인한 이차적인 기억력 저하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경제적, 공간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는 복합운동만으로도 수면과 기억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실험동물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우울증의 후성유전기전: BDNF 유전자의 히스톤 변형 및 DNA 메틸화의 역할 (Epigenetic Mechanisms of Depression: Role of Histone Modification and DNA Methylation in BDNF Gene)

  • 박성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36-1544
    • /
    • 2018
  • 우울증은 심각하며 재발하는 흔한 정신질환이다. 우울증은 환경 요인과 유전 요인, 그리고 신경생물학적 체계의 구조 및 기능의 변화로 발병한다.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우울증과 관련 된다는 여러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후성 유전은 환경 요인이 크로마틴 구조를 변화시켜 DNA 염기 서열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으로 설명된다. DNA 메틸화와 히스톤 아세틸화 및 메틸화를 포함하고 있는 히스톤 변형이 주요 후성유전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 동물모델연구에서는 생애 초기 스트레스 같은 스트레스 환경이 게놈에 지속적으로 후성유전표지를 남기게 되고 이로 인해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고 결국 성체가 되었을 때 신경 기능이나 행동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BDNF는 우울증과 관련된 대표적인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설치류가 출생 전, 후, 그리고 성체 기간에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해마에서 BDNF 유전자의 히스톤 변형과 DNA 메틸화 패턴이 변화되고 이로 인해 BDNF 발현이 변화된다. 이러한 과정은 불안과 우울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종설에서는 BDNF 유전자의 히스톤 변형 및 DNA 메틸화와 같은 우울증 발병에 관여하는 후성유전기전의 최신 지견에 대해 논의하여 우울증 치료의 새로운 타겟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β-Asarone이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생쥐 해마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과 학습 및 기억 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β-Asarone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Mice)

  • 최문숙;곽희준;권기중;황지모;신정원;손낙원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9-127
    • /
    • 2013
  • Objectives : ${\beta}$-Asarone (BAS) is an active ingredient in Acori Rhizoma. This study investigated anti-neuroinflammatory and memory ameliorating effects of BAS in systemic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C57BL/6 mice. Methods : BAS was administered orally at doses of 7.5, 15, and 30 mg/kg for 3 days prior to LPS (3 mg/kg, intraperitoneal) inje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ㅍ), interleukin (IL)-$1{\beta}$ and IL-6, was measured in hippocampus tissue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t 4 h after the LPS injection. An ameliorating effect of 30 mg/kg BAS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the LPS-treated mice was verified using the Morris water maze test. Results : BAS significantly attenuated up-regulation of TNF-${\alpha}$, IL-$1{\beta}$, and IL-6 mRNA in hippocampus tissue of the LPS-treated mice. In acquisition training test, BAS improved learning performance of the LPS-treated mice with a significant decrease of escape latency to the platform. In memory retention test, BAS also ameliorated memory impairment of the LPS-treated mice with a significant increase of swimming time in zones neighboring to the platform, number of target heading, and memory scor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euroinflammation in the hippocampus by BAS could be one of the mechanisms for BAS-mediated ameliorating effect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LPS-treated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