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기능력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선박 자동화 수준에 따른 필요 해기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 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50-152
    • /
    • 2018
  • 국제해사기구의 MSC 98차 회의에서 새로운 도출 의제로 MASS(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가 포함됨에 따라 선박 자동화와 무인화는 해상분야의 국제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유럽의 선급과 연구소 및 제조사 등은 선박자동화의 수준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기술요소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선원의 역할과 교육분야에 대한 고려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화 수준에 따라 항해사 또는 육상관리자에게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여 각 면허에 대한 적용안과 교육 및 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박 자동화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조사하고, 현재 항해사 및 선장 에게 요구되는 STCW 해기능력을 항목화 하였다. 선박의 자동화와 원격운항의 적용에 따라 제외되거나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고 자동화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해기능력과 면허의 구분에 대한 안을 기반으로 업계와 해기교육기관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선박자동화와 인적요소에 대한 자동화 수준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Navy PQS system to Advance the Navigational Quality (해기능력 향상을 위한 해군 PQS 제도 발전에 관한 연구)

  • Lim, Bong-Taek;Kim, Byo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49-50
    • /
    • 2012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ndatory minimum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officers in charge of a navigational watch on ship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STCW. The trai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for navigational competence of Korean nav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aper suggests adjustment of the evaluation range, increment of evaluation items,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types, differentiation of certification-related education by officer's commission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PQS system.

  • PDF

A Study on Changes of Maritime Abi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and Boarding Semester (실습선 교육 기간과 승선 학기에 따른 해기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eungyeon;Kim, Moonjoo;Park, Youjin;Lee, Yun-S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6
    • /
    • pp.656-664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self-assessment survey on 50 evaluation items for students majoring nautical science who boarded H University training ships in order to ascertai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ir maritime ability according to the STCW agreement and training period. The trainees' maritime competence and basic understanding of maritime functions were evaluated, and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these have changed since their embarkation. Th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maritime functions after the third evaluation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The results also showed areas the trainees need to improve on for each semester's embarkation group, and an additional study plan is needed to make up for the lack of nautical skills in the training course.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maritime abi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of training ship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reorganization of training ships and maritime college curriculum in the future.

A Study on Improving the Navy PQS system to Advance the Navigational Quality (해기능력 향상을 위한 해군 PQS 제도 발전에 관한 연구)

  • Lim, Bong-Taek;Kim, Byoung-Su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1
    • /
    • pp.15-21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andatory minimum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officers in charge of a navigational watch on ship specifi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STCW. The trai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for navigational competence of Korean nav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aper suggests adjustment of the evaluation range, increment of evaluation items,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types, differentiation of certification-related education by officer's commission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PQS system.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us of On-Board Communication and Maritime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Oral Test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 및 구술시험도입에 관한 조사·분석)

  • Park, Jin-Soo;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0-282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기사의 선상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을 제안함으로서 국내 해기인력의 일자리 창출 및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며, 선상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를 위하여 해사 직무영어 교육용 교재의 개발 계획, 온 오프라인용 컨텐츠 개발 보급 계획, 해사 영어능력의 다면 평가 및 인증을 위한 해사영어 구술시험 개발 및 시행 계획 및 해기사 면허시험의 영어구술평가의 도입 방안 등의 기본계획과 그 표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해기사 양성교육기관의 재학생과 교원, 승선 중인 해기사와 육상 근무 중인 해기사 등을 대상으로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해사영어 교육과 평가방안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의 요약이다.

  • PDF

A Study on the Navigational Competence of Junior Naval Officers (해군 초급장교의 해기능력에 관한 연구)

  • Choi, Chang-Mook;Lim, Bong-Taek;Ko, Kwang-Soob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10
    • /
    • pp.819-824
    • /
    • 2012
  • In this paper, mandatory minimum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of officers in charge of a navigational watch on ship by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CW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were investigated. The trai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for navigational competence of Korean nav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at junior naval officers from Korean midshipmen had the navigational competence based on the STCW convention by analyzing the courses of Korea naval academy, midshipmen life, training exercise systems, and so on. OCS and NROTC provided a curriculum that did not quite meet the standard of the STCW convention. However, it was sufficient for nurturing basic abilities for navigation safety.

자율운항선박 시대를 준비하는 해기교육

  • Lee, Chang-Hui;Hong, S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4-5
    • /
    • 2020
  • 자율운항선박시대에 적합한 해기능력의 주요 요소를 식별하고, 이에 필요한 해기교육 방향에 대하여 기존의 산업 및 기술동향, 국제해사기구차원의 논의 방향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다양한 해외 연구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해기품질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경쟁력 갖춘 해기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여성해기사 직업에 관한 인식 조사

  • Jo, So-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42-244
    • /
    • 2013
  • 한국에서 해운산업으로 배출되는 여성 인력은 년 간 800여명에 이른다. 그 중 과반수의 이하의 여성인력만이 매 년 해운선사에 취업하여 종사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현안 사항들로 채용의 기회는 남성에 비해 현재까지는 적은 편이다. 여성 해기사의 고용기피 이유들 중 하나는 여성해기사가 실제 취업활동시 '남성에 비해 우월하지 않을 것이다' 라는 사회적 인식의 차이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하에 실제 여성 해기사와 승선 경험이 있는 선원과 그렇지 않은 선원을 대상으로 여성 해기사의 업무 성취도, 팀협력, 의사소통 능력, 직업 만족도 및 직업에 관한 책임감의 범위로 인식의 차이를 설문조사하였다.

  • PDF